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종일 선생 생가지 李鍾一 先生 生家址각 1칸씩 있고, 부엌이 2칸이며 전퇴에는 마루를 깔았다. 앞으로 달아낸 날개에는 북으로 문이 나 있고 그 동쪽으로 2칸의 방이 있다. 그 뒷쪽에 1990년 완공한...학교장을 지내면서 교육사업에 전념하였고 1898년에는 한국최초의 한글신문인 제국신문을 창간하였다. 또 3ㆍ1운동때는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 직접...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은산별신당 恩山別神堂노인이 마루에 앉아 있으려니까 한 장군이 백마를 타고 나타나서 “이 마을에 병마가 들어 근심이 되고 있는 것을 풀어줄 터이니 나의 청을 들어주겠느냐?”고 하였다. 노인이 그렇게 하겠다고 하자 “나는 내 부하와 억울하게 죽었으니 백골을 수습해달라.”고 하였다. 꿈에서 깬 노인은 곧 이 사실을 마을사람들에게...
- 성격 :
- 신당, 산신제당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선국사 산성절, 善國寺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때에는 동학군들이 이곳을 점령하여 일대 접전을 벌였다. 이때 사찰의 당우(堂宇) 가운데 일부와, 열섬들이의 장독이 파괴되었다고 한다. 1917년에 현암(玄巖)이 대웅전(大雄殿)을 중수(重修)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형태와 특징 현존하는 당우로는 1985년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현, 전북특별...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창렬서원 창렬사(彰烈祠), 彰烈書院급제한 뒤 집현전부수찬, 동복현감, 집현전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단종복위운동이 실패하자 주모자의 한사람으로 국문을 받고 극형을 당했다. 뒤에 이조판서에...정면 4칸, 측면 2칸의 5량가(五樑架) 팔작기와집으로, 가운데 2칸은 마루로 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쌍여닫이 사분합문을, 후면에는 쌍여닫이판문을 달았다...
- 시대 :
- 조선후기
- 건립시기 :
- 1804년(순조 4)
- 성격 :
- 서원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 261,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새마을길 73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스티븐스저격사건 스티븐스처단, ─狙擊事件니폰마루[日本丸]로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그는 샌프란시스코에 상륙하자 각 신문기자에 대해 일본의 한국지배를 옹호하는 발언을 일삼았다. 그는 『샌프란시스코 클로니컬』(San Francisco Chronicle)지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한국을 보호한 후로 한국에 유익한 일이 많으므로 근래 한일 양국인간에 교제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발생 :
- 1908년 3월 23일
- 성격 :
- 친일외교관 처단사건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관련 인물/단체 :
- 장인환, 전명운, 최정익, 문양목, 정재관, 이학현
- 관련 장소 :
- 샌프란시스코 페리부두
-
서울 금성당 서울 錦城堂복위 운동의 실패로 32세에 비운의 죽음을 당하였다. 이후 전국의 무속신앙에서 금성대군을 신격화하였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지역의 많은 무당들이 그를 영험한 신으로 모셨다. 금성당도 그 중에 하나인데 원래 서울에는 진관외동(구파발) 외에 망원동(노들)과 월계동(각심절)에도 금성당이 있었다. 그러나 도시개발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용아 생가 龍兒 生家방, 마루의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 사당이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1칸인 맞배집이며 서재는 원래 초가집이던 것을 시멘트 기와로 이었다. 행랑채는 4칸집으로 사랑채로 들어가는 대문이 있다. 용아의 생가는 1970년대 새마을사업으로 몸채의 초가 지붕을 시멘트 기와로 교체하고 부속 건물은 슬레이트로 개량...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