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완구 趙琬九군무부장 외에 국무위원 한 명을 막료로 임명하도록 개정하였는데 통수부 막료로 임명되었다. 임시정부가 충칭에 정착한 이후 국무위원과 임시정부의 여당인 한국독립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 그리고 생계부 생활위원, 통수부막료 등을 지내며 독립운동에 헌신하던 중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았고 12월 2일 홍진...
- 출생 :
- 1881년 3월 20일(음력), 서울 계동
- 사망 :
- 1954년 10월 27일
- 본관 :
- 풍양(豊壤)
- 주요활동 :
- 1908년 기호흥학회 평의원, 1914년 북간도 망명, 1919년 연해주 청구신보 주필, 1919년 대한국민의회 상설의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임시의정원 의원 선출, 1927년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 집행위원, 1930년 1월 한국독립당 창당 주도, 1935년 한국국민당 창당, 1940년 통합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국문연구회, 기호흥학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한국유일독립당 상하이촉성회,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
김홍서 金弘敍가 결성되었는데, 김구·여운형 등 20여 명과 같이 기초 위원으로 군인 양성 및 독립 전쟁의 비용 조달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1930년 11월 7일 임시정부의 임시의정원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37년 1월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어 독립 투쟁을 계속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6년(고종 23)
- 사망 :
- 1956년
- 경력 :
-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106인 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오동진 송암, 吳東振같은 시기 추진된 민족유일당 운동과 겹쳐 역량을 한 군데로 집중하지 못한 결과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1925년 10월 10일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제2대 박은식 대통령을 끝으로 임시정부는 대통령제를 끝내고 국무령제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초대 국무령에 서간도지역의 독립...
- 출생 :
- 1889년 8월 15일, 평북 의주(義州)
- 사망 :
- 1944년 12년 1일
- 관련 사건 :
- 3 ・ 1운동, 평북경찰서 폭파사건
- 주요활동 :
- 의주 일신학교(日新學校) 설립, 압록강변 8군에서 임정 홍보 및 독립군모집, 광복군총영 특파대 파견, 정의부 의용군 쇄신 및 무장활동 추진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일신학교, 광제청년단, 대한청년단연합회, 광복군총영, 정의부, 고려혁명당
-
대한민국 정부의 재정졸속 결산이라는 비판이 있다. 또한 특별위원회로 설치되어 있다보니, 1년마다 위원들이 바뀌어 전문성이 떨어지고 졸속심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산안을...법정 처리기한을 넘겨서 통과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의 조세 명목 국내 총생산순 나라 목록 국가별 외환보유고 국가채무에 따른...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경제·사회집행위원, 목포지방부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적극적인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보기는 어려움. 박마리아 : 일제 강점기 말기에 식민 통치 협력, 침략 전쟁 지원 활동에 참여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적극성이 결여됨. 현상윤 : 일제 강점기 말기에 식민 통치 협력, 침략 전쟁 지원 활동에 참여했으나...도서 위키백과
-
김규식 우사, 金奎植알리고 ‘임시정부 대표’ 신임장을 보내달라고 요청하였다. 1919년 4월 10일 열린 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무총장 겸 파리 주재위원에 선임되었다. 4월 13일 임시정부는 전보로 외무총장 임명장과 파리강화회의 전권대사 신임장을 발송하였다. 1919년 5월 12일 ‘한국 독립에 관한 청원서’와...
- 출생 :
- 1881년 1월 29일, 경남 동래(東萊)
- 사망 :
- 1950년 12월 10일
- 본관 :
- 청풍(淸風)
- 주요활동 :
- 1918년 신한청년당 참여, 1919년 파리강화회의 전권대표, 임시정부 외무총장, 1922년 극동민족대회 참석,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로 활동, 1932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조직, 1935년 민족혁명당 창당, 1944년 임시정부 부주석, 1947년 민족자주연맹 위원장, 1948년 남북연석회의 참가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한청년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민족혁명당, 민족자주연맹
-
행정연구위원회 行政硏究委員會결합하여 공동안을 작성하였고 이는 제헌국회의 헌법기초위원회에서 주축안으로 심의되었고 세칭 유진오안으로 불리었다. 행정연구위원회의 위원들은 헌법안 이외에도 「정부조직법」과 「국회법」, 「선거법」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헌법기초위원회와 국회법기초위원회 전문 위원으로 신국가 수립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여운홍 呂運弘, Yeo Wunhong수립에 참여하고,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으며, 1920년 미국의원단이 중국을 방문하자 임시정부의 교섭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21년까지 상하이에 설립된 인성학교(仁成學校)의 교장을 지냈다. 1921년에 귀국하여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보성전문학교의 영문학...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1년
- 사망 :
- 1973년
- 경력 :
- 상해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 보성전문학교 교수, 사회민주당 대표, 국회의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대표작 :
- 영문법, 몽양 여운형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함양(咸陽)
-
양우조 소벽(少碧), 楊宇朝1936년에는 한국국민당을 조직해 중앙위원이 되었다. 1937년 10월 쓰촨성[四川省] 치장[綦江]에서 국무원(國務員)을 개선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선전위원회를 특설하자 선전위원이 되었다. 그 해 한국독립당 중앙조직부장·훈련부장을 역임하였다. 1941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생계부(生計部) 차장에 취임해 교포의...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7년(고종 34)
- 사망 :
- 1964년
- 경력 :
- 대한민국임시정부 화남 및 남양군도 시찰특파원, 화남한국유학생회 지도고문, 대한민국임시정부 선전위원, 광복군 총사령부 참사 겸 정훈처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대표작 :
- 삼민주의와 손문학설(번역)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중화(中和: 지금의 평양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