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름골풀 Three-hull rush끝이 둔하다. 꽃 7-8월 개화. 원줄기 끝에 2-3개의 꽃으로 된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씩 달린다. 포는 다갈색이고 인편상으로서 꽃과 길이가 비슷하다. 화피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mm정도로서 다갈색이며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삭과는...
- 분류 :
- 골풀목 > 골풀과 > 골풀속
- 꽃색 :
- 갈색
- 학명 :
- Juncus triglumis L.
- 개화기 :
- 7월, 8월
-
-
꼬마구름무늬밤나방특징 구름무늬방나방과 대단히 유사하지만, 크기가 약간 작음. 앞날개는 자갈색 빛이 다소 강하며, 외횡선의 굴곡이 약간 약함. 아외연대는 담색을 띠는데, 중앙에서는 시맥상에 갈색점의 열을 이룸. 뒷날개는 암회색과 담색의 횡대가 여러 줄 나타남. 생태 성충은 7-8월 경에 출현.
- 분류 :
- 나비목 > 밤나방과
- 학명 :
- Mocis ancilla (Warren, 1913)
-
바위미나리아재비 구름미나리아재비생물학적 특징 다년초 식물체에 갈색 털 밀생, 근경은 짧음 높이 10㎝내외 근생엽은 3개로 갈라짐, 열편은 결각상 또는 거친 거치연, 긴 엽병, 경엽은 소형, 3개로 깊게 갈라짐, 열편은 선형, 엽병이 없음 꽃은 7월 황백색 개화, 꽃받침은 5개, 난상 피침형, 첨두, 꽃잎은 5개, 도란상 원형, 원두, 암술과 수술은 많음...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서식지 :
- 1000m이상 고산
- 학명 :
- Ranunculus crucilobus Leveille = Ranunculus borealis Nakai
- 분포지역 :
- 한국(한라산)
-
태양열 발전 太陽熱 發電햇빛을 집중시켜 1,000℃에 가까운 열을 얻은 다음 이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때 반사판은 직사광만을 이용할 수 있어서 태양열 발전을 하기에는 구름이 적고 햇빛이 강한 지역이 적합하다. 태양열 발전시설은 대체로 접시/엔진(dish/engine) 시스템, 홈통형(trough) 시스템, 전력 타워(power tower...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삼강행실도에 그려진 충·효·열 우매한 백성과 시골 아낙까지 깊이 감화시켜라정도로 구성되고 건물이나 산수, 구름 등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구성 방식으로 인해 『삼강행실도』의 그림은 동일 장소나 인물이 반복적으로 표현되는 특징을...있어 당시 생활상도 엿볼 수 있다. 불사이군의 충절로 나라 기강을 다지다 그렇다면 『삼강행실도』에 나타난 충·효·열은 어떤 것일까? 우선 이 책에...
-
우주 먼지에 의해 눈덩이로 변했던 지구사이에 이러한 냉각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우리 은하에는 수많은 분자 상태의 구름이 있으며 이들이 뭉쳐서 먼지 입자로 변한다. 태양계는 은하 속을 움직이면서...먼지 입자는 태양 빛을 우주로 반사시키면서 지구에서 나오는 열을 우주로 통과시킨다. 결국 먼지 입자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와 정확히...
-
대구 대구어, 大口나가며 넓적하다. 입은 크며 비늘은 작고 둥근 모양이다. 등지느러미는 3개이며 주둥이 아래에 1개의 수염이 있다. 몸의 등 쪽은 담황색 바탕에 적갈색 구름무늬가 흩어져 있다. 주로 어류, 두족류, 갑각류 등을 먹으며 찬물에 서식한다. 12-4월에 부유성 알을 낳는다. 동해와 남해 동부, 서해에 서식하며 일본 오호츠크...
- 분류 :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대구목 > 대구과 > 대구속
- 서식지 :
- 찬물
- 학명 :
-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1810
- 국내분포 :
- 동해와 남해 동부, 서해
- 해외분포 :
- 일본 오호츠크 해, 베링 해 등
-
특이한 구름과 인공적인 구름모든 구름들이 날씨라는 일반적인 엔진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구름은 산불, 화산 열, 그리고 다양한 인간 활동으로부터 생성되기도 한다. 제트기는 하늘을 가로지르는 기다란 비행구름을 만든다. 몇몇 산업체들은 구름을 공기 속으로 집어 넣기도 한다. 심지어 핵폭탄에 의한 버섯구름도 수증기가 응결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