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용덕 금성용덕, 金龍德
    비밀결사 화령회(和寧會)가 발각되고, 화령회와 연계하여 활동 중이던 홍완표가 체포되면서 무등독서회 조직과 활동도 드러나 동료들과 함께 붙잡혔다. 1945년 8월 9일 퇴학 처분을 받았고 8월 15일 광복을 맞아 풀려날때까지 고초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26년 4월 7일, 전라북도 익산(益山)
    사망 :
    1995년 11월 8일
    관련 사건 :
    광주사범학교 무등독서회 사건
    주요활동 :
    1943년 광주사범학교 비밀결사조직 무등독서회 조직
    포상훈격 :
    2017년 대통령표창
    관련 인물/단체 :
    무등독서회(無等讀書會)
  • 김영근 금곡영근, 金榮根
    3년을 받고 김천소년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다른 사건으로 다시 붙잡혀 1944년 2월 2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단기 6월 장기 2년을 받고 재차 옥고를 치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23년 10월 23일, 강원도 회양(淮陽)
    사망 :
    2016년 9월 14일
    주요활동 :
    1939년부터 춘천중학교 재학 중 독서회 조직, 1941년 춘천중학교 내 한일학생간 민족차별 및 식민지 교육에 항거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춘천중학교(春川中學校) 독서회(讀書會)
  • 김옥남 金玉男, 金玉南
    재판을 받았다. 1921년 12월 23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이른바 ‘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의 건’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았다. 이에 불복하고 항소하였으나 1922년 3월 1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면서 옥고를 치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02년, 전라남도 강진(康津)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1921년 목포 영흥학교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21년 11월 15일 목포 영흥학교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 :
    1995년 대통령표창
  • 고제신 고문경, 高濟臣
    정읍군 영원면장(永元面長) 김학준(金學準)의 집에 숨어 지내다 부안군 줄포경찰서 경찰대에 체포되어 광주형무소에 재감 중 1924년 8월 28일 전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강도죄로 징역 8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83년 10월 27일, 전라북도 부안(扶安)
    사망 :
    1943년 1월 30일
    관련 사건 :
    군자금모집
    주요활동 :
    1910년 광복회 가입, 1921년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지원을 위한 군자금 모집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광복회
  • 김주석 괴암, 金周錫
    조사를 받았다. 1944년 4월 9일 군기보호법 및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같은 해 8월 1일 부산지방법원 검사국에서 국방보안법 제22조에 따라 구류 기간이 갱신되어 고초를 겪다가 8월 18일 구류 취소되어 풀려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27년 8월 22일, 경상남도 마산(馬山)
    사망 :
    1993년 12월 29일
    주요활동 :
    1943년 항일 비밀결사 학우동인회 참여
    포상훈격 :
    2018년 대통령표창
    관련 인물/단체 :
    학우동인회(學友同人會)
  • 김종언 김종원, 金宗彦
    비롯하여 소작 회원들과 함께 붙잡혀 목포경찰서를 거쳐 광주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26년 3월 19일 광주지방법원 예심 재판에서 공판 회부가 결정되었다. 1926년 5월 10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소요죄로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87년 7월 10일, 전라남도 무안(務安)
    사망 :
    1969년 9월 13일
    관련 사건 :
    무안 도초도 소작쟁의
    주요활동 :
    1924년 도초면소작인회 가입, 1925년 도초도 소작쟁의 참여
    포상훈격 :
    2018년 대통령표창
    관련 인물/단체 :
    도초면소작인회(都草面小作人會)
  • 김정상 김재안, 金正祥
    계원 송내호 ・ 장병준(張炳俊)과 함께 민족해방을 위해서는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가 협동전선을 결성하여 통일적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여 이를 위한 좌우합작모임을 추진, 신간회 탄생의 근간이 되는 활동을 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94년 10월 7일, 전라남도 장흥(長興)
    사망 :
    1965년 7월 1일
    주요활동 :
    1924년 강연회에서 민족의식 고취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수의위친계
  • 권대형 權大衡
    경찰에 체포되었다. 1933년 4월 20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년(미결구류일수 180일 본형산입)형을 선고받았고, 이듬해 칙령 제19호에 의해 4년 7개월 14일로 감형되었으나, 장기간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98년 8월 28일, 경상남도 하동(河東)
    사망 :
    1947년 10월 9일
    관련 사건 :
    3・1운동, 조선공산주의자재건협의회 사건
    주요활동 :
    1919년 경남 하동군 3・1운동 참가, 1924년 이후 일본에서 일월회 ・ 동경조선청년동맹 ・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 재일본동경조선노동조합 ・ 신흥과학연구회 및 신간회 동경지회 활동, 1928년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활동, 1931년 조선공산주의자재건협의회 조직, 당 재건 활동
    포상훈격 :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일월회, 동경조선청년동맹,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재일본동경조선노동조, 신흥과학연구회, 신간회 동경지회,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조선공산주의자재건협의회
  • 강주형 강부형, 姜宙馨
    군중의 만세 참여를 독려하다가 그 자리에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19년 4월 14일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5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항소하였으나 1919년 5월 2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87년 10월 19일, 전라남도 강진(康津)
    사망 :
    1976년 9월 5일
    관련 사건 :
    강진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4월 4일 강진군 강진면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 :
    1992년 대통령표창
  • 강학린 姜鶴麟
    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항소하였으나 1919년 9월 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기각되었다. 다시 상고하였으나 1919년 10월 11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겪었다. 1920년 7월 11일 출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885년 6월 1일, 황해도 재령(載寧)
    사망 :
    1937년 7월 5일
    관련 사건 :
    성진면 만세시위
    주요활동 :
    1919년 3월 10일 성진군 성진면 만세시위 주도
    포상훈격 :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
  • 김인순 금산응화, 金仁順
    1941년 2월 28일 춘천농업학교에서 퇴학처분을 받았다. 1941년 붙잡힌 후 미결수로 오랫동안 고초를 겪다가 1942년 10월 21일에 경성지방법원에서 판결을 받았다.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4년을 받아 풀려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21년 10월 25일, 강원도 춘천(春川)
    사망 :
    1950년 8월 20일
    관련 사건 :
    춘천농업학교 비밀결사 독서회 사건
    주요활동 :
    1938년 춘천농업학교 비밀결사 독서회 가입 및 활동
    포상훈격 :
    1996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춘천농업학교 독서회
  • 김중현 금택중현, 金仲鉉
    강압적으로 대응하였다. 이처럼 제주도 해군 기지에 대한 정보 교류와 일제가 선전하는 내용과 정반대인 국제 정세에 대한 예측과 유포로 1942년 10월 24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육군형법과 해군형법 위반으로 금고 10월을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참고문헌
    출생 :
    1914년 7월 20일, 제주(濟州)
    사망 :
    1974년 8월 20일
    관련 사건 :
    제주 천주교사건
    주요활동 :
    1939년부터 아일랜드 출신 천주교 신부, 신자들과 함께 중일전쟁 이후 일제는 패전할 것이라는 내용을 선전
    포상훈격 :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