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언어와의 작별 Goodbye to Language, さらば、愛の言葉よ
    영화 정보 《언어와의 작별》은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제작된 장뤼크 고다르 감독의 2014년 드라마 영화이다. 엘로이즈 고데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엘로이즈 고데 제시카 에릭슨 알렉상드르 파이타 조에 브뤼노 크리스티앙 그레고리 리샤르 슈발리에 마리 뤼샤 at AlloCiné올무비 제목메타크리틱 영화
    도서 위키백과
  • 작별하지 않는다 We Do Not Part
    작별하지 않는다는 한강의 장편소설으로 2021년 9월 9일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2023년 프랑스 문학상인 ‘올해의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에 선정됐다. 최경란·피에르 비지우 역, 앵포시블 자디우(‘Impossibles adieux’), GRASSET , 2023년. ISBN
    도서 위키백과
  • Lovelyz8 Lovelyz8
    티저 이미지를 공개하였다. 9월 7일 공식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서 단체 티저 이미지를 공개하였으며, 선공개 싱글의 발표를 알렸고, 9월 14일에 선공개 싱글인 〈작별하나〉가 발매되었다. 9월 21일 트랙 리스트가 공개되었으며, 9월 23일 타이틀곡 〈Ah-Choo〉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을 공개하였고, 9월 28일 음원...
    도서 위키백과
  • 한강 韓江
    이어갔다. 장편소설 <그대의 차가운 손>(2002), <채식주의자>(2007), <바람이 분다, 가라>(2010), <희랍어 시간>(2011), <소년이 온다>(2014), <흰>(2016), <작별하지 않는다>(2021) 등을 발표하는 한편, 작품집 <노랑무늬 영원>(2012),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2013), 산문집 <사랑과 사랑을 둘러싼 것들...
    출생 :
    1970. 11. 27 , 전라남도 광주
    국적 :
    대한민국
    직업 :
    시인·소설가
    수상 :
    이상문학상(2005), 황순원문학상(2015), 김유정문학상(2018), 대산문학상(2022), 맨부커 국제상(2016), 메디치상(2023), 에밀기메 아시아문학상(2024), 호암예술상(2024), 노벨 문학상(2024)
  • 제1차 왕자의 난 방원의 난
    방원과 가까이 하면서 힘껏 그를 도왔으므로 방원도 그를 가장 신임하게 되었다. 태조 7년(1398) 8월, 하륜이 충청감사가 되어 임지로 떠나는 날, 방원은 작별인사 겸 그를 남대문 밖 사저로 찾았다. 그때 하륜은 풍문으로 정도전·남은·유만수 등이 방원을 제거하기 위해 모의하고 있다는 내막을 얻어듣고 있었다...
  • 그리스도의 유년 시절 엑토르 베를리오즈, L’enfance du Christ Op.25
    나는 즉시 이 곡에 어울릴만한 가사를 생각해냈다. 오르간 곡이 사라지고 이 곡은 베들레헴에서 예수의 성가족이 이집트로 피신하는 아기 예수에게 목동들이 작별인사를 하는 목동들의 합창이 되었다.” 이렇게 해서 전체 3부로 구성된 〈그리스도의 유년시절〉의 일부가 탄생되게 되었다. 베를리오즈가 뒥의 종이에...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성악곡 > 기타
    제작시기 :
    1850~1854년 7월(제2부는 1850년)
    작곡가 :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
    초연 :
    1854년 12월 10일, 파리(베를리오즈의 지휘)
    출판 :
    1855년
    편성 :
    나레이터(테너), 마리아(메조 소프라노 또는 알토), 요셉(바리톤), 포리돌스(바리톤), 헤롯 왕(베이스), 공장의 우두머리(베이스), 혼성 합창 플루트 2(피콜로 1), 오보에 2(잉글리시 호른 1),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코넷 2, 트롬본 3, 팀파니, 오르간(또는 하모늄), 하프, 현5부
  • 조지 무어 무어, George (Augustus) Moore
    과 짧고 시적인 소설 〈호수 The Lake〉(1905)도 선보였다. 그러나 아일랜드에서 거둔 가장 큰 결실은 〈대로 Ave〉(1911년)·〈노예 Slave〉(1912년)·〈작별 Vale〉(1914)로 이루어진 3부작 〈환영과 작별 Hail and Farewell〉이다. 논설적이고 다감하지만 때로 풍자적인 이 작품은 계속적인 독백 형식으로 면밀한...
