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제의 정치
    흑치상지(黑齒常之)도 3만여 명의 무리를 모아 소정방에 항거하였으나, 역시 항복하였다. 홀로 남아 임존성에서 저항하던 지수신(遲受信)도 고구려로 도망갔다. 백제 부흥 운동은 소규모가 아니라 왕족과 장군들, 그리고 일반 백성들이 함께 한 것으로 고구려·왜와도 연합된 것이었다. 그러나 지도부의 내분으로 실패...
  • 고구려 구려, 高句麗
    당군과 신라군에 의해 평양성이 포위되었다. 이어 9월 21일 평양성 방어를 총괄하던 장수가 투항함에 따라 마침내 평양성이 함락되었다. 고구려부흥운동과 유민의 향방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당은 평양성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고 2만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그런 뒤 5부 176성 69만 호의 옛 고구려국을 9...
    유형 :
    지명/지명
    분야 :
    역사/고대사
  • 고구려 28대 마지막 왕, 보장왕 寶臧王
    멸망하고 말았다.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당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고 고구려 유민의 부훙운동을 진압해가는 한편 보장왕을 비롯한 많은 고구려 유민을 당의 내지로 사민시켰다. 그러나 고구려 유민의 부흥운동이 치열하게 계속되자 677년 당은 보장왕을 요동주도독 조선왕으로 삼아 요동지방...
    출생 :
    미상
    사망 :
    682(신문왕 2)
    국적 :
    고구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도침 道琛
    공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증강된 나당연합군의 압박으로 힘이 약화되어, 고구려에 응원을 청하고 기회를 엿보던 중 일본에 가 있던 왕자 부여풍(夫餘豊)이 원병...領軍將軍)이라 칭하면서 주류성(周留城:지금의 충남 한산)을 근거지로 부흥운동을 계속했다. 그러나 복신과 도침 사이에 반목이 생겨 도침은 복신에게...
    출생 :
    미상
    사망 :
    661(문무왕 1)
    국적 :
    한국, 백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부흥운동
    부흥운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백제 부흥운동: 백제가 멸망된 뒤에 백제 유민이 전개한 국가 부흥 운동 고구려 부흥운동: 나당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된 뒤 고구려의 유민을 모아 일으킨 부흥운동 발해 부흥운동: 발해의 멸망 이후, 발해인과 그 유민이 발해를 계승한 국가를 세워 거란·여진 등에 저항한...
    도서 위키백과
  • 발해 부흥운동
    모두 멸망하였다. 1116년 고영창(高永昌)에 의해 동경 요양성(東京 遼陽城)에서의 대발해(大勃海) 건국으로 이어졌으나 발흥한 금(金)의 공격에 의해 대발해가 멸망함으로써 발해 부흥운동은 종식되었다. 동란국 후발해 정안국 연파국 올야국 흥료국 고욕국 대발해 대광현 정안국 후발해 고구려 부흥운동 백제 부흥운동
    도서 위키백과
  • 안시성 安市城
    木柵)을 세웠으므로 함락시키지 못하고 회군하였다. 이는 당시 고구려 산성들의 방어력이 강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 뒤, 668년에 고구려가 멸망하자 이곳은 요동지역에서의 고구려 부흥운동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다가 671년 7월에 안시성은 당나라 군대에게 함락되고 고구려부흥운동도 크게 약화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성격 :
    산성, 고구려 산성
    유형 :
    유적
    소재지 :
    중국 요녕성(遼寧省) 해성시(海城市) 영성자둔(英城子屯) 영성자촌(英城子村)
    분야 :
    역사/고대사
  • 양만춘 양만춘(梁萬春), 楊萬春
    시와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의하면, 당나라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회군했다고 한다. 고구려 멸망 뒤 당나라에 반대해 끝까지 저항한 11성(城) 가운데 안시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그의 생존여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기백과 용기가 고구려 부흥운동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성주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대당전쟁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삼국시대 삼국시기, 三國時代
    고구려는 내분으로 저항력이 약화되었고, 신라와 당의 공세는 지속되었다. 668년 마침내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의 평양성이 함락되었다. 비록 백제와 고구려부흥운동이 이어졌고, 신라와 당의 갈등이 잠재되어 있었지만, 이로써 삼국시대는 종결되었다. 고구려와 수 · 당의 전쟁 그리고 삼국 간의 전쟁은...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대사
  • 보장왕 고장, 寶藏王
    온 당군을 물리친 적도 있었다. 그런데 백제 멸망 이후 백제 유민의 부흥 운동이 전개되자 신라와 당나라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고, 이로 인해...연개소문의 아들들인 남생 형제간에 내분이 일어나 남생이 당나라로 투항하고 연개소문의 동생인 연정토는 신라로 망명하는 등 고구려 지배층 내의 분열과...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출생 :
    미상
    사망 :
    682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고구려멸망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삼국통일 三國統一
    都護)로 삼고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했으며, 그밖에도 9개의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고 2만 명의 병력을 주둔시켰다. 평양성이 함락된 후 고구려 유민 역시 각지에서 부흥운동을 전개했다. 대형(大兄) 검모잠(劍牟岑)은 궁모성(窮牟城)을 근거지로 세력을 규합하고, 왕자 안승(安勝)을 추대하여 왕으로 삼고 당나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금마저에서 대문의 난 발생, 금마저 고구려 유민 남쪽 이동
    대문은 고구려 부흥 운동의 지도자였던 안승의 아들이다. 참조
    시대 :
    684년
    국가/대륙 :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고구려 부흥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