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교조약 政敎條約, concordat
    있어서 대체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정교조약도 크게 많지 않다. 최초의 정교조약은 서임권 분쟁을 둘러싸고 1121년 교황 갈리스도(Callistus) 2세와 황제 하인리히 5세(1081∼1125) 사이에 맺은 보름스조약이다. 여기서 서임권은 교황과 국왕 양자의 이해 속에서 처리되었다. 대체로 역사상 중요한 정교조약들은 다음과...
  • 신성 로마 황제 Holy Roman Emperor, 神聖ローマ皇帝
    29일 하인리히 7세의 손자 독일왕 이탈리아왕 보헤미아왕 부르군트왕 룩셈부르크 백작 랑고바르드인의 왕 지기스문트작게 1410년 9월 10일1411년 7월 21일 1433년 5월 31일 1437년 12월 9일 카를 4세의 차남 독일왕 이탈리아왕 보헤미아왕 헝가리와 크로아트인의 왕 프리드리히 3세작게 1440년 2월 2일 1452년 3월 16일...
    도서 위키백과
  • 이슈트반 2세 Stephen II of Hungary, イシュトヴァーン2世 (ハンガリー王)
    칼만으로부터 헝가리의 왕세자로 임명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칼만의 동생이자 그의 삼촌인 알모시(Álmos) 공작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하인리히 5세의 지원을 통해 무장 반란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만다. 칼만은 1114년경에 알모시 공작과 벨러(Béla, 알모시 공작의 아들인 벨러 2세)를 장님으로 만들었다...
    도서 위키백과
  • 스벤 3세 Sweyn III of Denmark, スヴェン3世 (デンマーク王)
    동맹 관계를 수립한 뒤에 스벤 3세를 상대로 반격에 나서면서 독일로 망명하고 만다. 1157년 작센 공작, 바이에른 공작을 역임하고 있던 하인리히 사자공의 지원을 통해 크누드 5세, 발데마르 1세와 화해했고 덴마크를 윌란반도, 셸란섬, 스코네로 3분할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스코네의 지배자가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1917년 국가 지도자 목록 List of state leaders in 1917
    1907 ~ 1919) 총리 ― 페르 퐁트 (1915 ~ 1917) 무정부 기간 국왕 ― 조지 5세 (1910 ~ 1936) 총리 ―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1916 ~ 1922) 술탄 ― 메흐메트...사도왕 ― 카를 1세, 카롤리 4세 오스트리아 일반 각료 평의회 의장 ― 하인리히 클람마르티니크 백작 (1916 ~ 1917) 에른스트 자이들러 폰 포이히텐크 (1917...
    도서 위키백과
  • 볼레스와프 3세 Bolesław III Wrymouth, ボレスワフ3世クシヴォウスティ
    다시 가능하게 되었다. 포메라이나의 지방 정부는 그 지역을 떠났다. 볼레스와프 3세는 1109년에 그워구프 전투와 프시에 폴레에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5세를 격퇴하기도 했다. 1113년부터 1119년까지 그는 포메라니아 전역을 점령했다. 1135년에 볼레스와프는 황제 로타르 3세에게 공물을 바쳤으며 황제는...
    도서 위키백과
  • 오토 3세 Otto III, Holy Roman Emperor, オットー3世 (神聖ローマ..
    보헤미아 공작 볼레슬라프 2세를 오토 3세 정권을 받아들이도록 하면서 보헤미아를 독일의 패권 하에 있도록 유지시켜 낸 것이었다.Duckett, pg. 108 986년에 5세였던 오토 3세는 크베들린부르크에서 부활절을 지냈다. 독일의 주요 네 공작 (바이에른의 하인리히 2세, 슈바벤의 콘라트 1세, 케른텐의 하인리히 3세, 작센...
    도서 위키백과
  • 무정부시대 The Anarchy, 無政府時代 (イングランド)
    마틸다는 옥스퍼드 성관을 빠져나와 얼어붙은 템스강을 건너 탈출했다. 이후 전쟁은 몇 년 간 질질 끌면서 계속되었다. 마틸다의 새 남편(신성로마황제 하인리히 5세는 1125년 사망) 앙주 백작 조프루아 플랜태저넷이 노르망디를 점령했으나, 잉글랜드에서는 계속 승부가 나지 않았다. 북잉글랜드와 동앵글리아에서는...
    도서 위키백과
  • 마틸데 디 카노사 디 토스카나 여변경백 Matilda of Tuscany, マティルデ・デ..
    된다. 아내가 감옥에 갇히자 고드프리 3세는 하인리히 3세를 이탈리아에서 몰아내고 반란을 부추기기 위해 독일로 돌아가 플랑드르의 보두앵 5세와 황제를 압박한 결과 하인리히 3세가 사망한 1056년 중반까지 평화로운 시기가 왔다. 마틸데의 가문은 11세기 교황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알렉산데르 2...
    도서 위키백과
  • 로테르 (서프랑크) Lothair of France, ロテール (西フランク王)
    동생 : 로렌의 샤를 왕후 : 이탈리아의 엠므(948년 ~ 988년?) 아들 : 루이 5세(Louis V, 967년~987년 5월 27일) 아들 : 외드(Eudes, 랭스의 주교, 970년~986년...3월 5일, 랭스 대주교) 서자 : 리샤르(Richard, 991년 사망) 외조부 : 하인리히 1세 외조모 : 마틸다 폰 링겔하임 (성녀 마틸다) 외삼촌 : 오토 1세 외삼촌...
    도서 위키백과
  • 알브레히트 2세 알키비아데스 Albert Alcibiades, Margrave of Br..
    1522년 3월 28일 - 1557년 1월 8일)는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 독일 신성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후작이었다. 별칭은 벨라토르(Bellator)이다. 5세에 아버지 카지미르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가 출정 중 이질로 사망하고 어머니인 바이에른의 수산나는 팔라틴 선제후 오토 하인리히와 재혼하여...
    도서 위키백과
  • 림뷔르흐 공국 (중세) Duchy of Limburg, 林堡公國
    그러나 하인리히의 아들 발레란 4세 (Waleran IV)는 딸 이름가르트 (Irmgard)만 남겨두고 1279년 세상을 떠났는데, 이름가르트는 겔데른 백작 레기날트 1세와 혼인에 성공하였으나 자녀를 남기지 못하고 1283년에 사망하였다. 영지의 상속을 놓고 림뷔르흐 상속 전쟁이 발발한 가운데 1288년 보링겐 전투에서 최종 승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14 1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