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미여우 South American fox
    지내며 식성은 잡식으로 들쥐와 같은 작은 동물과 꿩 등의 새, 과일이나 그 밖의 식물, 곤충을 먹고 산다. 야행성이며, 버려진 굴 또는 바위나 나무 사이의 굴에서 지낸다. 3~6마리의 새끼를 암컷과 수컷이 돌본다. 때때로 가축을 습격하기도 하지만, 설치류나 조류 집단의 수를 조절하는 데 유용하며, 모피도 훌륭하다...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개과 > 콜페오여우속
    원산지 :
    남아메리카 (칠레,아르헨티나)
    먹이 :
    들쥐, 꿩
    크기 :
    약 50cm ~ 1m
    무게 :
    약 2.5kg ~ 4kg
    학명 :
    Lycalopex griseu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60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솔개 소리개, black kite
    보면 날개깃보다 날개덮깃이 연한 색깔이며 아래에서 보면 첫째날개깃 기부에 흰 반점이 있다. 흔한 나그네새이자 겨울새이고 일부 무리가 남한지역에서도 번식했었지만 지금은 보기 어렵고 주로 북한지역에서 번식하다. 11월 초순부터 남하해 4월 초순까지 머문다. 해안과 대륙의 도시 등을 비롯해 도처에서 눈에 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수리목 > 수리과 > 솔개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먹이 :
    딱정벌레, 쥐, 개구리
    크기 :
    약 58cm ~ 95cm
    무게 :
    약 567g ~ 941g
    학명 :
    Milvus migran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26~38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파랑새 broad-billed roller
    중형의 조류. 학명은 ‘Eurystomus orientalis’ 이다. 고대 동양에서 파랑새(靑鳥)는 영조(靈鳥)이자 길조를 상징해왔고, 서양에서도 행복을 부르는 새로 인식되어왔다. 한국의 소설이나 노래 속에 등장하는 파랑새는 기쁨과 희망을 상징한다. 형태 몸길이는 28cm 정도이며, 몸은 선명한 청록색, 머리와 부리는 검정색...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파랑새목 > 파랑새과
    원산지 :
    아시아, 오세아니아
    서식지 :
    공원, 농경지, 숲
    먹이 :
    나비, 딱정벌레, 매미
    크기 :
    약 28cm ~ 30cm
    학명 :
    Eurystomus orientali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2~23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제비갈매기류 제비갈매기류 제비갈매기, tern
    부리는 끝이 뾰족하다. 가끔 곤충을 먹지만 주로 공중에서 물로 다이빙하여 갑각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군집성 조류이며 집단을 이루어 대개 섬에서 번식한다. 때때로 수백만 개체가 집단으로 번식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종은 알을 2~3개 낳지만 일부 종은 1개만 낳는다. 일부 지역에서는 제비갈매기류의 알을...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갈매기과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호숫가, 늪지 주변
    먹이 :
    파리, 딱정벌레, 잠자리, 새우
    크기 :
    약 35cm
    무게 :
    약 90g ~ 150g
    학명 :
    Sterna hirundo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20∼22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쇠가마우지 새똥으로 돈을 만들어 내는 암벽에 사는 귀한 새, Pelagic Cormorant
    쇠가마우지는 도서지역의 해안가 절벽 바닷가에 집단으로 번식하며, 번식지 및 인근 바위섬에 배설을 한다. 쇠가마우지 배설물 때문에 섬 전체가 하얗게 변한다...잊혀진 자원이 되었지만 요즘 유기농업이 각광을 받으면서 천연비료인 구아노가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구아노는 조류의 배설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
    분류 :
    사다새목>가마우지과
    서식지 :
    해안, 바위섬
    먹이 :
    동물성인 어류, 갑각류
    크기 :
    약 73m
    학명 :
    Phalacrocorax pelagicus
  • 도래하거나 통과하는 철새는 시베리아 · 중국 동부와 동북지방 등지에서 번식하고 일본 남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기까지 장거리를 이동하여 월동하는 철새의 무리가 그 대부분이다. 특히, 4, 5월과 9∼11월에는 100종 이상의 철새집단이 우리 나라를 통과하여 이 기간에는 많은 철새를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동물
  • 검은머리갈매기 소리로 둥지 침입자를 방어하는 새, Saunders' Gull
    갈색이다. • 붉은부리갈매기와 유사하지만 부리색이 검고, 날개 끝의 흰 반점으로 구별된다. 음성신호를 이용한 검은머리갈매기의 둥지방어 행동 집단으로 번식하는 조류에게 소리(음성)는 개체를 구별하는데 시각보다 우선하며, 정보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번식기 둥지방어를 위한 검은머리갈매기의 음성...
    분류 :
    도요목>갈매기과
    서식지 :
    갯벌, 하구
    먹이 :
    소형 어류, 갯지렁이, 갑각류 등
    크기 :
    약 32~34cm
    학명 :
    Larus saundersi
  • 육산도
    무척추동물이 출현, 자포동물 1종, 연체동물 5종, 절지동물 3종 출현. - 총 1종으로 녹조류 1종, 갈조류 종, 홍조류 종 출현, 납작파래 우점.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 지역은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등의 집단번식지로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제 389호인 칠산도 중 6산도로 번식하는...
    면적 :
    41,355m 2
    좌표 :
    35° 19′ 22.7″ N, 126° 16′ 42.1″ E
    지번 :
    낙월면 송이리 산466
    소유현황 :
    국유지(산림청)
    육지와의 거리 :
    계마항으로부터 13.94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 甕津 信島 노랑부리白鷺와 괭이갈매기 繁殖地
    백로는 집단으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에 의해 방해도 받지만 보호도 받았다. 천적이 나타나면 괭이갈매기가 집단으로 방어하여 자동적으로 보호되지만 한편...철새들이 중간기착지로 이용된다. 2015년 조사에서 신도에 확인된 조류는 황조롱이, 새호리기, 붉은배새매, 파랑새, 때까치, 노랑눈썹솔새, 방울새 등이다. 이...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사다새류 pelican
    현존하는 조류 중 가장 큰 무리에 속한다. 생김새는 암수가 서로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컷이 더 크다. 신체적 특징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크고 신축성...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DDT 사용이 금지된 이후 번식이 다시금 향상되기 시작했다. 번식할 때에는 보통 나뭇가지로 지은 둥지에 1~4개의 푸르스름한 흰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알바트로스류 로열알바트로스, albatross
    다른 해양조류처럼 해수를 마시며, 보통 오징어를 먹고 살지만 배에서 버린 잡어를 먹기도 한다. 알바트로스류는 번식기에만 해안가에 온다. 번식을 하기 위하여 집단으로 모이며, 보통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양의 섬에서 무리를 지어 혹은 쌍을 이루어 날개뻗기(wing-stretching)·부리부딪히기(bill-fencing)와 함께...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슴새목 > 알바트로스과
    원산지 :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먹이 :
    오징어
    크기 :
    약 3.15m
    무게 :
    약 7kg
    학명 :
    Diomedea epomophora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62일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큰소쩍새
    곤충 및 기타 동물(지렁이와 그 밖의 무척추동물)들이 오염되기 때문에 그들 조류의 번식력은 저하되고 있으며, 또한 서식지의 파괴, 인간에 의한 남획 등으로...㎝ 정도이다. 일부의 무리는 텃새로 연중 볼 수 있으나 겨울에는 북녘에서 번식집단이 남하, 이동해 온다. 따라서 겨울에는 소쩍새보다 오히려 흔한 편...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