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응중역모사건

다른 표기 언어 南膺中逆謀事件

요약 1836년(헌종 2)에 남응중이 일으킨 역모사건.

남응중은 처음에는 서울에서 살다가 국내정세가 조대비의 복상문제, 서인과 남인의 대립 등으로 어지럽자 충청도 목천현 곡간리로 이주했다. 이후 그는 남경중·문헌주·남공언 등과 함께 모의하여 은언군의 손자를 왕으로 추대할 계획을 꾸몄다.

남응중과 남경중은 청주를 점거하고 그곳을 근거지로 삼아 반란을 일으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음모를 시흥에 사는 이속 천기영이 알고 고변하여 역모에 가담한 나머지 사람들이 모두 체포되었다. 그러자 남응중은 일본으로 탈출하기 위해 동래에 있는 왜관으로 피난하여 일본인들에게 자신의 탈출을 도와줄 것을 요청했다. 그때 일본인들은 남응중의 요구를 거절하고 그를 붙잡아 조선에 넘겼다. 이에 정부는 남응중을 대역무도의 죄명으로 능지처참하고, 머리를 왜관에 매달아 걸었다.

또한 이 모의에 가담한 남경중·남공언·문헌주 등 20여 명을 극형에 처했다. 한편 남응중의 역모를 고발한 천기영은 오위장에 임명되었으며, 조선과 일본의 우애를 다진다는 의미에서 범인을 붙잡아 인도해준 왜관의 관수왜에게는 은자 1,000냥을 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남응중역모사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