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8 · 15 광복 마침내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나다
    건국동맹을 기반으로 중도 우파인 안재홍(安在鴻) 세력을 끌어들여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이하 건준)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건국 작업에 착수했다. 건준은 8월 25일 다음과 같은 건국강령을 발표했다. 一. 우리는 완전한 독립 국가의 건설을 기함. 二. 우리는 전 민족의 정치적, 사회적 기본 요구를 실천할 수 있는...
    시대 :
    1945년
  • 김붕준 金起元, 金朋濬
    해방동맹 ・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등 4개 단체가 연합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임시정부는 실질적인 ‘통일전선정부’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45년 2월에는 홍진 ・ 유동열과 함께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창당하였다. 일본의 패망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므로 국가 건설을 준비하기 위해 할 일이 쌓여 있는 정황...
    출생 :
    1888년 8월 22일, 평남 용강(龍岡)
    사망 :
    미상
    본관 :
    의성(義城)
    주요활동 :
    1908년 이후 신민회와 청년학우회에서 구국운동 전개, 1919년 3・1운동 참여 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에서 활동, 1921년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가입, 1930년 이후 한국독립당 등에서 활동, 1940년대 임시정부의 통일전선운동에 참여
    포상훈격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청년학우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신진당
  • 전국연합진선협회 全國聯合陣線協會
    전위동맹(朝鮮靑年前衛同盟)을 결집해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을 조직하였다. 결국, 민족통일전선운동은 김구와 김원봉을 중심으로 하는 양대 진영...그러나 중일전쟁이 절정에 이르면서 고조된 항일독립운동전선의 통일 요구와 중국 국민정부의 권유로, 1939년 5월 김구와 김원봉은 「동지동포제군에게...
    시대 :
    근대
    설립 :
    1939년 9월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북조선노동당 북로당, 北朝鮮勞動黨
    29일에는 중국 연안으로부터 돌아온 조선독립동맹 계열이 중심이 된 조선신민당과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으로 발족되었다. 또한 북조선노동당은 1948년 8월 정권수립을 위하여 남조선노동당과 연합중앙위를 구성하고, 이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범후 1949년 6월 30일에 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되었다. 기능과 역할...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청나라 시대, 청나라 격동의 시대
    외에 민주적인 공화정부를 수립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흥중회의 회원은 화교 상인, 노동자, 지식인, 어부 등 각계 인사가 망라되었다. 쑨원은 같은 달 광주에서 무장봉기를 일으킬 계획을 세우고 육호동 등과 함께 광주에서 흥중회 분회를 설립하였다. 준비는 순조롭게 진행되어 10월 22일을 기해 봉기하기로 결정...
  • 마쉬룬 馬敍倫, Ma Hsulun
    1945년에는 쉬광핑[許廣平] 등과 민주촉진회를 창설했다. 1949년 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 정무원 고등교육부장을 지냈고, 1953년 이후에는 민주촉진회 주석과 민주동맹 부주석을 역임했다. 또한 1955년 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 위원, 1965년 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에 선임되었다. 저서로는 〈독양한서기...
    출생 :
    1885, 저장 성[浙江省]
    사망 :
    1970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원봉 약산, 金元鳳
    1919년 아나키즘 계열 무장 독립 투쟁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했고, 중국 최초의 근대식 군사학교인 황푸 군관학교를 거쳐 1942년 조선의용대를 조직했다...민족주의민주전선 공동의장, 인민공화당 위원장, 좌익 청년단체인 조선민주청년동맹(조선민청)의 명예회장을 역임했다. 1948년 김규식 ・ 김구 등과 함께...
    출생 :
    1898년
    사망 :
    1958년
  • 송병조 신암, 宋秉祚
    열고 민주, 공산 양진영의 민족협동전선론을 주장하였다. 민족유일당운동이 고조되는 가운데 1927년 3월 결성된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의 집행위원에 선출...연합회로 결실을 보았다. 1927년 4월 장제스(蔣介石)의 반공쿠데타 이후 중국 관내의 정세가 급속히 변화하고 또한 그해 12월 코민테른이 일국일당주의(一國...
    출생 :
    1877년 12월 25일, 평북 용천(龍川)
    사망 :
    1942년 2월 25일
    본관 :
    은진(恩津)
    주요활동 :
    1919년 대한국민총회 평의원, 1919년 10월 임시정부 재무부 참사, 1923년 국민대표회의 참여, 1924년 흥사단 입단, 1926년 8월 임시의정원 의장, 1927년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 집행위원,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 1932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참여, 1933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1934년 4월~1939년 10월 임시의정원 의장, 1935년 한국 국민당 창당, 1940년 충칭 한국독립당 창당, 1941년 10월 임시의정원 의장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국민총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중호조사, 흥사단, 대한적십자, 대한교민단,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 유림 월파, 柳林
    해방동맹이 임시정부에 동참하고 있었다. 좌우합작으로 통합 정부를 달성한 상태였고, 조선의용대도 앞서 한국광복군에 합류하여 좌우 합작을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임시정부 참여는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던 것이다. 임시정부에 합류한 이유에 대해 “독립을 달성하고 이 나라에 아름다운 낙원을 창조하려면, 우선 민족...
    출생 :
    1894년 5월 23일, 경북 안동(安東)
    사망 :
    1961년 4월 1일
    업적 :
    1920년 신한청년당 가입, 1929년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 조직, 1931년 의성숙 설립, 1942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1943년 임시정부 외교위원회 연구위원, 임시정부 선전위원회 선전위원, 1944~1945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본관 :
    전주(全州)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2년
    관련 인물/단체 :
    신한청년당, 조선공산무정부주의연맹, 대한민국임시정부
  • 타오싱즈 Tao Xingzhi, 陶行知
    혁신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1932년: 상해에 산해공학단을 창설했다. 1936년: 국민외교 사절로 임명되었다. 1939년: 육재학교를 창설하였다. 1945년: 중국민주동맹(中国民主同盟) 중앙상무위(中央常委) 겸 교육위원회(教育委员会) 주임위원 겸 교육위원회(教育委员会) 주임위원에 당선되었다. 1946년: 상해로 돌아와...
    도서 위키백과
  • 딩스쑨 Ding Shisun, 丁石孫
    정치인이다. 1944년-1947년: 다퉁 대학 전기학 1948년-1950년: 칭화 대학 수학과 1950년-1952년: 칭화 대학 수학과 조교 1952년 북경 대학 조교, 부교수, 교수 1984년-1989년 북경 대학 교장 1992년 중국민주동맹 부주석 1996년-2005년 중국민주동맹 주석 1998년-2008년 전인대 부위원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프랑스 공산당 PCF, Parti Communiste Français
    공산당은 민주사회좌파 연합을 구성하기 위해 다른 좌익 집단을 지원했다. 이 동맹은 1965년 선거에서 드골의 절대 다수 득표를 불가능하게 했다. 1969년 6월의 대통령 선거에서 공산당 소속 후보는 제3위의 득표율을 보였는데, 전체투표율의 21%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에 들어와 좌익 동맹 내부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