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대 교육 近代 敎育교육 칙어의 취지에 따라 교육을 행할 것, 둘째, 한국인에게 반드시 일본어를 가르칠 것, 셋째, 교육 제도는 한국의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맞출 것 등이다. 이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였다. 첫째는 한국 민족의 독립운동과 민족적 사상적 기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재래의 자주 학교를 철저히...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국민윤리학 國民倫理學교육칙어를 연상하게 하는 것으로 전체주의 사회에서 국민을 획일화하려는 기도이므로 자유민주사회의 다양성있는 교육정신과는 어긋나는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서 전국의 민주화의 열기와 새로 탄생한 문민정부는 1993년에 과거 잘못된 역사를 부정하고 새로운 역사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게 되었는데...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