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강리 안동 김씨 집단묘 淸江里 安東 金氏 集團墓[위치] 청강리 안동 김씨 집단묘(淸江里安東金氏集團墓)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 산39번지에 있다. 청강리 고분군(淸江里古墳群)의 정상부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나지막한 언덕의 해발 고도 66~70m 사이에 위치한다. [변천] 김성보(金星報)의 묘는 원래 경기도 파주군 가곡리에 있었는데, 1974년 5월 14...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노포동 강릉 김씨 세거지 老圃洞 江陵 金氏 世居地노포동 뒤쪽 당산이 쥐가 채소밭에 먹이를 구하러 내려오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늙을 노’와 ‘채전 포’를 쓴 것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노포동 강릉 김씨 세거지(老圃洞江陵金氏世居地)는 조선 초부터 금정구 선동(仙洞)에 정착하여 살아온 동래부(東萊府)의 대표적인 유력 성씨였던 강릉 김씨 충순공(忠順公...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래 김씨 東萊 金氏[개설] 김씨(金氏)의 본관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 499본, 『성씨 대관』에는 600본, 『조선 씨족 통보』에는 623본으로 나타나 있다. 김씨는 크게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계와 신라 왕실의 박(朴)·석(昔)·김(金) 3성 중의 하나인 김알지계로 볼 수 있다. 경주 김씨 외에도...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용천리 김해 김씨 세거지 龍川里 金海 金氏 世居地큰 내 또는 으뜸내를 의미하는 머리내[頭川, 두천]가 발음이 비슷한 미래내[龍川]로 표기되어 전해진 것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일광면 용천리 김해 김씨(金海金氏) 입향조는 알 수 없지만 입향 시기는 대략 1800년대 전반기로 추정된다. 김해 김씨 삼현파 문중이 대구에서 울산으로 그리고 기장군 일광 지역으로...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기룡리 김해 김씨 세거지 奇龍里 金海 金氏 世居地이라 하여, 장안천 변의 마을 이름은 대부분 용(龍) 자나 건(乾) 자가 사용되었다. 이에 기룡은 장안천 변의 큰 마을이라는 뜻이다. [형성 및 변천] 김해 김씨(金海金氏)가 기룡리에 들어온 것은 1700년대 후반으로, 입향조는 지금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이곳으로 이거한 시중공파...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망미동 구락리 마을 김해 김씨 세거지 望美洞 求樂里 마을 金海 ..金道安)[57세]이 경상남도 김해에서 망미동 구락리 마을로 이거 입향하였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따르면, 구락동 호수는 29호로, 이 가운데 김씨가 18호를 차지하였다. 이 후로도 후손들은 김해 김씨 삼현파 망미 문중으로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자연 환경] 기장군 정관읍 일대에서 발원한 수영강이...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수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