    출생 :
    1852. 2. 24, 아일랜드 마요 밸리글래스
    사망 :
    1933. 1. 21, 런던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마농 Manon
    마농은 브레티니의 유혹에 흔들린다. 자신이 이제는 떠날 때를 깨달은 마농은 데 그뤼와 함께 살았던 아파트를 둘러보고, 거기에 놓인 작은 식탁을 바라보며 작별을 고한다. 〈안녕, 작은 테이블이여〉는 이 때 부르는 마농의 아리아로 가난한 삶에서도 행복했던 데 그뤼와의 생활을 떠올리며 작별을 고하는 내용을 담고...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제작시기 :
    1883년
    작곡가 :
    쥘 마스네(Jules Massenet, 1842~1912)
    원작 :
    아베 프레보, 《기사 데 그뤼와 마농 레스코의 진실한 이야기》
    초연 :
    1884년 1월 19일 파리 오페라 코미크 극장
    출판 :
    1884년, 파리
    등장인물 :
    • 기사 데 그뤼(기사, 테너) • 백작 데 그뤼(기사 데 그뤼의 아버지, 베이스) • 마농 레스코(소프라노) • 레스코(마농의 사촌 오빠, 바리톤) • 기요 드 모르퐁텐(노귀족, 테너) • 브레티니(기요의 친구, 바리톤) • 푸세트(여배우, 소프라노) • 자보트, 로제트(여배우들, 메조소프라노)
    배경 :
    18세기 초 아미앵, 파리, 아브르로 가는 길
    대본(리브레토) :
    앙리 메야크, 필립 질
    구성 :
    5막 오페라 코미크
  • 알체스테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Alceste
    내어놓기로 결심한다. 지하세계의 신들이 있는 숲에 알체스테가 홀로 서 있다. 지옥의 신이 자신의 이름을 부르자 알체스테는 마지막으로 남편과 아이들에게 작별인사를 하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한편 사경을 헤매던 아드메토가 깨어나자 온 백성이 기뻐한다. 아드메토는 그간의 일을 듣고 누군가 자신을 위해 희생을...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오페라
    제작시기 :
    1767년
    작곡가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1787)
    원작 :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알케스티스〉
    초연 :
    1767년 12월 26일, 빈 부르크 극장(이탈리아어) 1776년 3월 23일 파리 왕립 음악 아카데미(프랑스어)
    등장인물 :
    • 알체스테(테살리아의 왕비, 소프라노) • 아드메토(테살리아의 왕, 테너) • 에반드로(아드메토의 친구, 테너) • 이스메네(알체스테의 친구, 소프라노) • 에우멜로와 아스파시아(알체스테와 아드메토의 아이들, 소프라노) • 지옥의 신(베이스) • 아폴로(바리톤) • 아폴로 신전의 제사장(바리톤)
    배경 :
    고대 그리스의 페라이 왕국
    대본(리브레토) :
    라니에리 데 칼차비지(이탈리아어); 르블랑 뒤 룰레(프랑스어)
    구성 :
    3막
  • 망월사친가 望月思親歌
    떠나셔니 압흐로난 고국산쳔 뒤우로난 졍든타향 이별하기 마슬여 힘업난 거름으로 졍드럿든 산쳔초목 두번세번 도라보며 잘잇거라 나는간다 눈물뿌려 작별하고 목당강 졍다장을 눈결의 당도하니 별하든 나의동 눈압회 완연하다 ………… 상주함창 용궁지나 예천영쥬 내경이라 이져 내려오니 이별하든 고향쳔...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성격 :
    규방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유송경기 游松京記
    多羅樹의 잎, 즉 불교의 경문)과 전단향(栴檀香 : 자단·백단 등 향나무)에 쓴 범어(산스크리트 어)로 된 책을 구경한다. 엿새째에는 계준·승린·학련과 작별하고 계철과 더불어 적벽을 지나 적성을 거쳐 임진촌에 이르러서 자고는 다음날 계철과 작별한다. 의의와 평가 「유송경기」는 추보식(追步式) 노정순(路程順...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창협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기행문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클로드 드뷔시, Pelléas et Mélisande
    한다. 둘은 동굴로 가보지만 음산한 분위기에 다시 돌아오게 된다. 제3막 펠레아스는 탑의 창가에 앉아 빗질을 하는 멜리장드에게 다음날 여행을 떠난다는 작별을 알린다. 멜리장드는 창문 너머로 펠레아스와 키스를 나누고,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다. 그런데 골로가 이 광경을 목격하고 그만 불안에 빠진다. 골로는 동생...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오페라
    제작시기 :
    1893~1902년
    작곡가 :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초연 :
    1902년 4월 30일, 파리 오페라 코믹 극장 앙드레 메사제 지휘, 알베르 키아레 연출, 앙리 뷔셀 합창지휘
    출판 :
    1902년(노래, 피아노판), 1904년(관현악 총보)
    등장인물 :
    • 아르켈(알르몽드의 왕, 베이스) • 제네비에브(아르켈의 며느리, 메조소프라노) • 골로(제네비에브의 큰아들, 바리톤) • 펠레아스(제네비에브의 작은아들, 테너) • 이뇰드(골로의 아들, 소프라노) • 멜리장드(소프라노) • 내과 의사(베이스) 등
    배경 :
    중세, 가상의 나라 알르몽드
    대본(리브레토) :
    프랑스어, 모리스 메테를링크의 희곡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구성 :
    5막 15장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동대문역에 마지막으로 도착한 열차를 향해 작별 인사를 하는 전차 승무원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