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김명돌

다른 표기 언어 金命乭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916년 11월 21일, 경상북도 경산(慶山)
사망 1983년 11월 30일
관련 사건 경산 징병 거부
주요활동 징병 거부
포상훈격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1916년 11월 21일 경상북도 경산군(慶山郡) 남산면(南山面) 사월리(沙月里)에서 출생하였다.

김명돌

ⓒ 독립기념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37년 중일전쟁을 도발한 일제는 전시동원체제를 구축하면서, 일제강점기 한국에 대해 인적, 물적 총동원 체제를 강요하였다. 1938년 「육군특별지원병령」을 실시한 이래 1944년 「징병령」이 실시되기 전까지 1만 8,000여 명을 전쟁에 동원하였다. 1943년 학도지원병제도를 강행하여 4,500여 명의 학생을 전쟁터로 내몰았다.

1943년 7월에는 「해군특별지원령」을 공포하였다. 1944년 「징병령」이 실시되자 김경룡(金慶龍) ・ 안창률(安昌律) ・ 최덕종(崔德鍾) ・ 최만갑(崔萬甲) ・ 김정룡(金正龍) 등 경북 경산(慶山) 청년 29명과 함께 일제의 징병, 징용을 반대하기로 결의하고, 경산군 남산면의 대왕산(大旺山)에 입산하였다. 입산할 때 가지고 온 도끼와 낫, 쇠창 29개 등과 산에서 만든 죽창을 무기로 전투 조직을 편성하고, 일제에 맞서 싸울 준비를 하였다. 징병 거부를 통해 일제의 전쟁동원정책에 저항하고자 했던 것이다.

1944년 8월 10일경 징병 거부 청년들의 식량 조달을 위해 대왕산에서 하산했다가 일제 경찰에 잡혔다. 1944년 10월 보안법 및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어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겪다가 광복과 함께 출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김일수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광복회대구경북연합지부, 『대구경북 항일독립사』, 1991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명돌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