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기림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기수아들로 태어나서 별다른 고생 없이 자란다. 그러나 어머니와 손윗누이의 잇단 죽음으로 그는 계모 밑에서 우울한 소년기를 보낸다. 보성고보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중학을 거쳐 니혼대학 문학예술과를 나온 그는 1930년 귀국해 ‘조선일보사’의 사회부 기자로 들어간다. 곧 학예부로 옮긴 그는 『조선일보...
- 출생 :
- 1908년
- 사망 :
- 미상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이인직의 〈혈의 누〉 개화의 이념을 담은 신소설수 있다. 괄호 속에 최소한의 한자만을 남긴 채 거의 다 한글로 표기되고, 일본식 표기법이나 표현이 우리식으로 바뀐 것이다. 이런 배려는 신문 매체에서...따른 변화인 셈이다. 결과적으로 앞의 것보다는 뒤의 것이 우리 근대 문학의 규범에 훨씬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인직 스스로도 「혈의 누」 이후 1906년에서...
- 시기 :
- 1906년
-
신경향파문학 新傾向派文學신경향파문학(Tendenzdichtung, Tendenzliteratur)이라는 용어는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다. 그 대신 프로문학·카프문학·무산자문학·계급문학·빈궁문학·마르크시즘문학·사회주의문학·노동문학·이데올로기문학 등의 용어가 새로 등장하여 무분별하게 혼용되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22년 이후 ‘프로문예’라는...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2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백조〉의 경향 계몽주의 문학에 맞서다지상주의에 도취해 “베를레느 · 와일드 · 말라르메 · 보들레르의 시를 향락하고 있던” 박영희는 처음으로 김기진에 의해 전파된 프로 문학에 눈뜬다. 1923년 5월, 일본에서 돌아온 김기진과 두 달 동안 거의 날마다 붙어 있다시피 하며 문학과 사상과 조선의 현실에 대해 얘기를 나눈 박영희는 이윽고 예술...
- 시기 :
- 1922년
-
199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신세대 작가의 등장 새로운 글쓰기의 탄생때, 표절에 대한 윤리 판단은 어디서 얻어올 것인가?”라고 묻고 있다. 한 가지 특기할 만한 것은 장정일이 이인화의 소설에 대해서는 방법적 베끼기라는 새로운 문학 기법의 원용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관용적 태도를 취하면서도, 박일문의 소설에 대해서는 그의 문장과 세계관은 바로 자신과 일본 작가 무라카미...
- 시기 :
- 1996년
-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우진 사랑과 근대의 도덕률 사이에서시와 산문을 습작하는데, 열여섯 살 무렵에는 만일 “창작하자마자 발표했더라면 소설사에서 획기적인 위치를 차지했을”지도 모를 단편 소설 「공상(空想) 문학」을 쓰기도 한다. 열여덟 살 때에는 가업을 이어야 한다는 의무감 때문에 일본의 사립 농업 학교에 들어가지만 학과 공부보다는 문학과 철학 서적에 심취...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26년
-
195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국제펜클럽 한국본부1956년 런던 베드포드대학교에서 ‘저자와 독자’라는 주제로 열린 제28차 대회에는 이헌구 · 이하윤 · 백철 · 이무영이 참석한다. 1958년 일본 도쿄에서 ‘동서 문학의 상호 영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제29차 대회에는 정인섭 · 모윤숙 · 김광섭 · 이헌구 · 이하윤 · 전영택 · 정비석 · 양명문 · 송지영...
- 시기 :
- 1954년
-
-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농민 문학론 ‘문학’을 죄어오는 일제의 손길나오는 이데올로기의 ‘적극적’ 주입을 ‘기계적’인 것으로 왜곡한 것에 유감을 표시한다. 그는 아울러 백철의 이론이 독창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의 ‘농민문학연구회’에서 빌려온 것에 불과하다고 비난한다. 두 사람 외에 송완순은 「농민 예술 문제」에서 농민 계급을 좀더 잘게 나누어 분석하려고 시도하며, 유해...
- 시기 :
- 193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