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Triangulation 삼각측량법, 三角測量In trigonometry and geometry, triangulation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point by measuring angles to it from known points at either end of a fixed baseline, rather than measuring distances to the point directly (trilateration). It could be located from the angles subtended...출처 영어 위키백과
-
도근측량 圖根測量, topographic control point surve..측량이다. 현행법상(지적측량시행규칙) 지적측량은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기초측량과, 1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하는 세부측량을 구분하고 있다. 도근측량은 삼각측량이나 삼변측량을 시행하기 어려운 밀집한 시가지에서나 삼림지역에서 시준 길이가 짧은 경우에 유효하다. 도근측량은 측량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
측지측량 測地測量, geodetic surveying거리측량을 할 때에는 지구의 곡률오차를 고려해야 하는 측지측량을 하여야 하고, 22km 미만의 거리에서는 곡률을 무시한 즉, 지구를 평면으로 보고 실시하는 평면측량을 하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측지측량은 대륙 간의 대규모 정밀 측량망의 형성을 위한 정밀삼각측량, 고저측량, 삼변측량, 천문측량 등으로 실시한다...
-
기준점측량 基準點測量, control point surveying있으므로 계산된 좌표 역시 오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인 측정과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며 보다 정확한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지상측량에서 대표적인 수평기준점측량 방법은 다각측량(traverse surveying)과 삼각측량(triangulation)이며 수직기준점측량 방법은 수준측량(leveling)이다...
-
다각측량 多角測量, traverse surveying세부측량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기준점측량은 도면을 제작하기 위한 대상지역에 골조가 되는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각측량, 삼각측량 등이 있다. 다각측량을 위해서는 대상지에 적절한 위치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각 기준점 간의 거리와 각 기준점에서의 각을 관측한다. 관측을 통해 얻어진 각 기준점...
-
측량기사 測量技士준비단계: 각종 자료나 도면을 수집하고 측량방법과 방침을 세운다. ② 외업: 측량현장에서 각종 측량기기 조절과 계획된 관측방법으로 세부 측량을 실행한다. 측량기구로는 삼각·평판·엘리데이드·구심기·추·자침함·레벨·트랜싯 등을 준비한다. 측량의 기본작업은 거리를 재는 것부터 시작되는데 보통 5명이 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
수진측량학교 壽進測量學校교사진은 일본의 동경공수학교(東京工數學校) 졸업자인 김택길(金澤吉)과 김두섭(金斗燮), 일본의 동경참모본부에서 측량학을 공부한 이주환(李周煥) 등이었다. 제2회 학생의 수업기간은 9개월(제1기 6개월, 제2기 3개월)이었는데, 학과목은 제1기에 산술·기하·대수·삼각이고, 제2기에 측량(세부·도근)이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위치 :
- 서울
- 설립 :
- 1908년 5월
- 성격 :
- 근대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