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인문묘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킬 때 당나라에게 신라측 협조사항을 받아내는데 큰 공을 세워 신라의 삼국통일에 큰 역할을 하였다. 당나라에서 관직을 지내다가 효소왕 3년(694)에 죽었다. 당 고종은 그의 시신을 호송하여 신라로 보냈으며 효소왕은 그에게 태대각간(太大角干)의 벼슬을 내렸고 서악에서 장례를 치르게 했다...
    도서 위키백과
  • 신흥사 (속초시) Sinheungsa, 新興寺 (束草市)
    율사가 창건한 향성사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향성사란 ‘중향성불토국’이란 뜻으로 지금의 자리에서 동방 약 1 km 지점에 세웠으나 49년 후인 701년(효소왕 10년)에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그 뒤 의상조사가 지금의 신흥사 북방 1.5 km 지점인 현 내원암 자리에 선정사를 다시 세워 불법을 전하다가 인조 20...
    도서 위키백과
  • 9서당
    六停)과는 달리 귀족 출신 무장들의 모병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서당은 진평왕 35년(613년)에 녹금서당(綠衿誓幢)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693년(신라 효소왕 2년)에 장창당(長槍幢)을 비금서당(緋衿誓幢)으로 개칭하면서 비로소 9서당이 완성되었다. 이후 신라의 시위부(侍衛府)가 왕궁 수비를 맡고, 9서당이 수도...
    도서 위키백과
  • 신문왕 Sinmun of Silla, 神文王
    징발권을 회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행정구역을 정비하였다. 문무왕과 자의왕후 김씨의 차남으로, 출생연도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장남 효소왕이 6세의 나이에 즉위한 점을 고려하면 사망 당시 장수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교서에 자신을 보잘 것 없는 몸이라고 말했던 것을 보면https://db.history...
    도서 위키백과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8세기 초의 통일신라시대 불상양식을 잘 보여준다. 삼층석탑의 2층 옥개석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의 뚜껑 안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즉, 692년에 효소왕이 신문왕을 위해 세운 삼층석탑 속에《무구정광다라니경과 불사리 4개, 그리고 순금으로 된 6촌 크기의 아미타불상 1구를 성덕왕 때인 706년 5월 30일에...
    도서 위키백과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석재 유물만 남아 있을 뿐이다. 삼층석탑의 2층 옥개석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의 뚜껑 안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기록되어 있다.이 명문의 내용에 의하면, 신라 효소왕이 신문왕을 위하여 692년에 삼층석탑을 건립한 후 성덕왕이 효소왕과 신목태후를 위하여 706년 5월 30일에 불사리 4과와 6촌(寸) 크기의 아미타불상...
    도서 위키백과
  • 원측 Woncheuk, 円測
    승려이다. 원측의 성은 김, 속명은 문아(文雅)이고, 신라 왕족으로서 경주 모량부(牟梁部) 출신이다. 3세에 출가했고, 15세(627)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효소왕 5년(696)에 84세로 당나라에서 입적하였다. 당나라에서 법상이 645년에 인도로부터 귀국한 후에는 그에게도 사사했다. 중국어 당 태종으로부터 도첩(度牒...
    도서 위키백과
  • 향가 Hyangga, 郷歌
    한다. 來如來如來如 (오다 오다 오다) 來如哀反多羅 (오다 셔럽다라) 哀反多矣徒良 (셔렵다 의내여)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 닷ᄀᆞ라 오다) 문무왕 때 또는 효소왕 때에 지어졌다고 추정되며, 광덕(廣德)의 처가 지은 10구체 향가라고 하는데, 광덕이 죽자 그의 친구 엄장(嚴莊)이 그 처에게 동침을 요구하자 이를 거절...
    도서 위키백과
  • 태대각간
    관등을 만들어 표창하였다. 초상화 이름 기타 김유신 668년(문무왕 8년) 10월 22일에 고구려를 멸한 후 그 공적을 헤아려 태대각간으로 삼음. - 김인문 사후 효소왕이 태대각간에 추증함. - 대현(大玄) 부례랑이 만파식적을 타고 안상과 함께 무사히 귀환하자 태대각간으로 삼음. - 최유덕(崔有德) 자신의 집을 바쳐...
    도서 위키백과
  • 대각간
    후 그 공적을 헤아려 태대각간으로 삼음. - 김인문 668년(문무왕 8년) 10월 22일에 고구려를 멸한 후 그 공적을 헤아려 대각간으로 삼음.서적 인용 사후 효소왕이 태대각간에 추증함. - 박뉴(朴紐) 668년(문무왕 8년) 10월 22일에 고구려를 멸한 후 공적을 헤아려 김인문에게 죽은 박뉴의 식읍(食邑) 5백 호를 줌...
    도서 위키백과
  • 화양면 (여수시) Hwayang-myeon, Yeosu
    마한시대 : 마한의 56국중에 1국이었을것으로 추정 백제시대 : 구지하성(김제) 삽평군(순천) 돌산현 통일신라시대 : 무주(광주) 승평군 돌산현 1692년 : 효소왕 원년에 용문사 창건되었다고 함. 고려시대 : 승평군 여수현 1396년 : 순천부 돌산포만호진 설진 조선시대 1479년 - 내례포를 진남관 자리로 옮김 1485...
    도서 위키백과
  • 중화사
    重華寺)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화신리에 있다. 1996년 4월 15일 영동군의 향토유적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문무왕 16년(676)에서 신라 효소왕 10년(701) 사이에 의상조사(義湘租師)가 창건한 고찰로서 고려 원종 원년(1260) 보각국사 일연이 중창하였고, 조선 중종 25년(1530) 이후에 폐사 되었다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11 12 현재페이지13 14 1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신라 효소왕릉 정면
경주 효소왕릉
효소왕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