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당고김씨부인묘명
    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국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묘지명이다. 신라 김씨의 조상이 소호금천씨(少昊金天氏)에서 시작하여 투후 김일제(金日磾)를 거쳐 신라 김씨로 이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묘지명은 1954년 중국 산시성(섬서성, 陝西省) 시안시(西安市) 교외에서 출토되어 현재...
    도서 위키백과
  • 당고의 화 Disasters of the Partisan Prohibitio..
    당고의 화(黨錮之禍)는 후한 말기에 일어난 탄압 사건으로 당고의 옥(黨錮之獄) 또는 당고의 금(黨錮之禁)이라고도 불린다. 166년 환관 일파는 환제(桓帝)를 충동질하여 환관 공격의 급선봉인 청류당의 이응(李膺) 등 2백 여 명을 붙잡아 투옥했다. 그러나 재판이 시작되었을 때 청류당은 저마다 입을 모아 환관의 죄상...
    도서 위키백과
  • 당고 와타라 Dango Ouattara, ダンゴ・ワッタラ
    축구 선수 정보 당고 아부바카르 파이살 와타라는 부르키나파소의 축구 선수로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AFC 본머스에서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부르키나파소 대표팀의 일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와타라는 부르키나파소의 머제스틱 FC 청소년 클럽 출신으로, 2020년에 로리앙 리저브 팀에 합류했다. 그는 2021...
    도서 위키백과
  • 탕구협정 Tanggu Truce, 塘沽協定
    탕구정전협정 또는 탕구협정은 1933년 5월 31일 중국 톈진시 탕구구에서 일본 제국과 중화민국끼리 맺은 휴전 협정이다. 이 협정으로 2년간의 일본의 만주 침공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1931년 9월 18일 일본군이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일본 제국 관동군은 본격적으로 만주를 침공하여 1932년 2월이 되면 전 만주를...
    도서 위키백과
  • 박통고우 White sugar sponge cake, 倫教糕
    Chinese 박통고우 는 중국의 떡이다. 쌀가루와 백설탕, 물, 베이킹소다로 만드는 달달한 설탕떡이다. 중국 본토, 특히 홍콩을 비롯한 광둥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적당히 네모 모양으로 자르거나 조그만 삼각 모양으로 잘라 판매한다. 새하얀 색깔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술떡과 닮았다. 달콤한 맛이지만 찌기 전...
    도서 위키백과
  • 아론 아핑당고예 Aaron Appindangoyé, アーロン・アパンダンゴイェ
    축구 선수 정보 아론 크리스토페르 빌리 온델레 아핑당고예는 가봉의 축구 선수로, 현재 튀르키예 쉬페르리그의 시바스스포르에서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Soccerway 가봉에서 훈련을 받은 그는 2012년 가봉 샹피오나 나시오날 D1인 무나나에서 2013-2014 시즌 가봉 샹피오나 나시오날 D1에 속해 있다. 프리메이라리가에서...
    도서 위키백과
  • 도도 다카쓰구 (1602년) Tōdō Takatsugu, 藤堂高次
    인물 정보 도도 다카쓰구 ~ 엔포 4년 음력 11월 16일(1676년 12월 20일)는 이세 쓰번 제2대 번주이다. 도도 종가 제2대 당주. 선대 번주 도도 다카토라의 장남이다. 정실은 에도 막부 다이로 사카이 다다요의 딸이다. 자식은 다카히사, 다카미치, 다카카타, 다카치카 등이 있다. 이코마 소동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김해 시례 염수당 고문서
    문화재 정보 김해 시례 염수당 고문서(金海 詩禮 廉修堂 古文書)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있는 고려시대의 고문서이다. 1999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79호로 지정되었으나 정기조사 결과, 장기간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지 않은 문화재로 확인, 경상남도 지정문화재로서 가치가 상실되어...
    도서 위키백과
  • Disasters of the Partisan Prohibitions 당고의 옥, 党錮の禁
    The Disasters of the Partisan Prohibitions (黨錮之禍) refers to two incidents in which a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who served as officials in the Han imperial government and opposed to powerful eunuch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capital Luoyang who supported them (collectively...
  • 후한 시대, 외척과 환관의 권력 다툼
    양씨 토멸은 양황후가 죽은 다음 달의 일이었으며 그 다음 달인 연희 2년(159) 8월에 절세의 미녀 등향의 딸 맹녀가 정식으로 황후의 자리에 올랐다. 당고의 화 양기 일족이 토멸되자 백성들은 축배를 들며 기뻐하였으나 세상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았다. 흉악한 호랑이를 몰아내자 새로 다섯 마리의 이리가 나타나 세상...
  • 단군 壇君
    주는 이가 없으므로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를 가지게 해달라고 기원했다. 이에 환웅이 잠시 변하여 결혼해서 아들을 낳으니 그가 곧 단군왕검이다. 왕검이 당고중국 3황 5제 중의 요를 말함. 당시 고려의 제3대 왕인 정조의 이름이 요인 까닭에 이를 피하여 뜻이 같은 고[高]자를 대신 쓴 것임) 즉위 50년 뒤인 경인년...
    출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조선
  • 당의용 용흉배본 唐衣用龍胸背本
    파도와 바위가 묵선으로 그려져 있다. 파도와 바위에는 서각(犀角) · 서보(書寶) · 전보(錢寶)등의 보문(寶紋)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가슴본과 등본의 앞면에 각각 '병술 당고의 신조', '병술 당고의 신조 흉',양쪽 어깨본의 뒷면에 각각 '병술 당고의 신조 견화 흉', '병술 당고의 견화 신조' 라는 묵서가 있다...
    분류 :
    유물 > 피지초직
    크기 :
    ① 가로: 24.6cm, 세로: 24.8 , ② 가로: 24.7cm, 세로: 24.7 , ③ 가로: 24.8cm, 세로: 24.9 , ④ 가로: 24.7cm, 세로: 24.7cm
    재질 :
    유지에 먹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건

《삼의당고》
삼의당고
삼의당고
삼의당고
텐잔(天山)의 당고
텐잔(天山)의 당고
오덕동애은당고택
임하필기 / 당고지원편
김해시례염수당고문서
해당고(하이탕가오, 海棠糕)
누마노야(沼の家)의 오누마 당고
누마노야(沼の家)의 오누마 당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