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적의 난 萬積의 亂
    일어난 망이 · 망소이의 난(亡伊 · 亡所伊)이나, 1182년(명종 12) 전주(全州)에서 일어난 관노(官奴)들의 봉기 등이 대표적이다. 1196년(명종 26)에는 최충헌(崔忠獻)의 집권에 반발해 상장군 길인(吉仁)이 군사를 일으켰을 때 노비들도 이에 참여한 사례가 있다. 경과 및 결과 1198년 5월에 사동(私僮) 만적(萬積...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사건/사회운동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최충수
    인물 정보한국 이름 최충수(崔忠粹, 1151년 ~ 1197년)는 고려시대 중기의 무신이다. 고려 상장군 최원호(崔元浩)의 둘째 아들이며, 무신 집정 최충헌의 친동생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196년 이의민의 아들 이지영과 비둘기 문제로 시비가 붙어 최충헌의 쿠테타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그 뒤 형 최충헌, 조카 박진재와...
    도서 위키백과
  • 수성택주
    수성택주 임씨(綏成宅主 任氏, ? ~ ?)는 고려 중기의 귀족으로 무신 정권의 지도자 최충헌의 재취부인이었으며, 고려 인종 왕비 공예왕후 임씨의 조카딸이며, 최충헌의 사위 임효명(任孝明)과는 사촌지간이다. 1196년 남편 손홍윤이 최충헌에게 살해된 뒤, 최충헌의 첩이 되었다가 후에 최충헌이 고려 강종의 서녀인...
    도서 위키백과
  • 흥왕사 興王寺
    2,800칸에 이르렀다. 이 절은 초대 주지 의천이 속장경을 간행했던 곳으로 유명하며, 1087년(선종 4) 속장경 간행과 연관이 있는 대장전을 건립했다. 그뒤 최충헌의 아들인 최우가 금 200근으로 13층탑과 화병을 조성하여 헌납했다. 몽골의 침입으로 완전히 소실된 것을 여러 번 중창했으며, 1330년(충숙왕 17)부터 정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만적의 난
    최충헌의 사노비 만적이 일으킨 노비해방운동 고려 중기 무신의 난 이후 권력을 차지하고 있던 최충헌의 노비 만적이 “왕후장상이 어찌 원래부터 씨가 있을까? 때가 오면 누구든지 가히 할 수 있는 것이다”라는 말과 함께 반란을 계획한 것으로, 사전에 발각되어 미수에 그쳤다.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노예 해방운동...
  • 무인란 武人亂
    걸친 정변은 문신 우위의 정치구조를 무너뜨리고 무인들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형태의 정치구조를 정착시켰다. 이러한 정치구조는 정중부·이의민·경대승·최충헌 등으로 이어지는 실력자의 잦은 교체에도 불구하고 약 100여 년 간 지속되었다. 특히 최충헌이 집권한 이후 우(瑀:怡)-항(沆)-의(竩)의 4대 동안의 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고려
  • 이규보 죽은 자에게 무엇이 돌아가겠느냐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가 유명하다. 어려서부터 신동 소리를 들었으나 과거에 여러 차례 떨어졌다.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 최충헌에게 등용되어 엇갈린 평가를 받기도 했다. 몽골 왕에게 고려에 대한 억압을 누그러뜨려 줄 것을 간구하는 진정표(陳情表)로 유명하다. 저서에는 아들이 간행한...
    출생 :
    1168년
    사망 :
    1241년
    국적 :
    한국
    대표작 :
    《동국이상국집》
  • 최우 광렬(匡烈), 崔瑀
    개설 본관은 우봉(牛峰). 뒤에 최이(崔怡)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최충헌(崔忠獻)이며, 어머니는 상장군 송청(宋淸)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다가 1219년(고종 6)에 최충헌이 죽자 그 뒤를 이어 교정별감(敎定別監)이 되었다. 이 때 자신이 축적해둔 금은(金銀), 진완(珍玩: 진귀한...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249년(고종 36)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무신집권자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 희종 (고려) Huijong of Goryeo, 熙宗 (高麗王)
    희종(熙宗),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 능호는 석릉(碩陵)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이다. 재위 기간 최충헌이 실권을 잡았으며,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치는 바람에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었다.《고려사》 권21, 세가 권제21, 희종(熙宗) 7년(1211년) 12월 25일 (계묘) ----최충헌이 왕을 폐위...
    도서 위키백과
  • 덕창궁주
    개성이다. 고종의 왕비 안혜태후의 친동생이다. 덕창궁주의 아버지 희종은 무신정권 시기에 즉위한 왕으로, 재위 중 당대의 권력자이던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도리어 최충헌에게 폐위되고 유배를 가게 되었다. 한편 덕창궁주의 어머니 성평왕후는 종실 영인후 왕진의 딸로, 어머니는 명종의 딸 연희궁주이다. 또...
    도서 위키백과
  • 의주적의 난 의주(義州)의 난, 義州賊의 亂
    저항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집권자 최우(崔瑀: 개명 최이(崔怡))는 지방관들을 귀양 보냄으로써 저항 세력을 무마하려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1219년 최충헌(崔忠獻)의 사망으로 인한 권력 유지의 불안감을 불식시키고 최우 자신의 권력 계승을 미화하려는 차원이었다. 그 역시 토지 탈점과 사적 지배 기구를 통하여...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사건/사회운동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노석숭
    盧碩崇, ?~?)은 고려 중기와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미상이다. 노석숭은 최씨정권의 지도자인 최충헌과 그의 동생 최충수의 친척이자 최충헌의 측근이기도 했다. 최충헌보다 나이가 많았다고 한다. 1196년에 최충헌, 최충수 형제가 당시 무신정권의 집권자였던 이의민을 제거했을 때 적극 가담하였으며 이의민의 아들인...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6건

최충헌 묘지명
최충헌 열전
최충헌의 묘비
무신 정권의 출현과 고려 사회의 혼란
《고려사》
이의민 vs 최충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