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철승 李哲承
    의원을 지냈다. 1970년대 '중도통합론'을 주장하기도 했던 그는 야당의원으로 활동하면서 1973~76년 국회부의장, 1975년 국제연합(UN)총회 한국대표, 1976년 신민당 대표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1987년 당시 크게 논란이 되었던 내각제 개헌에 대한 지지발언으로 신한민주당에서 제명되었고, 자유민주총연맹의 총재로...
    출생 :
    1922. 5. 15, 전북 전주
    사망 :
    2016. 2. 27,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민중당 民衆黨
    원내투쟁을 주장했다. 1966년 3월 30일 민정당 계열이 이탈해 신한당을 창당함으로써 분당되었으며, 제6대 대통령후보로 민중당은 유진오를, 신한당은 윤보선을 지명했다. 그러나 야당의 대통령후보 단일화 및 재통합 추진이 성공함에 따라 1967년 2월 7일 민중당과 신한당이 합당해 신민당을 창당함으로써 해소되었다.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막대선거결과 합계 당선 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 끝 선거구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전주시 (제1선거구) 신민당 이철승 64,496 득표율 군산시·옥구군 (제2선거구) 신민당 강근호 44,412 득표율 이리시·익산군 (제3선거구) 신민당 김현기 58,016 득표율 완주군 (제4...
    도서 위키백과
  • 장택상 張澤相
    옹호투쟁위원장을 지냈으며, 1958년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민의원에 당선되었으나 5·16군사쿠데타로 국회가 해산되었다. 그 뒤 한일협정반대투쟁위원회에 참여하고 신민당 고문을 지냈다. 1969년 8월에 사망했다. 상훈과 추모 장례는 1969년 국민장으로 치러졌으며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출생 :
    1893년 10월 22일
    사망 :
    1969년 8월 1일
    경력 :
    수도경찰청장, 외무부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부산정치파동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인동(仁同)
  • 박기출 朴己出
    반혁명세력이 다시 대두하는 것을 규탄하다가 '입후보자 난동사건'으로 구속되어 1년형을 선고받았다. 5·16군사정변 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71년 국민당 대통령 후보로 나섰으나 낙선했다. 1973년 일본으로 건너가 의사생활을 하다가 다시 귀국했다. 경남...
    출생 :
    1909(융희 3), 부산
    사망 :
    1977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남도
    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 합계 당선 선거결과/정당명/막대선거결과 합계 선거구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광주시 갑 (제1선거구) 신민당 정성태 39,678 득표율 광주시 을 (제2선거구) 신민당 김녹영 53,409 득표율 목포시 (제3선거구) 신민당 김경인 31,512 득표율 여수시 (제4선거구) 민주...
    도서 위키백과
  • 서범석
    甲區)에서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된 데 이어, 1958년 제4대, 1960년 제5대, 1963년 제6대, 1967년 제7대, 1971년 제8대 등 20여 년 동안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등 야당 소속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1952년 부산정치파동 때는 국제공산당 혐의로 투옥됐다. 장면정권(張勉政權) 수립 뒤 국회내무위원장을 맡았고...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 South Korean legislative el..
    지역구 131명과 전국구 44명으로 총 175명이었다. 선거전은 지역구에 702명이 입후보하여 평균경쟁률은 5.4 대 1을 나타냈다. 이 선거에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 이외에 대중당·민중당·자민당 등 모두 11개 정당이 참여하였다. 투표율은 76.1%로 제6대보다 4%가량 증가하였다. 선거결과 정당별 당선자는 민주공화당이...
    도서 위키백과
  • 제7대 대선 박정희 후보 당선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와 신민당의 김대중 후보가 맞붙었다. 김대중은 당내 경선에서 김영삼에게 역전승을 거두고 대선 후보가 됐다. 40대의 젊은 후보이던 김대중은 박정희가 주도한 성장 위주의 개발 정책을 비판했다. 또한 향토예비군 폐지, 4대국 안전 보장론, 언론 ・ 체육 등 정치 이외...
    시대 :
    1971년 4월 27일
    국가/대륙 :
    한국
  • 김약수 김두전, 金若水
    평화통일운동을 전개하고자 했던 인물이다. 휘문의숙, 경성공업학교를 거쳐 일본대학 사회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고향 출신으로 해방 후 북한에서 조선신민당을 이끌었던 김두봉(金枓奉)의 사촌동생이기도 하다. 김원봉(金元鳳)과 가까이 지냈던 그는 1918년 함께 독립운동의 뜻을 품고 중국 난징[南京]으로 건너가 금릉...
    출생 :
    경남 동래, 1893
    사망 :
    1964. 1. 10,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태완선 太完善, Tae Wansun
    제5대 민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제2공화국에서 부흥부장관(1961.5.3~1961.5.18)과 상공부장관을 지냈다. 1965년 통합야당인 민중당 당무회의 의장, 1969년 신민당 정무위원과 재정위원장이 되었다. 1970년 박정희정권과 처음으로 인연을 맺으며, 경제과학심의회의 상임위원과 대한석탄공사 총재를 지냈다. 1970...
    시대 :
    현대
    출생 :
    1915년
    사망 :
    1988년 5월 1일
    경력 :
    건설부장관(1971),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1972), 한국종합제철 사장(1974), 대한상공회의소 회장(1975), 한미친선회 회장(1975~1982), 숙명학원 이사장(197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이사장(1978), 제10대 국회의원(1979), 유정회 의장(1979), 1981년 한미우정사절단 국제자문위원회 의장(1981), 공화당 상임고문(1987)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경제인
    대표작 :
    미국의 전력사업(1959), 한국의 경제: 과거 현재 미래(1972)
    성별 :
    분야 :
    역사/현대사
  • 노력인민 勞力人民
    5월 18일 조선 정판사 위조지폐사건으로 발행정지처분을 당한 후 새로운 신문발행을 모색했다. 1946년 11월에 좌익 3당(조선공산당·조선인민당·남조선신민당)이 통합하여 결성된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로당)은 조직정비를 서두르는 한편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개최에 대비하여 합법적 공간 내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