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마리아 상진, 金瑪利亞
    여성유학생계를 이끌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사회는 자유민권사상과 언론의 자유가 확대되던 시기였다. 이때 식민지 지배를 당하고 있는 약소민족...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일본 유학생들은 지금이야말로 독립운동을 일으킬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하였다. 곧 조선독립청년단을 조직하고 비밀리...
    출생 :
    1892년 6월 18일, 황해 장연
    사망 :
    1944년 3월 13일
    관련 사건 :
    3・1운동,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사건
    본관 :
    광산(光山)
    주요활동 :
    1917년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회장, 1919년 동경 2・8독립선언대회 참여, 1919년 9월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재조직 및 회장 취임, 1921년 중국 망명, 1922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황해도 대의원 선출, 1923년 7월 미국 유학, 1928년 뉴욕 근화회 회장, 1930~1931년 북미대한인유학생총회 이사부 회장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 대한민국애국부인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근화회
  • 마쓰다 마사히사 松田正久
    장래 일본에서 자유주의적 사고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의기투합하였다. 스위스의 로잔에서 학업을 계속한 후에 귀국하여 육군성에서 나와 사가(佐賀)에서 자유민권운동에 참가하였다. 1879년에 나가사키현회의원, 현회의장으로 취임하였다. 자유당, 규슈개진당(九州改進党)에 입당하였고, 사이온지와 함께 《동양자유신문...
    도서 위키백과
  • 만민공동회 People's Joint Association, 萬民共同會
    들녘, 1996) 438페이지 고종에 대한 계속된 위협은 고종으로 하여금 독립협회나 만민공동회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한다. 그 무렵 만민공동회는 맹렬하게 자유민권 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종은 보부상과 군대의 힘을 빌려 이들을 진압하였다. 만민공동회는 독립협회와 함께 고종에게 의회 설립을 주장했고, 거듭...
    도서 위키백과
  • 오사카 회의 Osaka Conference of 1875, 大阪会議
    뒤따른 청년들을 통제하기 위해 설립된 사학교의 멤버들을 중심으로 가고시마현의 현정이 좌지우지되었으며, 이타가키는 고치현에서 애국공당을 창당하여 자유민권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이때, 태정대신 직무대리인 이와쿠라가 아카사카(赤坂)에서 불평사족 다케치 구마키치(武市熊吉)의 습격을 받는 사건이 일어나고...
    도서 위키백과
  • 다이쇼 데모크라시 Taishō Democracy, 大正デモクラシー
    세계대전 전후, 일본 근현대 민주주의 사회를 생성시킬수 있었던 유산으로서 일본 근현대사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있다. 신해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터키 혁명 시베리아 출병 고바야시 다키지 히라쓰카 라이초 이토 노에 보통선거 자유 민권 운동 한신칸 모더니즘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립, 영국이 거문도 점령 아펜젤러, 배재학당 설립 오사카 사건, 내각제도 발족 1886 메리 스크랜턴, 이화학당 설립 노르만톤호 사건 1887 보안조례로 자유민권운동 탄압 1889 함경도에 방곡령 일본제국 헌법 제정 1890 교육칙어 발표, 총선실시 1891 니콜라스 황태자 암살 미수 사건 1894 김옥균 상하이에서 암살...
    도서 위키백과
  • 나카에 조민 Nakae Chōmin, 中江兆民
    언론인, 정치인이다. 프랑스의 사상가 장자크 루소를 일본에 소개하고 자유민권운동의 이론적 지도자가 되었기 때문에 "동양의 루소"(東洋のルソー)라고 평가된다. 제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당선되어 중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조민"은 휘가 아니라 호로서 "억조의 백성"이라는 뜻이다. "슈스이"(秋水)라는 필명도...
    도서 위키백과
  • 트뤼도 Pierre Elliott Trudeau
    프랑스 간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캐나다에서 프랑스계 분리주의 운동을 무산시켰다. 또한 영국 의회로부터 캐나다를 독립시키고, 민권조례와 헌법개정권을 원칙적으로 첨가한 캐나다 신(新)헌법을 제정했다. 트뤼도는 우트르몽의 부유한 몬트리올 교외지역에 있는 스코틀랜드-프랑스계 프랑스 가문에서 성장했다. 엘리트...
    출생 :
    1919. 10. 18, 캐나다 몬트리올
    사망 :
    2000. 9. 28, 캐나다
    국적 :
    캐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강재언 姜在彦
    로헤이[內田良平]의 사상과 행동ㅡ대륙낭인의 '아세아주의'의 일전형으로서>·<조선실학에 있어서 북학사상ㅡ근대개화사상의 맹아>·<근대조선에 있어서 자유민권사상의 형성ㅡ1880년대를 중심으로>·<이조말기의 실력배양=자강운동ㅡ국권회복운동과 개화사상>·<조선인의 일본관ㅡ강호기 조선통신사의 일본기행을 중심...
    출생 :
    1926, 제주
    사망 :
    2017. 11. 19, 일본 오사카
    국적 :
    한국/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루쉰 노신, 魯迅
    중국자유운동대동맹에 발기인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또한 1930년에는 중국좌익작가연맹(약칭 좌련)에 가담하여 공산주의 정책을 지지했는데, 다음 해 좌련 작가...다시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1932년에는 국민당에 반대하는 중국민권보장동맹에 발기인으로 참여하면서 한편으로는 집필 활동을 계속하여 전투적인 사회...
    출생 :
    1881년
    사망 :
    1936년
  • 일본 제국의 언론탄압 Political dissidence in the Empire of..
    대한 엄격한 대응은 일본 제국 경찰의 언론탄압으로 계승되었다. 1875년 반포된 참방률(태정관 포고 제110호, 명예훼손 처벌 율법)를 이용해 1880년대 자유민권운동을 메이지 정부가 탄압한 시기. 독일 제국에서 비스마르크 내각이 사회주의를 탄압했던 시기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1869년: 위 첨자출판조례 제정. 1875년...
    도서 위키백과
  • 오이 겐타로 (정치인) 大井憲太郎
    논쟁한다. 1875년(메이지 8년) 원로원 서기관이 되었다가 이듬해 면관된다. 관료생활을 그만두게 된 뒤 애국사 창립에 참여하고 그 뒤 변호사로 변신, 자유민권운동 급진파 지도자로 활동한다. 1877년(메이지 10년) 의형 오오이 보쿠신의 양자로 입적된다. 1881년(메이지 14년) 6월, 불교단체의 무고로 사체가 발굴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