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정 무역 Fair trade, 公正取引
    영향력 있는 기구들이다.: 국제 공정무역 상표기구(FLO)는 1997년 설립된 3개의 생산자 네트워크와 20개국 상표의 연합으로, 각각 자국에서 공정무역 인증 상표를 장려하고 거래하는 주도권을 갖고 있다. 농민과 노동자의 가족, 약 1백만명이 포함되어 있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의 약 50개국 이상의...
    도서 위키백과
  • 무역외거래 貿易外去來, invisible trade
    이와 대조적으로 유형적인 재화의 수출·수입·재수출을 나타내는 무역거래(visible trade)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무역외거래의 3가지 기본범주는 용역 거래로 발생하는 수지(收支), 해외투자에 대한 이자·이윤·배당의 수취 및 지급, 국가간에 민간 혹은 정부차원으로 이루어지는 화폐의 무상이전 등으로 나누어진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난외거래
    않아 재무상태표상(on-balance sheet) 자산 ・ 부채로 기록되지 않는 거래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난외(off balance sheet)거래로는 신용 대체거래(예 : 채무보증), 특정 거래 관련 우발채무(예 : 계약이행보증, 입찰보증, 환급보증 등), 무역금융(예 : 신용장), 증권인수보증(NIF; Note Issuance Facility), 금리 및...
  • 무역금융 貿易金融, Foreign Trade Finance
    수출입 기업이 국가간의 무역 거래나 이와 결부된 국내 거래에서 필요한 자금을 국내외 금융기관이나 거래 상대방이 시중은행보다 낮은 이자로 빌려주는 것이다. 무역금융은 수출 과정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수출금융과 수입할 때 지원하는 수입금융으로 나눌 수 있고, 공여 주체에 따라 국내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무역지수
    일반적으로 거래금액의 변동은 가격이 변하거나 물량이 변하거나 또는 가격과 물량이 동시에 변하기 때문이다. 무역지수는 경제성장, 고용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수출액 또는 수입액의 변동요인을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작성하고 있다. 무역지수에는 수출입금액지수...
  • 대외의존도/수출입의존도/무역의존도
    이외에 국외부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되는 경제체제를 개방경제체제라고 한다. 대외의존도란 개방경제체제 하의 국민경제에서 국외부문과의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구체적으로 대외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 된다. 이때 국민소득 지표로 우리...
  • 무역정책 貿易政策, foreign trade policy
    보호무역정책은 자국 내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고 공업화를 도모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룩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수단 가격효과를 통한 간접적 통제수단과 무역거래를 직접 규제하는 직접적 통제수단으로 나눌 수 있다. 간접적 통제수단으로는 수입과징금·수출세·수출보조금 등이 있고 직접적 통제수단에는 수입수량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위탁가공무역
    한 나라의 업체가 다른 나라 업체에 원자재를 제공, 생산을 위임하고 생산된 제품을 다시 들여오거나 제3국에 수출하는 무역거래형태. 임가공(賃加工)이라고도 한다. 위탁자의 입장에서는 위탁가공무역이 되고 위탁을 받는 입장에서는 수탁가공무역이 된다. 생산을 의뢰하는 업체는 원자재를 제공하는 한편 생산될 제품...
  • 다각무역 多角貿易, multilateral trade
    이에 비해 두 나라 간의 수출입 거래는 쌍무무역이라 하며, 다각무역 중에서도 특히 3국 간에 이루어지는 거래관계를 3각무역이라 한다. 국제거래에서 쌍무무역이 행해질 경우 실제 수출입 거래가 어느 한 나라에만 집중적으로 치우치는 편무역이 되기 쉬우므로, 양국의 국제수지가 극단적인 불균형을 보이는 경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종합무역상사 지정제도 綜合貿易商社 指定制度
    위한, 새로운 수출 진흥책의 목적으로 일본의 소고쇼사(總合商社)와 같은 대규모 상사 조직을 육성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내용 종합무역상사는 「무역거래법 시행령」 제25조(수출 실적별 우대 조치) 제2항 “상공부(商工部) 장관은 해외 시장의 개척과 수출입업(輸出入業)의 전문화 및 대형화를 위해서 수출입...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노예무역, 그 숨겨진 상흔들
    너무나도 강렬하기 때문인지 대부분은 유럽인만을 아프리카 노예 거래의 주범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아랍인들의 아프리카 노예 거래는 대서양 무역 뒤에 가려져 왔지만 최근 조금씩 그 잔혹한 실상이 드러나면서 유럽에 못지않았음이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1441년 포르투갈의 서아프리카 해안 탐사...
  • 위탁가공무역 processing trade
    한 나라의 업체가 다른 나라 업체에 원자재를 제공, 생산을 위임하고 생산된 제품을 다시 들여오거나 제3국에 수출하는 무역거래형태로, 임가공(賃加工)이라고도 한다. 위탁자의 입장에서는 위탁가공무역이 되고 위탁을 받는 입장에서는 수탁가공무역이 된다. 생산을 의뢰하는 업체는 원자재를 제공하는 한편 생산될...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