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사당 政事堂, Jeongsadang
    국왕을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화가 추진되자 정사당이 지닌 회의체적 기능은 점차 쇠퇴하여 정무를 논의하는 건물로서의 의미만 남게 되었다. 9세기 초 헌덕왕 때에 이르러 왕의 동생인 각간(角干) 김충공(金忠恭)이 최고 실력자가 되어 정사당에 자리하여 내·외관(內外官)의 인사문제를 처리하였다는 기록은 그를 방증...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정청, 회의체
    유형 :
    제도
    시행일 :
    138년
    시행처 :
    신라 정부
    분야 :
    역사/고대사
  • 대서성 大書省
    것인데, 명칭으로 보아 왕실의 측근 혹은 고문격의 승관으로 추측된다. 지위는 국통(國統)과 도유나(都維那)의 밑에 있는데, 550년에 안장(安藏)이 최초로 임명된 이래 669년(문무왕 9) 신혜(信惠), 674년(문무왕 14) 의안(義安)이 대서성에 임명되었으며, 817년(헌덕왕 9)진노(眞怒)가 대서성의 직에 있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550년(진흥왕 11)
    분야 :
    역사/고대사
  • 김운경 金雲卿
    신라의 숙위학생으로는 처음으로 821년(헌덕왕 13)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 우감문위수부병조참군·연주도독부사마를 지냈다. 현재 전하는 그의 글은 〈전당시 全唐詩〉에 실려 있는 시 1편이 있을 뿐인데, 가을 바람에 퉁소 부는 소리를 듣는다는 처량하고 서글픈 사연을 담고 있다. 841년(문성왕 3) 사신이 되어 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통일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김언경 金彦卿
    함.)를 지내고 병부시랑·전중대감(殿中大監)을 역임했으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역임한 관직으로 보아 육두품 신분으로 여겨진다. 그는 821년(헌덕왕 13) 신라인으로는 처음으로 당나라의 빈공과(賓貢科)에 합격한 김운경(金雲卿)과 동일인이라는 견해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김언경과 김운경은 양자의...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정련 正連
    내용 당시 관등은 아찬(阿飡)이었고, 관직은 완산주주조(完山州州助)였다. 822년(헌덕왕 14) 3월 웅천주도독(熊川州都督)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도모하면서 여러 주군들의 관리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으로 협박도 하였다. 완산주에서는 이를 거절하는 한편으로, 3월 18일 몰래 완산주의 장사(長史) 최웅(崔雄)과...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아찬(阿飡), 완산주주조(完山州州助)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지방관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창녕 인양사 조성비 昌寧 仁陽寺 造成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810년(헌덕왕 2) 건립. 높이 1.58m, 너비 48㎝, 두께 18㎝. 비문의 내용은 많이 마멸되었으나 인양사(仁陽寺)라는 절에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어,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仁陽寺造成碑)라고도 하며, 771년 (혜공왕 7)부터 40여년간의 기록을 한 것이다. 9세기 초의 비로는 비교적 보존...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안락 安樂
    내용 822년(헌덕왕 14) 3월 웅천주(熊川州 : 지금의 공주) 도독인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화랑인 명기(明基)와 함께 진압군으로서 종군하기를 자청하였으며, 명기는 황산(黃山)에서, 그는 시미지진(施彌知鎭)에서 싸웠다. 그런데 이 반란은 무열왕계를 이은 김주원(金周元)의 직계손과 내물왕계를 이은...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헌창의 난
    직업 :
    화랑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백률사(경주)
    북쪽 소금강산 중턱에 자리한 백률사는 신라 법흥왕 14년(527)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기리기 위한 절이자, 신라의 불교 성지이다. <삼국유사>와 헌덕왕 때 작성된 <향전>에 따르면 이차돈은 법흥왕의 명을 받들어 불교를 공인하고 사찰을 짓기 위해 순교했는데, 참수형을 받고 이차돈의 목을 베니 흰색 피가...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4214-110
  • 불암사(남양주)
    불암사는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후기 헌덕왕 16년(824) 지증대사가 창건하였고, 도선이 중창하였으며, 무학이 삼창하였다. 불암사는 보물로 지정된 ‘석씨원류 목판’으로 유명하다. 석씨원류 목판이란 석가의 일대기나 전법제자들의 행적을 목판에 새긴 것...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 평의전 平議殿
    주요한 정사를 토의하던 궁중 안의 전각(殿閣)이다. 평의란 의론을 공평히 한다는 뜻으로 혹은 평의(評議)라고도 하였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811년(헌덕왕 3) 4월에 국왕이 평의전에서 정사를 들었다고 하며, 847년(문성왕 9) 2월에는 평의전을 중수하였다고 한다. 평의는 화백(和白)의 뜻과 비슷하여 신라 초기의...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경주 흥덕왕릉 慶州 興德王陵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6만 1,983㎡. 무덤의 지름은 20.8m, 높이는 6m이다. 흥덕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수종(秀宗)이라 하였다.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며, 왕비는 장화부인(章和夫人)이다. 826년에 왕이 되어 836년에 승하할 때까지 10년간 재위하였다. 승하 뒤 먼저 죽은 장화부인의 무덤에 합장...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경주 나원사 慶州 羅原寺
    역사적 변천 9세기 초인 809년(헌덕왕 원년)에 승려 대각(大覺)에 의해 창건되어 국운 창달을 기원했다고 전해진다.그러나 현존하는 오층석탑이 만들어진 시기가 7세기 말부터 8세기로 추정되고 있어 나원사(羅原寺)의 개창도 좀 더 앞당겨볼 수 있다. 사찰과 관련한 자세한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내용 경상북도 경주시...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경주 신라 헌덕왕릉 좌측면
경주 신라 헌덕왕릉
헌덕왕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