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현궁 광해군의 잠저, 梨峴宮공성왕후로 추존하고 묘호를 ‘성릉’으로 올렸는데, 조맹의 묘소를 파낼 것인지에 대해 의논했으나 신하들이 불가하다고 하여 봉분만 헐었다. 그리고 광해군이 폐위되자 김씨도 따라서 공빈으로 강등되고, 성릉도 성묘로 낮춰졌다. 인조 때 조맹의 후손 조수이 등이 상소하여 다시 봉분할 것을 청하니, 인조가 허락하고...
- 위치 :
- 동부 연화방(조선시대)
- 소재지 :
- 종로구 창경궁로와 김상욱로, 종로 31길 사이 종로플레이스, 인의빌딩 등
-
익산 미륵사지 미륵사지, 益山 彌勒寺址서기 639년에 백제인 왕후의 발원으로 건립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금판 앞뒷면에 194자로 된 사리 봉안 기록판에는 시주자의 신분이 무왕의 왕후로, 좌평(백제의 최고 관직)인 사택적덕의 딸이라는 사실이 새겨져 있다. 이는 백제 서동 왕자(무왕)가 향가 ‘서동요’를 신라에 퍼뜨려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 공주와 결혼...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彌勒寺址石塔과정이 신중하게 이루어졌고, 동시에 백제의 건축기술과 관련된 학술연구가 진행되면서 작업 일정이 지연되었다. 2009년에는 미륵사를 창건한 인물이 ‘좌평 사택적덕(沙宅績德)의 딸이자 백제 왕후’이며, 사찰 건립 시기는 639년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사리봉영기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후 18년만인 2019년 3월 5...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소재지 :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 경내
-
피접 避接세속에서 사택을 짓다가 혹 병이 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모두 범토(犯土)한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도가에는 사토(謝土)하는 방법과 피접하는 방법이 있다. 후한의 안제(安帝) 때 태자가 병이 들어 유모 왕성(王聖)의 집으로 피접을 하였는데, 그 때 재상 병길(邴吉)이 왕성의 집은 새로 수리하여 토신을 범했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안정성과 함께 세련된 멋이 한껏 드러나 있다. ‘금제사리봉영기’는 얇은 금판으로 만들어 앞·뒷면에 각각 11줄 총 193자가 음각되었다. 내용은 좌평(佐平)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인 백제 왕후가 재물을 희사해 사찰을 창건하고 기해년(己亥年, 639)에 사리를 봉안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내용이다. 이 봉영기...도서 위키백과
-
익산 미륵사지 석탑 Mireuksaji Stone Pagoda시주(施主), 석탑의 건립연대를 정확히 밝힘으로써 문헌사 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귀중한 금석문 자료로 평가된다. 금제봉안기에는 시주자인 왕후가 백제 8대 귀족성 중 하나인 '사'씨(沙氏 또는 '사택'씨)의 딸로 기록돼 있어 선화공주가 미륵사지를 조성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과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