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의 다발성 신경병증 말초 신경병증, 개, Peripheral neuropathies i..원인 • 유전성 • 후천성 - 면역 : 원발성 또는 속발적 -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또는 다른 면역성 질환(다발성 관절염, 사구체 신염, 다발선 근염, 천포창) - 대사성 질환 : 갑상선기능저하증, 인슐린종, 선암종, 악성흑색종, 비만세포종, 골육종, 다발성 골수종 또는 림프육종과 관련이 있음 - 감염성 : Neospora...
- 축종 :
- 개
-
심낭염 Pericarditis혈압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또는 진단을 목적으로 심낭 천자를 시행하고, 흡인된 심낭액을 검사하여 원인 질환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와 류마티스성 관절염 같은 원인 질환에 대해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심낭염 환자는 심장마비 가능성이나 감염 상태를 감별하고, 과도한...
- 분류 :
-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가슴 통증, 두통, 쇼크, 열, 저혈압, 피로감, 호흡곤란
- 진료과 :
- 심장내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심장 종양, 전신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관절염, 신부전, 심낭 압전, 오래된 심근경색증
-
-
-
늑막염 Pleurisy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균에 감염되어 늑막염이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악성 종양,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이 있을 때 면역체계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여 늑막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증상 늑막염의 원인이 감염이나 폐색전증일 경우...
- 분류 :
- 호흡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가래, 가슴 답답, 가슴 통증, 권태감, 기침, 열, 오한, 호흡곤란
- 진료과 :
- 호흡기내과
- 관련 질환 :
- 폐 혈전색전증, 전신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관절염, 폐렴, 폐결핵, 인플루엔자, 결핵, 자가면역 질환
-
심낭 삼출 Pericardial effusion염증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핵이나 악성 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은 편입니다. 그 외에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한 점액 부종,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진균 감염, 방사선 치료, 만성 신부전증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삼출액이 적으면 대개 아무런 증상이...
- 분류 :
- 순환기질환
- 발생 부위 :
- 가슴
- 증상 :
- 기침, 목소리 변화, 빈맥, 식욕부진, 호흡곤란
- 진료과 :
- 심장내과, 흉부외과
- 관련 질환 :
- 울혈성 심부전, 전신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관절염, 심내막염
-
-
성인형 스틸병 Adult-Onset Stills disease검사상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백혈구가 증가하고, CRP가 증가하며, 적혈구 침강 속도가 증가한 상태가 관찰됩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 등에 나타나는 류마티스 인자나 항핵항체와 같은 항체는 보통 음성이거나 약양성입니다. 이 질병의 또 다른 특징은 체내에 철분을 저장하는 페리틴이...
- 분류 :
- 기타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관절통, 근육통, 반점, 발진, 열
- 진료과 :
- 알레르기류마티스내과
- 관련 질환 :
- 류마티스 관절염, 간염,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
용혈성 요독 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됩니다. ③ 기타 기타 요인 설사 무관형인 경우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는 장기 이식 및 골수 이식 환자에게서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한편,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등의 전신 질환, 이식 거부반응, 임신 등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항암 치료, 일부 악성 종양, 후천성 면역결핍증 등...
- 분류 :
- 감염성 질환, 소화기질환, 신장비뇨기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관절통, 눈의 충혈, 발진, 열
- 진료과 :
- 감염내과, 소화기내과, 신장내과
- 관련 질환 :
- 전신 홍반성 낭창, 미세혈관병용혈빈혈, 급성 신부전, 대장균 감염, 후천성 면역결핍증, 세균성 이질, 대장염,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식중독, 면역혈소판감소증, 폰빌레브란트병,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