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타부 Shatuo, 沙陀族
    와해되었으나, 이후 주전충에 의해 당나라 자체가 멸망하기에 이른다. 당나라의 국성인 이씨를 쓰던 사타은 스스로를 당나라의 정통성을 잇는 자라 자처하며 이극용과 그 아들 이존욱 2대에 걸쳐 주전충의 후량에 맞섰고, 또한 북방의 신흥 세력이던 거란과는 제휴와 대립을 반복하면서 끝내 후량을 무너뜨리고 923...
    도서 위키백과
  • 야율초재 진경(晉卿), 耶律楚材
    이러한 때 야율초재는 칭기즈 칸에게 발탁되어 오고타이 황제에 이르기까지 재상으로서 몽골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 야율초재는 요(遼)나라를 세운 거란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의 후손이다. 그의 아버지 야율리(耶律履)는 요나라가 금나라에 멸망한 후 금나라 조정에서 상서우승상을 지냈으며 어머니 양씨는 학문을...
    출생 :
    1190년
    사망 :
    1244년
  • 현종 이융기, 玄宗
    측천무후가 뤄양에 거처하는 동안 황폐해졌던 대운하를 개수하여 가동시켰다. 사실 수도인 장안(長安)은 이 운하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티베트·돌궐·거란에 대한 원정도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721년까지 지속된 초기 재임기간에 현종은 측천무후 때 과거로 선발된 고관들의 파당, 황족, 궁중관리, 황후의...
    출생 :
    685, 중국 뤄양[洛陽]
    사망 :
    762
    국적 :
    중국, 당(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원과 고려의 관계
    고려는 1219년 몽골의 정복전쟁을 피해 고려 영토인 강동성에 들어온 금나라 유민인 거란을 몽골군과 협공하여 함락시켰다. 그러나 몽골은 거란을 토벌한 뒤 고려에 대해 해마다 막대한 공물을 요구했다. 그러던 중 1225년 몽골의 사신으로 고려에 왔다가 돌아가던 저고여가 국경지대에서 피살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천리장성 千里長城
    1033년(덕종 2) 고려는 동북 방면의 여진과 서북방면의 거란을 방비할 목적으로 장성을 축조했다. 평장사 유소가 축성을 지휘했는데, 축성범위는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지금의 의주지역 및 그 부근의 평안북도 맹산·운산·개천 등 13개 성을 거쳐 함경남도 영흥지역의 34개 성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신의주시의 문화와 관광
    고려 1033년(덕종 2) 거란·여진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천리장성이 압록강변의 신의주시 남동쪽 8㎞ 지점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이곳에서 위원·흥화·금강산을 지나 동해안에 이르렀다고 하나 지금은 그 성터만 남아 있다. 이성계의 회군으로 유명한 위화도가 있다. 1911년에 완공된 압록강철교는 6·2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서경이냐 개경이냐, 묘청 vs 김부식
    여기에 대외적으로는 금나라가 고려 심기를 뒤숭숭하게 만들고 있었어요. 북쪽 지대인 만주에서 부족 단위로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던 여진이 한데 뭉쳐 금나라를 세우더니, 거란 국가인 요나라를 멸한 뒤에 중국 본토에서 번영을 누리고 있던 송나라를 위협하는 한편,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청해 왔어요. 집권자...
  • 조영수의 모반 趙永綏─謀叛
    내용 이 무렵 국내외의 정세는 대단히 혼란하였는데, 거란이 대요수국(大遼收國)을, 또 여진의 한 갈래가 동하(東夏 : 東眞國)를 세우고 자주 고려를 침입하였으며 여기에 몽고가 끼어들었다. 1226년 조영수는 서경에서 석준(石俊)·김대지(金大志)·김광영(金光永) 등과 모의하여 4도령(都領)과 낭장 황승룡(黃勝龍...
    시대 :
    고려
    발생 :
    1226년(고종 13)
    성격 :
    반란
    유형 :
    사건
    종결 :
    1226년(고종 13)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관련 인물/단체 :
    조영수(趙永綏), 석준(石俊), 김대지(金大志), 김광영(金光永)
    관련 장소 :
    개경(開京)
  • 카타이 Cathay
    거란은 10세기에 몽골 동남부에서 이동하여 만주의 일부와 중국 북부를 점령한 후 약 200년간 이 지역을 지배한 반유목민족이다. 칭기즈 칸(?~1227) 시대의 몽골들은 북중국을 키타이, 남중국을 만자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도 러시아어로는 중국을 여전히 키타이(Kitai)라고 부른다. 1246, 1254년에 옛 몽골의 수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성천강 城川江
    꼽을 수 있다. 함흥은 성천강 동쪽 반룡산(盤龍山)을 북에 등지고 있으며 서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끼고 있다. 본래 이 지역은 고려 시대 이후로 여진이나 거란들이 발호하던 지역으로 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평정된 이후에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함흥은 주변 평야에서 생산되는 산물 집산지였으며...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유역 면적 2,338㎢, 길이 98.5㎞
    소재지 :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 함경남도 북청군 안수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변경취락 邊境聚落
    고려 때에는 정주 중심의 청천강 유역의 서계(西界), 영흥, 안변 중심의 동한만 일대의 동계(東界) 등 이른바 양계가 북쪽 변경이 되었다. 이곳은 여진과 거란과의 접경지대로 항상 세력 충돌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서계의 정주·운산·희천과 동계의 안변·고원·영흥 등지에는 외적 방어를 위한 요새지를 구축...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광개토대왕과 고구려의 도약
    과거 고구려에게 씻을 수 없는 치욕을 안긴 백제와 후연이 주공격 대상이었다. 광개토대왕은 먼저 백제를 공격하여 임진강 일대를 점령하고 북서쪽의 거란을 굴복시켜 많은 가축을 빼앗았다. 그 뒤 다시 백제를 공격해 수도를 포위하고 백제왕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 전쟁으로 고구려는 한강 이북의 땅을 모두 점령할...
    시대 :
    391년~412년

출처1건

멀티미디어7건

거란족의 변발 모습
장막을 치고 잔치를 벌이는 거란족의 모습
서기 700년 무렵, 거란족의 영토를 표기한 지도
매사냥에 나선 거란의 귀족을 묘사한 그림
1025년, 요나라의 위세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영토
요나라 태조 황제 야율아보기
중앙아시아에 들어선 서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