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7년 10월 19일, 전라남도 강진(康津) |
---|---|
사망 | 1976년 9월 5일 |
관련 사건 | 강진면 만세시위 |
주요활동 | 1919년 4월 4일 강진군 강진면 만세시위 주도 |
포상훈격 | 1992년 대통령표창 |
1887년 10월 19일 전라남도 강진군(康津郡) 강진면(康津面) 남포리(南浦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강부형(姜富馨)이다. 기독교인으로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3・1운동의 소식이 종교계와 학생들을 통해 빠르게 전해지면서 강진면에서도 만세 시위를 준비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1919년 3월 말 기독교인 이기성(李基性) ・ 황호경(黃鎬京) 등은 도쿄 유학생 김안식(金安植)과 함께 만세 시위를 주도할 사람을 물색하던 중 경찰에 발각되었다. 이때 검거를 면한 이기성은 김현봉(金炫鳳) ・ 김후식(金厚植) ・ 오승남(吳承南) 등과 함께 다시 4월 4일 장날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만세 시위 전날인 4월 3일 남포리교회를 찾아온 이기성을 만난 뒤, 만세 시위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다음 날인 4월 4일 강진교회의 타종을 신호로 만세 시위가 시작되었다. 주동자들은 강진 장터에서 태극기 300매, 독립선언서 70매, 독립가(獨立歌)를 인쇄한 용지 20매를 군중에게 나누어 주며 만세 시위를 이끌었다. 1,000여 명에 달하는 군중의 만세 참여를 독려하다가 그 자리에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19년 4월 14일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5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항소하였으나 1919년 5월 2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정혜인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판결문」,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 1919.4.15
- ・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5.21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제5집 3・1운동재판기록, 1972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3권 삼일운동사(하), 1971
- ・ 박찬승, 『한국독립운동사–해방과 건국을 향한 투쟁』, 역사문제연구소, 2014
- ・ 『광주 ・ 전남 독립운동사적지』 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 ・ 박찬승, 「전남지방의 3・1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 『역사학연구』 9, 전남사학회, 1995
- ・ 한규무, 「호남지역 3・1운동과 종교계–선행연구 검토와 향후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73, 호남사학회, 2019
- ・ 공훈전자사료관 누리집(http://e-gonghun.mpva.go.kr)
- ・ 강진읍 누리집(http://www.gangjin.go.kr)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강주형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