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추신경계의 운동회로 의지적 운동, 인식, 감정, 안구운동이 모여 행동이 되다
    대뇌피질, 기저핵, 그리고 시상은 함께 운동회로, 인식회로, 감정회로, 안구운동회로를 구성합니다. 의식적 운동을 구성하는 수의운동회로(motor loop), 인식회로(cognitive loop), 변연회로(limbic loop), 안구운동회로(ocularmotor loop)를 차례로 살펴봅시다. 인간 중추신경계의 운동회로는 파충류에서 포유류로 진화...
  • 신경 네트워크 머리에서 발끝까지 온몸을 지배하다
    언어라는 추상적 기호에 대한 기억 능력을 바탕으로 급격한 문화적 진화를 가능하게 해주었지요. 이러한 감각, 지각, 의식의 신경 처리 과정은 주로 대뇌피질에서 이루어집니다. 감각에서 상징까지의 다양한 인간 뇌의 기능을 이해하려면 뇌의 구조와 기능을 해부학적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동물의 생물학적 작용을...
  • 무조건반사의 회로 근육과 척수 사이, 무조건반사
    굽히기근육이 억제되어 근육 이완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뻗기근육이 활성되어 근육이 수축하지요. 이런 유형의 측방향 억제신경회로는 망막과 소뇌 그리고 대뇌피질에 존재하는 뇌신경회로의 연결 방식입니다.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반사동작은 여러 신체 기관에서 항상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극에 대한 자율적인...
  • 수면 연구로 살펴 본 의식과 무의식 수면 연구로 의식, 무의식의 문이 열리다
    있죠. 거미막하공간은 혈압이 높아져 동맥꽈리가 터질 경우 혈액이 새어 들어가는 거미막하출혈이 일어나는 곳이기도 합니다. 연질막 안쪽으로는 대뇌가 있습니다. 대뇌피질에는 쌀알만 한 조직만 관찰해도 신경세포가 대략 10만 개 정도로 많이 모여 있죠. 대뇌피질에는 크기가 큰 피라미드세포가 많습니다. 대뇌피질...
  • 시상그물핵의 감각신호 억제 시상그물핵의 수입로 차단 작용
    시상그물핵은 시상을 껍질처럼 싸고 있는 구조입니다. 모양과 위치에서 그 역할을 유추할 수 있듯이 시상그물핵은 대뇌피질과 시상핵 사이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신호를 감지하고 조절합니다. 시상그물핵은 대뇌피질과 시상 사이의 조절 관문 역할을 하지요. 절대적 일체상태를 생성하는 신경회로에서 시상그물핵은 상후...
  • 지각을 물들이는 언어
    인간은 혀영역신피질이 설하신경을 자극하여 혀의 움직임을 직접 통제하지요. 후두영역에서 의문핵으로 직접 연결됩니다. 혀와 호흡 과정을 신피질이 통제하면서 대뇌피질에 저장된 단어의 발음이 정교하게 발달하지요. 영장류의 뇌간과 척수운동뉴런의 발음 생성 영역은 중뇌와 연수에서 대부분의 입력을 받지요...
  • 다중시냅스 반사 척수, 뇌간, 대뇌피질에서 일어나다
    반사궁입니다. 다중시냅스 반사궁에서 시냅스가 일어나는 지점을 크게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척수 수준, 둘째는 뇌간 수준, 셋째는 대뇌피질 수준이죠. 척수 수준에서는 근육, 관절 그리고 내장에서 척수로 들어오는 감각뉴런이 척수중간신경원과 시냅스합니다. 운동뉴런이 중간신경원과의...
  • 흡연자, 비흡연자보다 대뇌피질 두께 얇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대뇌피질의 한 부분이 훨씬 얇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독일 베를린 카리테대학교 연구팀이 연방물리기술연구소(PTB)와 공동으로 흡연자 22명과 비흡연자 21명의 뇌를 3차원 영상으로 관찰했다. 이 영상을 통해 연구팀은 조사대상자들의 대뇌피질 두께를 측정할 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건강 , 인체
  • 시상 감각과 운동신호를 중개하다
    감정회로, 안구운동회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시상에 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시상은 열 개 이상의 시상신경핵들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의 핵들이 대뇌피질과 상호연결되어 감각과 운동 그리고 의식작용에 직접 관련되기 때문입니다. 운동과 감각을 중개해주는 시상은 대뇌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
  • 우리가 모기를 잘 잡는 비결은? '대뇌 외측시각피질!'
    쫓을 수 있는 걸까? 이준열 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진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물체를 시각으로 따라갈 때 대뇌 피질의 감각영역에서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감각운동 능력을 높인다고 밝혔다. 여기서 감각운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능력을 말한다...
  • 신경계 구조
    생각된다. 두정엽은 전두엽 바로 뒤에 있으며 피부의 감각수용기로부터 감각을 받는 부분과 몸의 자세나 위치를 감지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대뇌의 바깥부분인 대뇌피질은 수많은 뉴런들의 신경세포체와 수상돌기로 되어 있다. 그 밑에는 수초로 싸인 신경들로 이루어진 백질이 있으며 이들은 정보를 받아 대뇌피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경계 , 생물
  • 목적지향적 인간의 탄생
    과정을 살펴보면, 바깥 세계의 정보가 시각, 청각, 체감각이라는 감각자극이 되어 시상의 중계작용을 거쳐 대뇌피질의 일차감각 영역으로 들어옵니다. 대뇌의 중심열을 기준으로 전두피질은 운동출력, 후두피질은 감각입력을 처리하죠. 인간 뇌의 정보처리 과정은 감각입력을 내측두엽에서 경험기억으로 변환하고...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4건

대뇌피질(cerebral cortex)
소뇌, 대뇌기저핵, 대뇌피질의 학습회로
대뇌피질(cerebral cortex)
대뇌피질의 진화
포유동물의 대뇌 신피질과 변연피질의 변화
소뇌피질과 연결된 신경핵과 대뇌피질
소뇌피질과 연결된 신경핵과 대뇌피질
대뇌피질 각 부위 기능
시상과 대뇌피질 연결
대뇌피질의 상호연결
대뇌피질의 구성세포
대뇌피질의 신경정보 연결
대뇌피질의 기능적 구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