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무량수전의 평면의 안허리곡, 기둥의 안쏠림과 귀솟음, 배흘림기둥, 항아리형 보 등의 의장 수법은 고려시대의 법식을 잘 나타낸다. 이는 착시에 의한 왜곡 현상을 막으면서 효율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기법...도서 위키백과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주세붕(周世鵬)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고 있다. 규모는 정면3칸, 측면3칸의 맞배집으로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위에 둥글게 다듬은 주좌(柱座)를 놓고 배흘림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기둥머리에 주두를 놓고, 첨차를 내어 그 위에 소로가 주심도리의 장혀를 받치고 보 방향으로는 쇠혀(牛舌)를 내고 안쪽으로는...도서 위키백과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조각하였고, 윗돌에는 구름속을 거니는 용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모서리마다 꽃이 새겨져 있다. 중간받침돌은 아무런 조각이 없는 8각의 배흘림기둥을 세웠으며, 윗받침돌은 윗면에 수직으로 새긴 난간조각이 특히 눈여겨볼 만하다. 탑신의 몸돌은 8각이며 각 모서리를 기둥처럼 새기고, 앞·뒷면에는...도서 위키백과
-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등을 목적으로 국립산림박물관에 이어 지방에서는 최초로 개관하였다. 건물의 외부는 백제를 비롯한 한국전통목조건물 양식에 따라 지붕의 귀솟음, 기둥의 배흘림을 반영하였다. 전면에는 십장생도와 연화·인동 무늬를 동판에 새겨붙여 전통사상을 나타냈다. 측면에는 전통창살 무늬를 배경으로 소나무 무늬를, 후면...도서 위키백과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막돌 바른층으로 쌓은 위에 장대석으로 갑석을 만들어 조성했으며 정면 어칸 앞쪽에는 폭이 넓은 석계가 설치되어 있다. 기단 위에는 막돌 초석을 놓고 약한 배흘림의 원주를 세워 상부가구를 받고 있다. 창호의 정면은 소슬 꽃살창으로 어칸은 삼분합문이고, 나머지는 이분합문이다. 측면 퇴칸에는 정자살창 또는...도서 위키백과
-
영천 거조사 영산전 銀海寺居祖庵靈山殿많은 부분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가구(架構)는 간결한 수법으로 되어 측면 중앙 칸을 형성하는 두 고주(高柱)와 그 앞뒤의 평주(平柱)에는 뚜렷한 배흘림이 있다. 고주와 평주는 퇴보로 연결되어 평주 위의 공포에 의하여 퇴보 안 끝이 받쳐져 이것이 주심도리(柱心道里)를 받게 되고 출목(出目)으로 된 첨차는 퇴보...도서 위키백과
-
홍성 고산사 대웅전존칭 가운데 하나로,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시는 전각이며 항상 사찰의 중심에 위치한다. 조선 초기의 건물로 다듬지 않은 주춧돌에 배흘림 앙식의 기둥을 세웠다. 정면 3칸 축면 3탄으로 된 팔작지붕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다. 주심포 양식의 건물은 일반적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비해 이...도서 위키백과
-
안동 진성이씨 종택ㅁ자형이고 앞면 왼쪽에 사랑채가 있는데, 사랑채는 바닥을 땅에서 높이 띄우고 앞쪽에 툇마루를 내었다. 경류정은 둥근 기둥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이 남아 있어 주목된다. 조선 전기 이 지역 사대부가의 면모를 고루 갖추고 있는 종가 건물이다.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이씨(송안군)의 ‘대종가’로...도서 위키백과
-
순천 송광사 하사당비교적 지면(地面)에서부터 높게 놓아 일부는 완전히 가공되었고 일부는 가공치 않은 듯 하나 주좌(柱座)만은 가공한 흔적을 볼 수 있다. 기둥의 엔타시스(배흘림)도 국사전과 거의 근사하다. 보의 단면은 국사전의 것이 직사각형 밑에 두 귀를 거의 원형(圓形)이 되도록 굴린데 비하여 하사당의 것은 고려 때부터 사용...도서 위키백과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Five-storied stone pagoda of Jeongni..정림사지 오층석탑의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웠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 놓았다. 좁고 얕은 1단의 기단과 배흘림기법의 기둥 표현, 얇고 넓은 지붕돌의 형태는 목조건물의 형식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세련되고 창의적인 조형을 보여주며, 전체의...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