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마리아 상진, 金瑪利亞여성유학생계를 이끌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사회는 자유민권사상과 언론의 자유가 확대되던 시기였다. 이때 식민지 지배를 당하고 있는 약소민족...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일본 유학생들은 지금이야말로 독립운동을 일으킬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하였다. 곧 조선독립청년단을 조직하고 비밀리...
- 출생 :
- 1892년 6월 18일, 황해 장연
- 사망 :
- 1944년 3월 13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사건
- 본관 :
- 광산(光山)
- 주요활동 :
- 1917년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회장, 1919년 동경 2・8독립선언대회 참여, 1919년 9월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재조직 및 회장 취임, 1921년 중국 망명, 1922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황해도 대의원 선출, 1923년 7월 미국 유학, 1928년 뉴욕 근화회 회장, 1930~1931년 북미대한인유학생총회 이사부 회장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대한민국애국부인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근화회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설립, 영국이 거문도 점령 아펜젤러, 배재학당 설립 오사카 사건, 내각제도 발족 1886 메리 스크랜턴, 이화학당 설립 노르만톤호 사건 1887 보안조례로 자유민권운동 탄압 1889 함경도에 방곡령 일본제국 헌법 제정 1890 교육칙어 발표, 총선실시 1891 니콜라스 황태자 암살 미수 사건 1894 김옥균 상하이에서 암살...도서 위키백과
-
-
루쉰 노신, 魯迅중국자유운동대동맹에 발기인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또한 1930년에는 중국좌익작가연맹(약칭 좌련)에 가담하여 공산주의 정책을 지지했는데, 다음 해 좌련 작가...다시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1932년에는 국민당에 반대하는 중국민권보장동맹에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 한편으로는 집필 활동을 계속하여 전투적인 사회...
- 출생 :
- 1881년
- 사망 :
- 1936년
-
일본 제국의 언론탄압 Political dissidence in the Empire of..대한 엄격한 대응은 일본 제국 경찰의 언론탄압으로 계승되었다. 1875년 반포된 참방률(태정관 포고 제110호, 명예훼손 처벌 율법)를 이용해 1880년대 자유민권운동을 메이지 정부가 탄압한 시기. 독일 제국에서 비스마르크 내각이 사회주의를 탄압했던 시기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1869년: 위 첨자출판조례 제정. 1875년...도서 위키백과
-
오이 겐타로 (정치인) 大井憲太郎논쟁한다. 1875년(메이지 8년) 원로원 서기관이 되었다가 이듬해 면관된다. 관료생활을 그만두게 된 뒤 애국사 창립에 참여하고 그 뒤 변호사로 변신, 자유민권운동 급진파 지도자로 활동한다. 1877년(메이지 10년) 의형 오오이 보쿠신의 양자로 입적된다. 1881년(메이지 14년) 6월, 불교단체의 무고로 사체가 발굴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