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니케아 공의회가 열리다
    분란에 휩싸여 있었다. 이에 제국 전체가 분열로 치달을 것을 우려한 황제가 교회의 문제에 직접 개입한 것이었다. 논쟁의 두 주역은 아타나시우스와 아리우스였다. 아타나시우스는 신과 예수가 동일하다고 주장했지만, 아리우스는 예수가 신의 피조물일 뿐이라며 그 신성(神性)을 부정했다. 즉 절대자인 신(神)이 인간...
    시대 :
    325년
    국가/대륙 :
    유럽
  • 루시퍼 Lucifer
    겪었다. 아리우스주의자였던 콘스탄티우스 황제는 353년 가울의 아를라트(지금의 아를)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반대파의 중심인물인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우스 주교를 정죄했다. 이 회의의 편파적인 결정에 당황한 교황 리베리우스는 루시퍼에게 공평한 제국회의를 다시 열도록 요청하라고 했다. 그 결과 열린...
    출생 :
    미상
    사망 :
    370경
    국적 :
    사르데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기독교의 공인과 발전
    파는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아리우스가 제창한 것으로 삼위일체설을 부인하고 예수의 신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아리우스파에 대항해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아타나시우스는 성부와 성자, 그리고 성령이 모두 동일하다는 삼위일체설을 주장하며 맞섰다. 이 두 주장은 당시 기독교 세계를 치열한 논쟁의 장으로 몰고 갔지만...
  • 초기 공의회와 그리스도
    325년 니케아에서 제1차 세계 공의회를 소집했다. 참석한 주교들의 개인적 의견은 일치하지 않았으나, 주된 의견은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된 젊은 사제 아타나시우스가 주창한 것이었다. 니케아 공의회는 그리스도가 '만들어지지 않고 낳아졌으며' 따라서 그는 피조물이 아니라 창조자였다고 결정했다(니케아 신경). 또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Caesarea
    연합 쪽으로 기울었고, 니케아 공의회의 진정한 지지자들은 곧 이견파(異見派)로 전락했다. 에우세비오는 안티오키아의 유스타티우스(337경),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335), 앙키라의 마르켈루스(336경)를 추방하는 데 가담했으나, 콘스탄티누스가 그의 공로를 배려하여 제의한 안티오키아 주교직은 받아들이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사르디카 공의회 Council of Sardica
    소집되어 아리우스 논쟁을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이 공의회는 두 파의 관계와 동·서 로마 제국의 관계를 한층 더 악화시켰다. 동방측이 내쫓았던 주교 아타나시우스가 공의회에 나타난 데다 서방측 주교들이 그를 제외시키길 거부하자, 동방측 주교들은 공의회 참가를 거부하고 외국의 몇몇 고위 성직자들에게 보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콥트 가톨릭 교회 Coptic Catholic Church
    그리스도의 단일 본성만을 인정한 단성론자였던 콥트의 주교 아타나시우스가 1741년 로마 가톨릭교도가 되자 콥트 교회도 로마 가톨릭에 속하게 되었다. 아타나시우스의 뒤를 이은 2명의 주교는 유럽까지 갈 수 없었고, 성직임명식을 거행할 자격이 있는 이집트 주교가 없었기 때문에 주교 임명을 받지 못했다. 1893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프루멘티우스 Saint Frumentius
    황태자의 가정교사가 되었고, 로마 제국에서 온 그리스도교 상인들에게 종교활동의 자유를 주었다. 섭정 역할을 마친 뒤 347년경 알렉산드리아의 주교인 아타나시우스를 방문하여 에티오피아의 그리스도교화를 더욱 촉진할 것을 조언했다. 아타나시우스에게 주교 임명을 받은 뒤 그리스 그리스도교의 성서 및 전례 본문...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니키포로스 2세 Nikephoros II Phokas
    장악했으며 비인도적인 대학살을 벌여 모든 아랍 저항세력을 무찔렀다. 아토스 산에 그리스 정교회 수도원을 세웠고 니키포로스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아타나시우스를 비롯한 성직자들의 도움을 받아 크레타에 그리스도교를 다시 강화했다. 그뒤 크레타 섬의 마지막 아미르(amir:이슬람 왕국의 군주)인 아브드 알 아지즈...
    출생 :
    912, 카파도키아
    사망 :
    969. 12. 10/11,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토스 산 Mount Athos
    그 흔적이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다. AD 850년 전에 이미 은수사(隱修士)들이 이 산에 살고 있었지만 체계를 갖춘 수도원 생활은 963년에 성 아타나시우스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인 니케포루스 2세 포카스의 후원을 받아 최초의 수도원인 대(大)라우라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운수사들이 체계를 갖춘 공동체 수도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 클레멘스문학 Clementine literature
    둘째 편지〉(편지가 아니라 설교이며, 140년경 로마에서 씌어진 것으로 여겨짐), 동정녀에 대한 2통의 편지(클레멘스가 아니라 알렉산드리아 주교였던 아타나시우스가 쓴 것으로 여겨짐), 〈설교집 Homilies〉과 〈발언 Recognitions〉(클레멘스가 '주의 형제' 야고보에게 쓴 것으로 여겨지는 편지가 서문으로 실려 있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신경 信經, creed
    성부에게서뿐 아니라 성자에게서도 나온다는 뜻의 '필리오쿠에'(성자로부터)라는 구절을 채택했다. 서방교회의 3번째 에큐메니컬 신조는 아타나시우스 신조이다(아타나시우스 신조). 16세기 이래로 동방교회에서 별로 인정받지 못한 이 신조는 로마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가 공식적으로 채택하고는 있지만 최근 몇 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아타나시우스(Saint Athanasiu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