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식목형지안 高麗式目形止案
    문종 즉위년) 10월 기묘조의 예문관제학 이선제(李先齊)의 상서문 중 그 일부를 인용한 데서 처음으로 이름이 보인다. 그는 식목형지안에서 구주·영주·맹주·인주 등 4성(城)의 군액을 예로 들고 서북계 41성의 군액 총수를 뽑아 그것을 고려 전성기의 것이라고 했다. 이 기록은 〈고려사〉 병지 주현군조의 내용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신미국 침미다례(忱彌多禮), 新彌國
    樂浪郡), 대방군(帶方郡)이 변한, 진한, 왜 등과 교류하는 항로상에 위치하여 이익을 취할 수 있었다. 형성 및 변천 신미국은 3세기 후반 서남해안 20여 소국의 맹주 역할을 하면서 영산강 유역에 지역연맹체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다가 낙랑군, 대방군이 요서(遼西)로 이동되자, 4세기 중반부터 이 지역의...
    성격 :
    초기국가
    유형 :
    지명/국가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령군 高靈郡
    암각화가 발견되어 청동기시대에 이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문화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김해의 금관가야(金官加耶, 본가야)가 쇠퇴한 뒤 가야연맹의 맹주로서 세력을 떨쳤으나 562년 신라 진흥왕이 파견한 이사부와 사다함의 공격을 받고 멸망했다. <삼국사기> 지리지, <대동지지> 등에 의하면 시조 이진아고왕으로부터...
    위치 :
    경상북도 남서부
    인구 :
    30,025 (2024)
    면적 :
    384.11㎢
    행정구역 :
    1개읍 7개면
    사이트 :
    http://www.goryeong.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델로스 동맹의 결성
    페르시아 전쟁이 사실상 끝난 시점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약 50년간(기원전 479~431년)은 아테네가 대외적으로는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서 에게 해의 패권을 장악하고, 국내적으로는 민주정을 실현한 황금기였다. 아크로폴리스 위에 비록 폐허 속에서이긴 해도 위용있는 모습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 고려식목형지안 高麗式目形止案
    내용 중에 그 일부를 인용하고 있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서북계의 군비내용 일부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구주(龜州)·영주(寧州)·맹주(猛州)·인주(麟州) 등 4성의 수비군 내용과 인원을 기술한 부분, 둘째 서북계 41성의 병원(兵員)과 기타 요원의 인원수를 기술한 부분이다. 그와 함께...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성격 :
    문서, 법안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맹산군 孟山郡
    668년 고구려가 나당연합군에게 망하자, 한반도 지배에 야심을 품은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두고 고구려 땅에 42주제를 실시했을 때, 이 곳은 맹주(孟州)가 되었다. 당나라 군대는 다른 점령지에서와 같이 마구 약탈을 일삼았으며 이 때 불각(佛閣)이 3개나 파괴되었다. 당나라 군대는 676년 신라에 의해 완전히...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1,101㎢(광복 전), 면적 696㎢(현재)
    소재지 :
    평안남도 동북부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안중근 항일 독립투사의 표상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나온 것이 당시 애국청년 사이에 유행하던 단지동맹(斷指同盟) 결성이다. 이동휘의 지도를 받으면서 안중근을 맹주로 하여 12명의 청년이 모여 왼쪽 무명지를 절단하고 독립항쟁을 벌이기로 맹세한 것이다. 이들은 집단적 항쟁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상황에 따라 행동하기로 결의...
    출생 :
    1879년
    사망 :
    1910년
  • 춘추전국시대, 패자의 교체
    구실을 내세워 제나라를 공격하였다. 제후의 군사라야 모두 작은 나라에 불과했지만 패자인 제나라는 이들 연합군과 힘써 싸우려 하지 않았다. 송을 맹주로 하는 연합군이 제나라를 공격하자 제나라는 이를 물리칠 힘이 없었다. 군대는 많았지만 이를 지휘할 유능한 장군이 없었다. 군대도 장군도 한낱 간신배들이 정권...
  • 삼의사행장 三義士行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의병장이대극전」에는 이대극이 1896년 의병을 일으켜 영광 지역의 적을 격파한 뒤, 문수사(文殊寺)에서 기삼연(奇參衍)을 추대하여 맹주로 삼고, 휘하에 들어가 각지에서 역전하였다. 그러던 중 기삼연이 순국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한때 실신 상태에 빠졌으나, 다시 좌우의 추대를 받아 맹주가...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현암유고 玄巖遺稿
    편찬/발간 경위 1675년(숙종 1) 최유연의 생질인 충청도관찰사 맹주서(孟胄瑞)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맹주서의 발문이 있다. 이 발문에는 저자의 저술이 상당히 많으나 그 가운데에서 시문(詩文) 약간만을 추려 간행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1책. 목판본. 장서각 도서와 국립...
    시대 :
    조선
    저작자 :
    최유연(崔有淵)
    창작/발표시기 :
    1675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1책
    간행/발행 :
    맹주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중국의 삼국 전쟁 연표
    난) • 동탁, 소제의 아우 협(후한의 마지막 황제 헌제)을 황제로 옹립하고 정권장악 190년 • 동탁을 치기 위한 연합군, 한구 관에 집결. 원소, 관동군의 맹주가 됨. 군웅할거 시대 시작 • 동탁, 수도 뤄양(낙양)을 불태운 뒤 헌제를 모시고 장안으로 천도 192년 동탁, 왕윤과 여포에 의해 살해당함 196년 헌제, 폐허...
  • 운중도 雲中道
    수덕(樹德, 평안남도 양덕군)], 청간(淸澗)[양암(陽嵓, 평안남도 양덕군)], 신풍(新豐)[무주(撫州, 평안북도 구장군)], 운곡(雲谷)·동산(東山)·태래(泰來)[맹주(孟州, 평안남도 맹산군)], 관화(寬化)·석우(石牛)[위주(渭州, 평안북도 영변군)], 위계(葦溪)·안태(安泰)[태주(泰州, 평안북도 태천군)], 문평(問平...
    시대 :
    고려
    성격 :
    역도(驛道)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분야 :
    경제·산업/교통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