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묘법연화경 권4∼7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卷四∼七
    ㎝, 가로 16.9㎝이며, 반엽(半葉) 14행 24자의 세자(細字)로 간행된 판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발문에 의하면, 해린(海隣)이 정천익과 이양 등의 시주와 도움을 받아 만 1년간 작업하여 간행한 것이라 하였다. 뒷면 표지의 면지에 "시주이씨, 영광군부인봉장김씨, 전수의교위천우위중령...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산청 문익점 묘 山淸 文益漸 墓
    등을 역임하였다. 1363년 사간원 좌정언으로 있을 때, 서장관이 되어 이공수(李公遂)를 따라 원나라에 갔었다. 원에서 귀국할 때 목화씨를 숨겨 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재배하여 우리나라 의생활 발전에 혁신을 가져 왔다. 조식(曺植)은 후일 선생의 공로를 “백성에게 옷을 입힌 것이 농사를 시작한 옛 중국...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산청 목면시배 유지 山淸 木棉始培 遺址
    1363년(공민왕 12) 문익점이 중국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3년 동안 귀양살이를 하고 돌아오면서 목화씨를 몰래 붓통에 숨겨가지고 들여와 그의 장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부탁하여 처음으로 목화를 재배하였던 곳이다. 또, 부근의 마을은 문익점의 출생지이기도 한데, 이 마을은 목화재배의 유래를 간직해오면서 지금...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목면시배유지
    면화(棉花)를 재배한 곳이다. 문익점은 1363년(공민왕 12) 원나라에 가는 사신의 일원으로 갔다가 귀국하는 길에 붓대에 면화씨를 넣어가지고 왔다. 장인 정천익과 함께 시험재배를 하였는데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잘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다. 그러다가 3년 간의 노력 끝에 성공하여 전국에 목화 재배를...
    위치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목화로 887
  • 문신(文臣)이었던 문익점(文益漸)이 1363년(공민왕 12)에 사신으로 원나라에 왕래하며 목화씨를 가져온 이후이다. 문익점이 가져온 목화씨는 그의 장인인 정천익(鄭天益)에 의해 재배에 성공하면서 전국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재형의 산문과 시가를 엮어 1758년(영조 34)에 간행한 시문집인...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문익점 Mun Ikchŏm, 文益漸
    그는 애초 공민왕 때에, 한림원 사간원관 겸 좌정언 재직 시절, 원나라에 사신으로 건너갔다가, 목화 씨 몇 알 등을 고려로 들여와, 향리에서 계배 장인 정천익하고 함께 이를 재배하였다.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그의 장인 정천익이 심었던 한 송이가 겨우 싹을 틔웠다. 그의 3년 동안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도서 위키백과
  • 청계서원 (진주시)
    청계서원(淸溪書院)은 고려의 문신인 정신열과 정천익을 배향한 서원이다. 사적 제118호인 진주성 안에 있다. 정신열은 고려 때 병부상서로 거란의 난을 물리친 공으로 진양부원군 은열공 시호를 받았으며, 정천익은 문익점의 장인으로 1364년 고려 공민왕 13년 이 땅에 목면종을 처음 심어 그 중 한 알을 살려 번식...
    도서 위키백과
  • 『범어사 묘법연화경』 梵魚寺 妙法蓮華經
    현종 9)에 경상남도 울산 운흥사(雲興寺)에서 개판한 판본으로 승려 학훈(學勳)과 연희(演熙)가 주관하여 간행한 것이다. 조선 전기인 1399년(정종 2) 정천익(鄭天益)에 의해 간행된 판본이 현재까지 전해진 조선 시대 판본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다. 범어사에는 약 160여 종에 이르는 『묘법연화경』이 전해지고 있는데...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 경절사
    侍郞)에 추증되었고, 영정을 기린각에 모셨다. 현재 진주성 내에 있는 경절사에 배향되어 있다. 경절사 앞에는 하공진의 사적비가 서 있고, 맞은 편으로 경절사가 있다. 경절사 오른 편으로는 탑림이 있고, 왼쪽 편으로는 문익점의 장인으로 실질적으로 면화를 재배했던 정천익을 모신 청계서원이 있다. 하공진 강조의 정변
    도서 위키백과
  • 산청 문익점 묘
    최영에게 패하면서 실패하였다. 문익점은 이 계획에 동참하였다는 혐의로 귀국과 동시에 중국 운남성으로 귀양을 갔다. 귀국할 때 목화씨를 숨겨와 장인 정천익과 함께 재배하여 의류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우왕이 즉위하면서 다시 전위주부에 올랐는데 이성계 일파의 개혁을 반대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죽은...
    도서 위키백과
  • 산청 목면시배 유지
    중국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올 때, 밭을 지키던 노인이 말리는 것을 무릅쓰고 목화 몇 송이를 따서 그 씨앗을 붓통에 넣어가지고 왔다. 장인 정천익과 함께 시험재배를 하였는데,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다. 그러다가 3년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전국에 목화재배를...
    도서 위키백과
  • 산청 문익점 신도비
    몰아내려 하였다가 최영에게 패한 일이 생겨, 문익점도 그 누명을 쓰고 귀국과 동시에 관직을 삭탈 당하였다. 귀국할 때 붓뚜껑 속에 목화 몇 송이를 숨겨와 정천익과 함께 시험재배를 하였으며, 3년간의 노력 끝에 성공하여 전국에 퍼지게 하였다. 훗날 조식은 그의 이러한 공로를 기리어 시를 지어 찬양하기도 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