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
    제1423호로 지정되었으며,문화재청고시제2004-55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5856호, 167면, 2004-11-26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이 소장하고 있다. 분청사기 인화점문 장군은 둥근 원통형의 몸통을 옆으로 누인 형태로서, 부분적으로 두들겨 모가 난 가장자리를 둥글게 다듬은 후...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쌍사자형 베개
    문화재 정보 청자 쌍사자형 베개(靑磁 雙獅子形 枕)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베개이다. 1984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89호로 지정되었다. 두 마리의 사자가 서로 꼬리를 맞대고 머리로 베개 위판을 받치고 있는 모양이다. 사자는 암수를 표현했고, 베개 위판은 연잎을...
    도서 위키백과
  •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
    문화재 정보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靑磁 桃形 硯滴)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연적이다.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25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복숭아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청자의 일종으로 크기는 높이 8.6cm, 폭 9.6cm×7.1cm이다. 잘 익은 복숭아를 보는 듯하며...
    도서 위키백과
  • 분청사기 음각연화문 편병
    문화재 정보 분청사기 음각연화문 편병(粉靑沙器 陰刻蓮花文 扁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이다. 1995년 12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29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두 면이 납작한 높이 20.5cm, 아가리 지름 5.0cm, 밑지름 8.3cm인 편병이다. 이 병은 물레로 둥글게...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양각죽절문 병
    문화재 정보 청자 양각죽절문 병(靑磁 陽刻竹節文 甁)은 대나무 마디를 양각으로 새겨 넣은 고려청자 병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이며,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69호로 지정 됐습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병으로 높이 33.8cm, 입지름 8.4cm, 밑지름 13.5cm이다. 아가리는 나팔처럼 넓게 벌어졌고...
    도서 위키백과
  •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
    문화재 정보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靑銅 銀入絲 鳳凰文 盒)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금속공예품이다.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71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뚜껑이 있는 그릇(합)으로 높이 9.9cm, 아가리 지름 18.3cm의 크기이다.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
    도서 위키백과
  •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
    문화재 정보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항아리(粉靑沙器 象嵌牡丹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활달한 모란꽃과 잎, 연꽃과 당초문대의 문양과 장신의 호가 잘 어울리는 고려청자 전성기의 작품이다. 2004년 11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22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4-55호, 《국가지정...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음각 ‘효문’명 연화문 매병
    문화재 정보 청자 음각 ‘효문’명 연화문 매병(靑磁 陰刻‘孝文’銘 蓮花文 梅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 매병이다.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52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27.7cm, 아가리 지름 5.3cm, 밑 지름 10.6cm이다...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
    연화당초 상감국화문 완(靑磁 陰刻蓮花唐草 象嵌菊花文 碗)은 음각으로 연꽃과 덩굴무늬를, 상감기법으로 국화 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완(대접)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32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높이 6.9cm, 아가리 지름 16.6cm, 밑지름 4.0cm인...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
    문화재 정보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항아리(靑磁 陰刻蓮花唐草文 壺)는 음각으로 연꽃과 덩굴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항아리)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28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높이 24.4cm, 아가리 지름 11.5cm, 밑지름 11.5cm의 크기이다...
    도서 위키백과
  •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문화재 정보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粉靑沙器 象嵌‘正統十三年’銘 墓誌 및 粉靑沙器一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이다. 2005년 1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28호로 지정되었다. 정통(正統) 13년(세종 30년, 1448년)의 연기(年紀)가 있는 장방형...
    도서 위키백과
  • 김시필 동자견려도
    문화재 정보 김시필 동자견려도(金禔筆 童子牽驢圖)는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풍속화이다. 1984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83호로 지정되었다. 김시필 동자견려도(金禔筆 童子牽驢圖)는 조선 중기의 화가 김시(1524∼1593)의 산수 인물화로 가로 46cm, 세로 111cm의 크기이며 대각선구도를 사용하여...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31건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전경
▲ {청화 백자}(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 {청화 백자}(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상설고문진보대전』, 33.0×21.0cm, 1450, 삼성미술관 리움
〈옥순봉도〉 김홍도, 1796년, 종이에 수묵, 26.7×31.6cm, 삼성미술관 리움
〈금강전도〉 정선, 1734년, 종이에 수묵, 94.5x130.8cm, 삼성미술관 리움
「오륜행실도」, 전 김홍도 밑그림, 정조명편, 22.0×15.0cm, 1797, 삼성미술관 리움
〈군선도〉(부분) 김홍도, 1776년, 종이에 수묵, 132.8x575.8cm, 삼성미술관 리움
김중현, 〈실내〉, 비단에 채색, 107×110.8cm, 1940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문자도」, 종이에 채색, 각 74.2×42.2cm , 18세기 후반, 삼성미술관 리움
〈송하맹호도〉 김홍도·강세황, 18세기, 종이에 수묵, 90.4x43.8cm, 삼성미술관 리움
〈강상조어도〉 강세황, 18세기, 종이에 옅은 채색, 58.0X34.0cm, 삼성미술관 리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