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용상어 green surgeon수초에 산란한다. 우리 나라 동해 연안의 일부 지역에서 출현한다 국외에는 일본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사하린, 연해주, 알라스카 및 북부 캘리포니아 등지에 분포한다. 어육은 닭고기와 비슷하며, 알과 난소는 소금에 절여 러시아와 유럽 사람들이 즐겨 먹는 캐비아(caviar)를 만들고, 부레로는 어교(魚膠)를 만든다...
- 분류 :
- 철갑상어과(Acipenseridae)
- 크기 :
- 150 cm
- 학명 :
- Acipenser medirostris (AYRES, 1854)
- 국내분포 :
- 홍원, 웅기, 원산
- 분포지역 :
- 두만강
-
누벨칼레도니의 정치와 사회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된다. 지역위원회 위원장들과 함께 선출된 다른 대표들 몇몇이 의회 의장을 수반으로 하는 집행위원회를 구성한다. 누메아의 가스통부레 병원과 파스퇴르 연구소는 군대의료진을 갖춘 내륙 의료 센터들의 보조를 받아 개인병원과 의사의 수를 늘리고 있다. 누메아 교외에는 결핵·나병 진료소들이...
-
참다랭이노란빛을 띠고 있으며, 등지느러미 뒤쪽의 각 부기(副鰭)는 은백색이다. 가슴지느러미는 거의 흑색이고 배지느러미는 회색을 띠고 있다. 새파(鰓耙)수가 많고 부레는 삼각형으로 뒤쪽이 뾰족하다. 모든 바다의 아열대 수역을 중심으로 온대 및 열대 수역에 널리 분포해 있는 외양성 어류로서 거안(距岸) 1,600㎞ 수역을...
- 분류 :
- 다랑어과
- 성격 :
- 동물, 물고기
- 유형 :
- 동식물
- 학명 :
- Thunnus orientalis TEMMINCK et SCHLEGEL
- 분야 :
- 과학/동물
-
사백어 뱅아리, ice goby측선이 없다. 산란기 암컷은 복부가 부풀어 수컷보다 크고 여기에 흑색의 점들이 있다. 몸 표면에는 색소가 없으며 살아 있을 때는 반투명하여 몸 속에 있는 부레가 체벽을 통해 보인다. 표본을 고정하면 체색이 흰색으로 변한다. 해안선이 움푹 들어가 파도의 영향이 없는 깨끗한 연안이나 강 하구에서 봄까지 서식하며...
- 분류 :
- 망둑어과(Gobiidae)
- 크기 :
- 4-5 cm
- 학명 :
- Leucopsarion petersi HILGENDORF, 1880
- 국내분포 :
- 진해, 마산, 거제, 양산, 부산, 광양, 완도
-
보태지황탕 保胎地黃湯숙지황(熟地黃) 12g, 산약(山藥)·산수유(山茱萸) 각 8g, 택사(澤瀉)·목단피(牧丹皮)·백복령(白茯苓) 각 4g과 찹쌀[米糯] 한 홉을 합하여 달여 먹는다. 이 약에서 주요한 부분은 민어교이다. 민어교는 민어의 부레로서 아교(阿膠) 성분이 많아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지혈제로 널리 쓰인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얼레네모얼레·육모얼레·팔모얼레 등으로 나누며, 육모나 팔모얼레는 연날리기에 주로 쓰인다. 이들은 형태가 둥근 편이어서 연줄을 단단하게 하려고 민어 부레나 풀을 끓인 물에 유리가루를 타서 입힌 서슬이 손상을 덜 받기 때문이다. 연을 날릴 때에는 얼레에 감은 줄을 감고 풀거나 튀김을 주기도 하고, 좌우 또는...
- 시대 :
- 현대
- 성격 :
- 어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전나무
- 용도 :
- 어업, 연날리기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