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래 식량자원 확보, 과학적으로 접근한다전 세계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외의 작물 현황, 기후 현황, 국내의 식량 현황이 실시간 체크되면서 조금이라도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재빨리 대처하게끔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했다. 농업은 이제 농촌뿐만 아니라 도시 한복판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2023년, 농민과 도시민 모두가 먹거리, 즉...
-
산행식량 섭취와 준비방법한다. 세계등산협회에서도 최소한 2시간 이내에는 식품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함께 먹지 말고 각자 먹어라 한국인에게는 품앗이와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등산을 할 때도 모여서 함께 먹는 풍습이 이어진다. 체력이 비슷하고 신체 에너지의 보유량이 똑같다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저마다 체력 차이가 나고...
-
기후 변화와 맬서스의 덫Aquila Food Security Initiative)를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개도국의 식량 안보 문제 해소를 위해 3년간 200억 달러의 지원을 공약했는데, 다만 이 돈은...소를 잃지 않기 위해 외양간부터 튼튼히 만들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이다. 세계 최대의 식량 원조국이었던 미국은 사실 자국의 잉여 농산물을...
-
세계 인도주의의 날 World Humanitarian Day인도적 지원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고 있다. 2016년에는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가 주관하고 외교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후원으로 기아대책,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팀앤팀, 한국월드비전, 더멋진세상과 같은 민간기구와 유엔난민기구(UNHCR),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등의 국제 기구들이 참여했다...
- 분류 :
- 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2008년
- 날짜 :
- 8월 19일
- 제정처 :
- 국제연합(UN),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
사람 관련 우리말, 얼마나 굶어야 굶었다고 하나기아 인구가 7억 9500만 명으로 약간 줄었다. 다만 세계 인구 증가에 비하면 감소율은 더 큰 편이다. 2015년 유엔식량농업기구와 국제농업개발기금, 세계식량계획이 공동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시아 기아 인구는 15.7퍼센트, 중남미는 5.5퍼센트로 줄었으나 아프리카 기아율은 23.2퍼센트로 변화를 보이지 않고...
-
산미증식계획 産米增殖計劃개설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농업 부문의 식민지적 재편을 완료한 일본 제국주의가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급성장한 일본 독점자본의 요구에 부응, 조선을 자국의 식량공급기지로 삼기 위해 1920년부터 3차에 걸쳐 추진한 식민지 경제정책이다. 제1차 계획은 1921년부터 1925년까지의 5개년 계획이었다. 제2차 계획은...
- 시대 :
- 근대
- 성격 :
- 경제제도, 식민지정책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21년(1차), 1926년(2차), 1940년(3차)
- 시행처 :
- 조선총독부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단위농업종합개발계획 大單位農業綜合開發 計劃이용과 식량자원의 증산을 위해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으로 시행되었다. 이때 간척지 내의 2,500㏊를 내부 개답하고, 간척농지 내의 원활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양수장 4개소, 용배수로 352㎞를 건설했다. 또한 1977년에는 섬진강 댐 수몰민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계화리 내에 26.4㏊의 택지를 조성하여 1,000동의...
-
제1차 5개년 계획과 정풍 운동 제1차 5개년 계획과 整風運動내는 식량은 나라 전체의 생존에 필요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대외적으로는 그동안 중국 인민의 고혈을 빨아먹었던 제국주의의 특권과 권익을 폐지함으로써...미국의 경제 원조를 얻어 급속하게 재기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제 세계 정세는 미국과 소련이라는 양대국을 축으로 한 ‘냉전 체제’로 접어들고 있었다...
-
PL480특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상업적 채널로 유통시킬 수 있다. Title II 프로그램은 사적 지원 단체(PVOs: Private Voluntary Organization)나 세계 식량 계획(WFP)을 통해 식량 지원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소농에 대한 시범 지원 사업, 정책 전환을 통한 시장화 지원 사업, 영양 증진 등 어린이 구호 사업, 환경 위생...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새만금 간척사업 아리울(Ariul), 새만금 干拓事業여의도 면적 140배)를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하도록 예정되어 있다. 역사적 배경 정부는 1967∼1968년 극심한 한발과 1970년대 초 세계적인 식량파동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고자 1971년 새만금사업의 기원인 ‘옥서지구 농업개발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1975년 서남해안 일대 132개 지구 40만 5천ha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