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오스티그민 Neostigmine, ネオスチグミン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은 가역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제의 역할을 하는 부교감 신경양 작용제이다. 1931년 애실만(Aeschlimann)과 라이너(Reinert)가 처음 합성하였다.서적 인용 의학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부작용도 있다. 브롬화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 bromide)은 사이안화 칼륨(청산가리) 보다 5배 독성이...
    도서 위키백과
  • 각성 Arousal, 覚醒
    피질 전체로 확장되는 연결을 형성하는 5가지 주요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의 투영으로 구성된다. ARAS 내의 활동은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도파민, 세로토닌 및 히스타민을 방출하는 뉴런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뉴런의 활성화는 대뇌 피질의 활동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주의력을 향상시킨다...
    도서 위키백과
  • 신경근육질환 Neuromuscular disease
    수 있다.서적 인용 신경을 둘러싼 전기 절연체의 부전은 비타민 B-12를 흡수하는 신체 시스템의 부전과 같은 특정 결핍 질환에서 볼 수 있다. 질병에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 로 인한 근육 약화의 한 형태인 중증 근무력증 이들 중 다수는 유전적이거나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여기서 근육 무결성이...
    도서 위키백과
  • 소만 (화학무기) Soman, ソマン
    수 있다. 색은 무색이나 황갈색이며 냄새는 무취나 장뇌냄새가 난다고 한다. 또한 피부나 흡입으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경가스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신경에 축적시켜 신경을 지나치게 흥분시키고 그 결과로 경련, 마비, 호흡곤란, 구토, 방뇨, 방분, 뒤틀림 등의 현상을 유발한다. 이렇게 강력한 소만...
    도서 위키백과
  • 신경분비 Neurocrine
    llang)는 다음을 지칭할 수 있다. 주변분비(paracrine)와 유사하지만 신경 세포를 포함하는 일종의 세포 신호전달이다. 자세한 내용은 화학적 시냅스를 참조한다. 뉴로크린 바이오사이언스 (미국의 생명공학 회사) 신경 세포에서 분비되는 모든 분자: 지질, 기체, 펩타이드, 퓨린, 아민, 아미노산, 아세틸콜린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줄담배 Chain smoking
    담배를 사용하는 행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줄담배는 니코틴 중독의 일반적인 징후이다.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실 때 줄담배를 피는데, 알코올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강화하여 재감작을 유도함으로써 갈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연쇄 흡연이 니코틴 의존성에 의해 유발되는 정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서 위키백과
  •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 交感神経系
    절전 뉴런이 절후 뉴런보다 상대적으로 짧으며, 절후 뉴런의 세포체는 상위 경부 신경절(superior cervical ganglion)에 뭉쳐있다. 절전 뉴런은 주로 아세틸콜린을, 절후뉴런의 경우 주로 아드레날린을 신경전달물질로 이용한다. 부교감 신경의 경우는 절전 뉴런의 길이가 길고, 절후뉴런의 세포체는 해당 기관 내부...
    도서 위키백과
  • 아세틸기 Acetyl group, アセチル基
    전자를 가지고 있다. IUPAC 명명법에서 아세틸은 에탄오일이라고 명명하지만 이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아세틸 부분은 아세트산,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 아세틸-CoA, 아세틸시스테인,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로도 알려짐) 및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으로 더 잘 알려짐)을 포함한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도서 위키백과
  • 단백질 아세틸화 Protein acetylation
    기관의 효소에 의해 약물 대사로서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아세틸화 반응으로 번역 후 변형의 한 유형이다. 제약은 보통 아세틸화를 사용하여 이러한 에스터가 혈뇌장벽(및 태반)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아세틸콜린과 유사한 방식으로 효소(카복실에스터레이스)에 의해 탈아세틸화된다. 아세틸화 번역 후 변형
    도서 위키백과
  • 방출 조절인자 Release modulator, 釋放調節劑
    방출 조절인자(放出 調節因子, 도파민, 세로토닌의 방출을 유도하는)과 같은 모노아민 방출제 및 보툴리눔 독소(SNAP25를 불활성화시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세포 외 배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와 같은 방출 억제제를 포함한다. 수용체 조절인자 이온 통로 조절인자 효소 조절인자 재흡수 조절인자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 Glycosylphosphatidylinositol, グリコシル..
    결합을 절단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이다. 포스포라이페이스 C로 처리하면 세포막 외부에서 GPI 닻형 단백질이 방출된다. T 세포 표지자인 Thy-1과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장 및 태반의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는 GPI와 연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스포라이페이스 C로 처리하면 방출된다. GPI 닻형 단백질은...
    도서 위키백과
  • 노화 老化, Ageing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AChE)의 활성 자리에 일차적으로 결합한 신경 작용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차 반응을 일으켜 옥심 주사제로 해독이 불가능한 형태의 화합물로 바뀌는 현상. 나이를 먹어 간다는 뜻의 일반 용어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분야 :
    방호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현재페이지16 1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의 활성부위와 아세틸콜린과의 결합양상
아세틸콜린 생성과 분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아세틸콜린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전뇌기저부 마이네르트 기저핵의 아세틸콜린 신경축삭과 중격해마신경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