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야성 大耶城시대 백제와의 접경지대인 신라 서부지역의 요새지로서 642년(선덕여왕 11) 백제의자왕이 장군 윤충(允忠)을 보내어 대야성을 쳐서 함락시키니 이때 성주 김품석(金品釋)은 부인과 함께 자결하였다. 큰 타격을 입은 신라는 김춘추(金春秋)를 고구려에 보내어 구원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통일신라 이후 이곳의 군사적...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상남도 합천군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신라 29대 왕, 태종무열왕 신라 제29대 왕, 太宗武烈王정세 속에서 김춘추는 주로 외교분야에서 활동했다. 642년(선덕여왕 11) 백제의 의자왕이 대야성(大耶城:지금의 합천)을 함락하고 그의 딸과 사위인 성주 김품석(金品釋)을 죽이자 백제에 보복하기 위해 적대관계에 있던 고구려에 지원을 요청하러 갔다. 그러나 고구려가 죽령 이북의 땅을 돌려줄 것을 요구하여 교섭은...
- 출생 :
- 604(진평왕 26)
- 사망 :
- 661(태종무열왕 8)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654년∼661년
- 능묘 :
- 경주 무열왕릉(慶州 武烈王陵)
-
훈신 訓信및 활동사항 훈신(訓信)은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의 관리였다. 642년(선덕여왕 11) 8월 백제가 대야성(大耶城)을 함락시켰을 때, 도독(都督) 이찬(伊湌) 김품석(金品釋)과 그의 부인 고타소랑(古陀炤娘)이 살해되었으며, 사지(舍知) 죽죽(竹竹)·용석(龍石) 등이 전사하였다. 고타소랑의 아버지 김춘추(金春秋)는 원수...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사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대야성 함락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금일 黔日내용 7세기경 신라와 백제가 대립하고 있을 때 대야성(大耶城 : 현재의 경상남도 합천)의 사지(舍知)였다. 당시 대야성 군주(성주) 김품석(金品釋)이 그의 아내를 강탈하였으므로 그에 원한을 품고 있었다. 그러던 중 642년(선덕여왕 11) 8월에 백제의 장군 윤충(允忠)이 대야성을 공격하자 그와 내통하여 성안의 창고를...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660년
- 경력 :
- 사지(舍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대야성전투
- 직업 :
- 관리, 역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선도해 先道解김춘추(金春秋: 훗날 태종무열왕)의 탈옥을 도와 주었다. 생애와 활동사항 642년(보장왕 1) 백제가 신라의 대량주(大梁州)를 함락했을 때, 김춘추의 사위 김품석(金品釋)이 전사하자 김춘추의 딸 고타소랑(古陀炤娘)이 남편을 따라 죽었다. 이에 김춘추는 백제에 대해 원한을 품고 백제 정벌을 위한 원병을 청하러...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합천대야성 陜川大耶城562년에 멸망된 이후에는 신라가 565년 이 지역에 대야주(大耶州)를 설치하였다. 특히 642년에 백제의 침입으로 대야성이 함락되고 성주(城主) 김품석(金品釋)이 그 처자와 함께 죽음을 맞으면서 백제에게 빼앗겼다. 대야성이 다시 등장하게 된 시기는 신라 후기로, 후백제 견훤(甄萱)과 고려 왕건(王建)의 치열한 다툼...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문화재 지정 :
- 경상남도 기념물 제133호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 성격 :
- 성곽, 산성
- 유형 :
- 유적
- 크기 :
- 둘레 2,000m 내외, 잔존 높이 1.5m, 폭 2.5m
- 소재지 :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산1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