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권일신 성오(省吾), 權日身
    더욱 열심히 천주교 포교에 전력하다가 1791년에 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나자 홍낙안(洪樂安) · 목만중(睦萬中) 등의 고발로 체포되었다. 당시 자질과 덕망을 높이 평가받던 터라 제주도로 유배되는 데 그쳤으나, 제주목사로 하여금 한 달에 세 번씩 신문하라는 하교를 첨가시켰다. 당시 유배지로 출발하기 위해...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용만유고 龍灣遺稿
    잘 표현하였다. 사(辭) 중에는 「광주교방가사(光州敎坊歌辭)」가 있으며, 전의 「동지하전(冬至賀箋)」은 춘추관(春秋館)의 편수관(編修官)으로 있을 때 동지를 맞아 임금의 나이인 성수(聖壽)를 축하하는 글이다. 표의 「정관찰사하표(呈觀察使賀表)」는 광주목사(光州牧使) 권율(權慄)의 덕망을 칭송한 글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김호식 金浩植
    강의와 연구로 평생을 보냈다. 발효화학·발효미생물학·발효공학 등을 강의하면서 학사에 엄격하기로 이름이 난 반면, 졸업 후 진로지도에도 열성적이어서 덕망높은 과학자로 알려졌다. 그는 한국미생물학회 회장, 한국농림수산학협회 초대회장, 학술원 회원 등을 지냈다. 또 동남아시아지역영양학회·국제과학연맹...
    시대 :
    현대
    출생 :
    1905년
    사망 :
    1968년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교육자.생물학자
    성별 :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좨주 祭酒
    하늘과 땅에 알리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회동이나 향연 때 그 가운데에서 존장자가 술을 땅에 부어 지신에게 감사의 제사를 지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나이 많고 덕망이 높은 사람의 관직이 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진(晋)나라 때부터 시작된 제도로, 함녕(咸寧, 275∼279) 때 오왕(吳王) 비(濞)가 유씨(劉氏)로 좨주...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명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복한 구암(久庵), 卜閒
    개설 본관은 면천(沔川). 호는 구암(久庵). 아버지는 복위룡(卜渭龍)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09년(태종 9) 왕명에 의해 유일(遺逸: 학식과 덕망이 높아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학자)로서 천거되어 사헌부감찰에 임명되었다. 1414년(태종 14)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이양우(李良佑)의...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사헌부감찰, 사헌부장령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면천(沔川: 지금의 지금의 충청남도 당진)
  • 매월당 부도 梅月堂 浮屠
    설흔법사는 적상산 안국사극락전(安國寺極樂殿) 후불탱화의 화기(畫記)에 ’證明梅月堂 雪欣保體(증명매월당설흔보체)‘라는 기록으로 보아 이 후불탱화가 그려진 1772년(영조48)에 전북 지역에서 덕망 있는 스님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무주 구천동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1784년 이전에 입적한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보거주 保擧主
    때 법제화되었다. 처음에는 문관 6품 이상, 무관 3품 이상만이 보거주가 될 수 있었으나 뒤에 문관은 모두 추천할 수 있었다. 이들은 매년 정월에 학식과 덕망이 뛰어난 자를 3인씩 추천하였다. 추천된 자는 사서와 오경 중에서 각 1경씩 희망에 따라 시험을 보게 하여 관직에 선임하게 하였다. 이 때 추천된 자가 무능...
    시대 :
    조선
    성격 :
    천거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태사사 태백산성사우(太白山城祠宇), 太師祠
    가상히 여겨 994년(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하고, 태조 묘정에 배향하였다. 그 중에서 신숭겸과 유금필은 황해도 평산 출신이어서 고을 사람들은 그들의 덕망을 추모하여 태백산(황해도 평산에 위치한 산)에 사당을 세우고 토속적으로 숭앙해왔다. 처음에는 이들을 성황신으로 추앙하여 그 사당의 명칭을 성황사라...
    시대 :
    조선
    성격 :
    사당
    유형 :
    유적
    소재지 :
    황해도 해주시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배상유 공근(公瑾), 裵尙瑜
    처사(崇禎處士)라 부르며 세상에 뜻을 두지 않고 바깥일을 사절한 채 학문탐구에 더욱 정진하였는데, 책을 읽을 때면 침식조차 잊었다. 1672년(현종 13) 재주와 덕망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77년(숙종 3) 사직참봉(社稷參奉)을 제수받고 잠시 나가 있다가 곧 사직하고...
    시대 :
    조선
    출생 :
    1610년(광해군 2)
    사망 :
    1686년(숙종 12)
    경력 :
    사직참봉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성산(星山: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
  • 이유겸 수익(受益), 李有謙
    하는 것에 대한 잘못을 직언하여 피죄(被罪)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뒤 광해군 때에 직언으로 피죄된 사실이 인정되어 6품직인 유일(遺逸: 높은 학식과 덕망으로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인물)로서 신령현감에 임명되었다. 신령현감 재임시 모략을 받자 백성들이 자진해서 포(布)를 상납하여 죄...
    시대 :
    조선
    출생 :
    1586년(선조 19)
    사망 :
    1663년(현종 4)
    경력 :
    신령현감, 공조좌랑, 함흥판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인조반정, 병자호란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 은덕군의 문화와 관광
    변방지대에 해당해 수많은 보와 봉수대·성곽 등은 있었으나, 문화유적은 거의 없다. 은덕읍 남쪽의 구십구곡에는 이성계의 선조가 이 호수 근처의 덕망산에 거주한 적이 있다고 전하며 이와 관련된 전설이 있는 적지가 있다. 두만강 연안에는 해당화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경관이 좋다. 하회리에는 만성위염·위궤양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담수회 淡水會
    반, 문화교실 7개 반을 운영하며 매주 1,000명의 회원이 수강과 학습을 하고 있다. 현황 제6대회장 허흡(許洽) 때부터는 모임의 활성화를 위하여 회원자격을 ‘덕망을 갖춘 50세 이상의 남자’로 완화하였다. 현재 주요사업으로는 ① 윤리도덕선양 ② 청소년 생활예절과 관계례 교육 , ③ 담수평생교육원 운영 ④ 전국...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