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토쿠 사건 High Treason Incident, 幸徳事件
    일본 사회주의 운동은 반국가적인 이념으로 여겨져서 1920년대까지 위축되었으며, 종교적인 사회운동인 기독교 사회주의가 성장하게 된다. 종전후인 1963년 대역사건 관련자들에 의하여 재심이 청구되었다. 일본사학자들은 대역사건을 사회주의 탄압의 구실을 만들기 위한 날조사건으로 본다. 치안유지법 히라누마...
    도서 위키백과
  • 나경언의 고변사건 羅景彦─告變事件
    작용한 사건이다. 세자는 일찍부터 김상로·홍계희 등의 사람됨을 미워하였다. 그러자 두 사람은 장차 자신들에게 미치게 될 화를 두려워해 세자를 제거할 뜻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영조의 후궁 문소의(文昭儀)와 세자의 동복(同腹)인 화완옹주(和緩翁主)까지 가세해 백방으로 세자를 무고하였다. 그리고 영조의 계비...
    시대 :
    조선
    발생 :
    1762년(영조 38) 5월
    성격 :
    고변사건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영조, 사도세자, 나경언
  • 남응중역모사건 南膺中逆謀事件
    피난하여 일본인들에게 자신의 탈출을 도와줄 것을 요청했다. 그때 일본인들은 남응중의 요구를 거절하고 그를 붙잡아 조선에 넘겼다. 이에 정부는 남응중을 대역무도의 죄명으로 능지처참하고, 머리를 왜관에 매달아 걸었다. 또한 이 모의에 가담한 남경중·남공언·문헌주 등 20여 명을 극형에 처했다. 한편 남응중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사건/사고
  • 일본 제국의 언론탄압 Political dissidence in the Empire of..
    첨자26세기 사건. 일본제국 언론탄압사 제1단계가 성립된 시기. 1900년 치안경찰법이 제정되면서 결사의 자유가 노골적으로 탄압되기 시작했다. 1910년대에는 대역사건이 일어나 무정부주의자가 탄압, 숙청되었다. 동시에 도쿄제국대학의 헌법학자 우에스기 신키치가 천황주권설을 주장하면서 천황기관설을 주장한...
    도서 위키백과
  • 박종일사건 朴鍾一事件
    유배중이던 은언군인의 아들을 왕으로 추대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강화도로 건너가 거사에 필요한 군량조달을 꾀했으며, 민심을 선동하고자 새 임금이 즉위하여 새로 수립된 정부군이 도성을 공격해 지배층을 모두 살해한다고 퍼뜨렸다. 그러나 사전에 발각되어 그해 3월에 모두 체포되어 대역부도죄로 참형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적기 사건 Red Flag Incident, 赤旗事件
    무정부주의 및 그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회주의 운동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이온지 내각 이후 성립된 제2차 가쓰라 내각의 단속 강화에도 코토쿠 세력의 흐름은 박차를 가했고, 결국 당국은 1910년 코토쿠 대역사건으로 코토쿠 등을 사법살인한다. 가쓰라 다로 赤旗事件関連記事 赤旗事件公判筆記 『熊本評論』掲載
    도서 위키백과
  • 불랑제 조르주 에르네스 장마리 불랑제, Georges(-Ernest-Jean-Marie)..
    불랑제의 의원 면책특권을 박탈하도록 요청받았다. 불랑제는 친구들을 경악시키면서 4월 1일 파리를 떠나 브뤼셀을 거쳐 런던으로 달아났다. 그는 고등법원 대역을 수행한 상원에서 반역혐의로 기소되어 궐석재판을 거쳐 1889년 8월 14일 추방선고를 받았다. 1889년과 1890년의 선거에서 그의 지지자들은 타격을...
    출생 :
    1837. 4. 29, 프랑스 렌
    사망 :
    1891. 9. 30, 브뤼셀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정치가
  • 불령사 不逞社
    아나키스트인 박열과 그의 처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 등이 1923년 4월경 한인 14명과 일본인 5명 등을 규합해 만든 사상단체로서 그 해 9월 일제는 대역사건을 일으킨 비밀결사로 지목하여 이들을 모두 체포하였으나, 대부분 면소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19년 가을 일본 도쿄로 건너가 고학생활을 하던 박열은 항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무정부주의운동 無政府主義運動
    노동자들 가운데서 싹트기 시작해 점차 국내로 스며 들어왔다. 중국에서는 신채호(申采浩)의 『조선혁명선언』으로, 일본에서는 박렬(朴烈) 등의 세칭 ‘대역사건(大逆事件 : 일본 천황 폭살미수사건)’으로써 우리 나라 현대 무정부주의 운동의 막이 열렸다. 1910년대의 중국은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 직후...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아라하타 간손 荒畑寒村, Arahata Kanson
    되었으며 아시오광독사건[足尾鑛毒事件]을 소재로 1907년 처녀작 〈야나카촌 멸망사 谷中村滅亡史〉를 저술했다. 1908년 아카하타[赤旗] 사건에 연좌되어 투옥되었다. 그후 대역사건 후에는 바이분샤[賣文社]에서 사카이 도시히코,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 등과 함께 체제의 재정립을 도모했으며, 다이쇼 정변 후인...
    출생 :
    1887. 8. 14, 일본 가나가와[神奈川]
    사망 :
    1981. 3. 6,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제국주의를 비판한 일본 아나키즘의 아버지, 고토쿠 슈스이 幸德秋水
    사회주의 이념을 전파한 동아시아 운동의 선구자이자 일본 아나키즘의 아버지이다. 메이지 시대의 정치·사상계를 뒤흔든 그는 1910년 천황 암살 미수 사건, 즉 대역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면서 일본 사상계에서 언급이 금기시되었고, 이로 인해 초기 사회주의자로서 그가 미친 영향력이나 사상의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
    출생 :
    1871년
    사망 :
    1911년
    본명 :
    고토쿠 덴지로(幸徳傳次郞)
    국적 :
    일본
    대표작 :
    《20세기의 괴물 제국주의》, 《사회주의 신수(社會主義 神髓)》
  • 진우연맹 眞友聯盟
    사상을 진지하게 연구할 목적으로 1925년 9월 조직하였다. 연원 및 변천 서동성은 1923년 동경대진재(東京大震災) 당시 일제가 날조한 이른바 불령사대역사건(不逞社大逆事件)에 연좌되었다가 귀국한 인물이다. 특히 방한상은 연맹 창립 직후 11월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오사카(大阪)·나고야(名古屋) 등지의 조선인...
    시대 :
    근대
    설립 :
    1925년
    성격 :
    사회운동단체, 무정부주의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서동성, 방한상 외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