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불중도 팔불중관(八不中觀), 八不中道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팔불중도 연기사상이라고 정의하는 편이다. 삼론종의 팔불중도 연기사상의 발전 한역 경전권의 중관학파인 삼론종에서 팔불중도 또는 팔불중도 연기사상이 발전하게 된 것은 『중론』, 『백론』, 그리고 『십이문론』이 실질적인 소의경전으로 자리 잡는 역사적인...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용수의 영향과 저서용수의 사상은 중관학파에 의해 계승되었다. 오늘날 동아시아 여러 학파에서는 철학적 명제에 대한 그의 주석과 교훈적 해설을 대장경에 포함시켜 연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티베트 대장경의 텐귤[論疏部]에는 중도(中道)에 대한 논서(論書) 17편이 실려 있다. 17편 전부를 용수가 쓴 것은 아니다. 전통적으로 그가...
-
중도 中道하는 일변을 모두 버려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참다운 진리가 모든 집착이나 분별의 경지를 떠난 무소득(無所得)의 상태에 있음을 밝힌 것이다. 중관학파의 중도 중도의 개념은 대승불교에 이르러 철학화되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으로는 중관학파의 팔부중도(八不中道)를 들 수 있다. 중관학파는 중도를 생멸(生滅...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파사현정 破邪顯正, refuting error to appear correction중관사상에서 뜻하는 파사는 자신의 주장을 세우는 것이 아닌 논박자의 망상과 아집을 버리게 하기위한 방편으로 붓다의 가르침인 중도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역사의 부침 속에서 공사상을 체계화시키며 등장한 중관학파의 비판주의가 한역 경전권의 관용어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셈이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반야사상 般若思想인도 반야사상은 공(空)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확립시키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반야사상을 천명한 중관학파(中觀學派)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일체개공설(一切皆空說)은 이미 대승불교 초기에 성립되어 있었다. 공이란 존재물 그 자체에 실체인 아(我)가 없음을 뜻한다. 이것은 이미 석가모니 당시의 원시불교에서, “모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승기신론별기 기신론별기(起信論別記), 大乘起信論別記있는 데서 매우 타당한 견해라 할 수 있다. 원효는 『기신론』의 기본 구조인 일심이문(一心二門)에서 먼저 이문(二門) 중 심진여문을 중관학파의 주장으로, 심생멸문을 유식학파의 주장으로 보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이문(二門)이 일심(一心)으로 귀결되는 데서 『기신론』의 성격을 중관 · 유식의 지양 · 조화...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산티데바 산티바르마, 寂天불교 연구의 중심지이자 인도 최고의 승원대학이었던 날란다 사(寺)에서 공부한 학자였으며, 유가행파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중관학파의 계보를 이은 수행자였다. 나가르주나(용수)가 창시한 중관학파의 사상은 공사상에 바탕을 둔 불교철학이다. 티베트에서 전승되는 문헌에 의하면 산티데바는...
- 시대 :
- 8세기
- 출생 :
- 687년
- 사망 :
- 763년
- 본명 :
- 산티바르마
- 국적 :
- 인도
- 직업 :
- 승려, 철학자
- 대표작 :
- 〈입보리행론〉, 〈대승집보살학론〉, 〈경론〉
- 성별 :
- 남
-
대승 마하연(摩訶衍), 大乘正理學派)의 소의 경전인 『니야야 수뜨라(Nyāya sūtra, 正理經)』가 완성된 이후로 인도 논리학이 비약적으로 발달하던 시대였다. 이 시대를 관통하면서 중관학파에서는 『반야등론(般若燈論, Prajña pradīpa)』 등의 저자인 청변(淸辯, Bhāvaviveka, 또는 Bhavya: 500~570)이 등장하여 인명을 도입하여 중관사상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