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뿌리이용 식물, 양유 羊乳생약명 : 양유(羊乳) - 학명 및 식물기원 : 양유(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 이용 부위 : 뿌리 가. 식물의 성상 및 분류 (1) 재배식물의 성상 다년생 초본 덩굴식물로 줄기는 2~3m까지 자라면서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가고 담녹색을 띤다. 잎은 덩굴 아래에서는 마주 나지만 윗부분에서는...
-
덩굴닭의장풀 덩굴닭의밑씻개흰색 꽃이 피는 덩굴식물 닭의장풀은 자주달개비와 자주 혼동이 되는 식물이다. 꽃잎의 모양이 닭 벼슬을 닮아서 비슷하긴 하지만 자주달개비가 닭의장풀보다 꽃이 더 짙어 자주색에 가깝다. 줄기와 잎이 닭의장풀과 비슷하지만 덩굴식물이며 꽃이 흰색으로 피는 것이 덩굴닭의장풀이다. 덩굴닭의장풀의 키는 2~3...
- 분류 :
- 닭의장풀과
- 서식지 :
- 반 그늘진 곳,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 주변습도가 높거나 습지와 같은 곳
- 꽃색 :
- 흰색
- 크기 :
- 키는 약 2~3m 정도
- 학명 :
- Streptolirion volubile Edgew.
- 용도 :
- 어린잎은 식용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각처
- 생활사 :
- 한해살이 덩굴식물
- 개화기 :
- 8~9월
- 결실기 :
- 9~10월경
-
거지덩굴 적갈(赤葛)선다. 열매 8~9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오렴매·오룡초(五龍草)·발룡갈(拔龍葛)·오조룡(五爪龍)이라고도 한다. 다른 식물에 덩굴을 감아 왕성하게 퍼진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여러 곳에서 새싹이 나온다. 줄기는 모가 나고 녹색을 띤 자줏빛이며 마디에 긴 털이 있다. 뿌리...
- 학명 :
- Cayratia japonica
- 분포지역 :
- 제주도, 다도해, 중부 지방
- 자생지역 :
- 산과 들
- 번식 :
- 꺾꽂이·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
- 생약명 :
- 오렴매(烏蘞莓)
- 키 :
- 3~4m
- 과 :
- 포도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덩굴풀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고 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 뿌리 6~8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오미자 오미자나무, 五味子달린다. 씨는 열매에 1-2개씩 들어 있다. 생태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토양에서 자라는 낙엽성 덩굴 식물이며 낙엽활엽수림 가장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용 열매는 식용 및 약용한다. 해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는 덩굴 식물로서 암꽃과 수꽃이 다른 개체에...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붓순나무목 > 오미자과 > 오미자속
- 서식지 :
-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 학명 :
-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
놋젓가락나물 선덩굴바꽃실제로 식용하지는 않으며, 단지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덩굴식물이므로 다른 식물을 감아 올라가며 자란다. 주로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반그늘 식물로, 덩굴 길이는 약 2m이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
- 꽃색 :
- 보라색 또는 자주색
- 학명 :
- Aconitum ciliare DC.
- 용도 :
- 관상용, 뿌리는 약재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중국, 시베리아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 8~9월
- 결실기 :
- 10~11월
-
쥐다래 Kiwi Vine열매는 장과이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5cm이고 9-10월에 익는다. 생태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성 활엽 덩굴 식물로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잘 자라나, 반그늘 또는 그늘에서도 자란다. 이용 열매와 어린순은 식용하며, 줄기는 약용한다. 해설 높은 산에서...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차나무목 > 다래나무과 > 다래나무속
- 서식지 :
-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 꽃색 :
- 흰색
- 크기 :
- 길이 5m
- 학명 :
-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 분포지역 :
- 한국, 중국, 일본, 사할린 등지
- 개화기 :
- 5월
-
요강나물 선종덩굴독성이 강한 식물이므로 거의 먹지는 않는다. 요강나물은 선종덩굴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꽃과 잎이 종덩굴을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종덩굴은 덩굴식물이므로 기본적으로 감아 올라가는 특성이 있는 반면 요강나물은 곧게 서서 자라므로 서 있는 종덩굴이라고 해서 선종덩굴이라고 한다. 요강나물은 설악산...
- 분류 :
- 미나리아재비과
- 서식지 :
- 주변습도가 높거나 안개가 많아 공기습도가 높고 부엽질이 많은 양지
- 꽃색 :
- 검은색
- 크기 :
- 키는 약 30~100㎝ 정도
- 학명 :
- Clematis fusca var. coreana (H. Lev. & Vaniot) Nakai
- 용도 :
- 관상용
- 분포지역 :
- 설악산과 금강산, 황해도 구월산과 장산곶 등
- 개화기 :
- 5~6월
- 결실기 :
- 9월경
-
갈퀴나물 갈키나물나물로 해 먹는다. 또 가축 사료로도 이용하며, 한방에서는 류머티즘 동통이나 관절염, 근육 마비 등의 증상에 약재로 쓴다.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은 길이는 1.5~3.0㎝, 폭은 0.4~1.0㎝이고 긴 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이며, 잎줄기 끝에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잎의 길이는 1...
- 분류 :
- 콩과
- 서식지 :
-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으며 토양이 비옥한 곳
- 꽃색 :
- 홍자색
- 크기 :
- 키는 약 80~180㎝ 정도
- 학명 :
- Vicia amoena Fisch. ex DC
- 용도 :
- 약재, 가축사료, 새순은 식용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시베리아 등지
- 생활사 :
-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 결실기 :
- 8~9월경
-
-
거지덩굴방패벌레돌출해 있다. 등판의 기부는 둔각 삼각형으로 오목하게 패였다. 생식구는 비교적 작고, 중앙부와 꼬리부는 둥글게 구부러졌으며 바깥쪽에 수 개의 털이 있다. 음경도 비교적 작고 그 내절에는 한 쌍의 촉이 난 올방게 모양의 돌기가 있다. 생태 숙주식물은 거지덩굴이며, 잎 뒷면에서 생활하고 가을에 많이 나타난다...
- 분류 :
- 노린재목 > 방패벌레과 > 알벼룩잎벌레속
- 학명 :
- Cysteochila consueta Drake, 1948
-
종덩굴 수염종덩굴, Violet Stanavoi clematis남아 있다. 생태 낙엽 덩굴나무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열매는 8-10월에 익는다. 해설 북부지방에 자라는 검종덩굴(C. fusca Turcz.)에 비해 꽃받침 겉과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요강나물(C. fusca Turcz. var. coreana Nakai)과는 달리 완전한 덩굴식물이므로 구분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 서식지 :
- 숲 속
- 학명 :
- Clematis fusca Nakai ex Chung et al. var. violacea Maxim.
- 국내분포 :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해외분포 :
- 러시아, 일본, 중국(동북부)
-
고구마, 병해충 방제되살아나 정상적인 생육을 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지 포장에서 이병된 식물을 채취하여 온실에 이식하였을 때도 같았다. 따라서 이 병원균은 정상적인 생육 상태...해 기온이 올라가면 발아하여 전염하게 된다. 생장점 부위의 끝순은 병원균이 거의 없으나 뿌리나 덩굴은 감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균을 가지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