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덕수궁
    강점기 이후에는 덕수궁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대부분의 건물들이 철거되었다. 동시에 공원화가 진행되어 궁궐로서의 면모를 잃게 되었다. 1946~47년에는 덕수궁 석조전에서 제1·2차 미소공동위원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이후 덕수궁의 복원이 꾸준히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참고문헌 https://royal.khs.go...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24호(1963년 01월 18일 지정)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근대미술에 나타난 미의식과 역사관을 정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미술관이 자리한 덕수궁석조전 서관은 1938년에 완공된 우리나라 근대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건물로서 4개의 전시실과 휴게공간, 아트숍 등을 갖추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설립자 :
    문화관광부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國立現代美術館德壽宮館, National Museum of Art,..
    덕수궁관이 사용하고 있는 건물(덕수궁 석조전 서관)은 1933년 덕수궁이 일반에게 공개된 이후 황실이 조선미술전람회의 일환으로 조선미술품을 진열할 수 있는 박물관을 짓기로 결정한 결과 설립되었다. 1936년 8월 21일 덕수궁 석조전 기공식을 개최하였는데 당시 총예산 30만원을 들여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한 건물...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5-1
    설립 :
    1998년
    성격 :
    미술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문화관광부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중명전
    즉위한 순종은 1907년 창덕궁으로 이어할 때까지 중명전을 집무실로 사용하였다. 순종이 이어한 뒤 경운궁은 덕수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09년 덕수궁 석조전이 완공된 후 고종은 중명전을 떠나 석조전을 거처로 삼았다. 1910년 일제는 한국을 강점하였다. 일제의 강점 이후 대한제국의 황실은 이왕가로 격하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미술관 美術館
    국립중앙박물관에 흡수됨과 함께 폐관되었다. 그 뒤 1969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이 경복궁의 미술전시관(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창립되어, 1973년에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했다가 1986년에 과천의 신축 건물로 다시 이전하였다. 현재 덕수궁미술관은 국립현대미술관의 분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지역의 시립 미술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
    민족박물관이 국립박물관 남산분관으로 편재되었다. 전쟁이 끝난 1953년 10월 남산 민족박물관 자리로 이전하여 1954년 2월 개관했다. 1954년 11월에 덕수궁 석조전으로 다시 이전하여 1955년 2월 개관했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1938년 3월 덕수궁 석조전 서남편에 건물을 세워, 창경원 내의 이왕가박물관에 있었던...
    설립 :
    1945년 12월 3일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사이트 :
    https://www.museum.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박물관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박물관 정보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국립현대미술관의 덕수궁 분관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의 덕수궁 석조전 서관에 자리해 있다. 덕수궁관은 일제강점기인 1937년 나카무라 요시헤이의 설계로 이왕가미술관으로 지어졌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전화(戰火)를 입어 석조의 구조만을 남기고 전부 소실된 것을 1953...
    도서 위키백과
  • 석조전 Seokjojeon, 石造殿
    복원공사가 끝나고 10월 13일에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석조전 건축에 대한 기록은 석조전의 건축을 감독한 영국인 데이비슨의 증언을 채록한...경희궁 안에 지을 예정이었으나 이후 총세무사의 건의로 현재 덕수궁 경내에 건축하기로 계획을 변경하였으며, 1897년 3월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웹...
    도서 위키백과
  • 국립고궁박물관 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전시관'으로 확대·개편한 후 5대 궁과 12개 능·원에 분산 소장되어 오던 중요 유물을 한데 모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그 해 12월 덕수궁 석조전 동관에 궁중유물전시관을 신설하여 개관했다. 2004년 '조선왕실역사박물관추진단'을 발족한 후 2005년 3월 국립고궁박물관으로 명칭을 확정하고, 그 해...
    설립 :
    1908년 9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사이트 :
    http://www.gogung.go.kr/
  • 국립현대미술관 國立現代美術館,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
    있다. 7개의 전시실과 사무공간의 부속시설로 도서실, 자료실, 대강당, 뮤지엄 숍 등이 있다. 분관인 덕수궁관은1998년에 서울 도심에 위치했던 덕수궁 석조전 서관을 분관인 개관한 것이다. 지상 3층의 건물로 총 4개의 전시실이 있다. 1층에는 수장고가 있으며, 2층과 3층에 각각 2개의 전시실이 있다. 서울관은 과거...
    설립 :
    1969년 10월 20일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광명로 313
    사이트 :
    http://www.mmca.go.kr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英親王 夫妻 關聯 寫眞
    유물설명 덕수궁 석조전에서 찍은 것으로 석조전의 석물기둥 사이로 다른 전각을 찍은 사진이다. 뒷면의 메모에는 “李太王 執務室(고종의 집무실)”을 찍은 것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석조전의 정면에서 보이는 전각은 중화전으로 추정된다. 고종 황제의 집무실은 함녕전 또는 석조전에 있었으므로 뒷면의 설명은...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13.6㎝cm, 가로: 8.4㎝cm
    재질 :
    종이에 인쇄
  • 국립고궁박물관 國立古宮博物館
    있던 궁중의 문화유산을 모아 덕수궁에 궁중유물전시관을 개관하였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왕실유물의 관리 · 전시 · 연구 · 보존이 시작되었는데 덕수궁 석조전은 전시 공간과 수장 공간이 협소하여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1993년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용산으로 옮겨 가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옛 건물에 조선왕실...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7건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