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현록 景賢錄에서 간행하였다. 편찬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에 이정(李楨)이 김굉필과 조위(曺偉)의 사적을 엮어 『경현록』 1책을 만들었는데, 뒤에 김굉필의 외증손인 정구(鄭逑)가 조위의 사적을 빼고 김굉필의 사적만을 취하여 2책으로 엮었다. 그 뒤 김하석이 증보, 편집하여 3책으로 만든 것이 이 책이다. 제1책의 첫머리에 이황...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하석(金夏錫)
- 창작/발표시기 :
- 1719년(숙종 45)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도동서원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김수인 군신(君愼), 金守訒廣州). 자는 군신(君愼), 호는 구봉(九峯). 아버지는 참봉(參奉) 김태을(金太乙)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참봉 김휘(金輝)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작은아버지 김태허(金太虛)가 울산군수로 화왕산(火旺山)을 지키고 있을 때 옆에서 계책을 세워 많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3년(명종 18)
- 사망 :
- 1626년(인조 4)
- 경력 :
- 장의(掌議)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구봉문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광주(廣州)
-
송산사지 松山祠址22) 경향의 사림들이 세웠는데, 1868년(고종 5)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그 뒤 1964년 유림에서 150평 되는 옛터 노천에 조윤(趙胤)·정구(鄭矩)·원선(元宣)·이중인(李中仁)·김주(金澍)·김양남(金揚南)의 위패를 오석으로 만들어 모셨다. 위패의 높이는 85㎝, 너비 29㎝, 두께 10㎝이며, 위패...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송사이 경숙(敬淑), 宋師頤성주에 거주하였으며,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합격하여, 과거를 준비하다가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이 후 정구(鄭逑)·김우옹(金宇顒)·최영경(崔永慶)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을 닦았다. 평소 몸가짐이 견고하고 온화하면서 강건한 태도를 지녀 조식(曺植)이 송사이의 집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20년(중종 15)
- 사망 :
- 1592년(선조 25)
- 경력 :
- 경기전참봉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야로(冶爐)
-
영남학파 嶺南學派조식의 학식과 덕행을 존숭하고 추종하는 학파가 새로이 형성되었다. 이를 남명학파라 하였다. 이 학파의 저명한 인물로는 오건(吳健)·김우옹(金宇顒)·정구(鄭逑)·최영경(崔永慶)·김효원(金孝元)·곽재우(郭再祐)·정인홍(鄭仁弘)·정탁(鄭琢)·하항(河沆)·하진(河溍) 등을 들 수 있다. 이 학파의 특징은 반궁체험...
- 시대 :
- 조선
- 성격 :
- 학문유파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학암문집 鶴巖文集권1에 시 3수, 제문 8편, 권2에 부록으로 만장·제문·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차한강선생재등학암정유감(次寒岡先生再登鶴巖亭有感)」은 스승 정구(鄭逑)의 충의를 예찬한 것으로, 임진왜란이 끝난 뒤 나라를 위하여 죽지 못하였음을 몹시 안타까워하는 심회를 표현하였다. 제문 중 「제김송암면문(祭金松庵...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정번
- 창작/발표시기 :
- 187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유중엄 경문(景文), 柳仲淹지취(志趣)와 견식을 크게 칭찬하고 후일 큰 학자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후 성주목사로 부임한 황준량은 유중엄을 특별히 초청하여 오건(吳健)·정구(鄭逑)와 함께 주자서(朱子書)를 강론하기도 하였다. 정구는 유중엄을 일생의 외우(畏友)로 대우하였으며, 안동부사로 부임해서는 산소를 성묘하고 제문을 지어...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8년(중종 33)
- 사망 :
- 1571년(선조 4)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파산유고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풍산(豊山)
-
정극후 효익(孝翼), 鄭克後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장현광(張顯光)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는데, 장현광은 그의 비범함에 감탄, 붕우의 예로 대하였다. 또, 그는 정구(鄭逑)의 문인이기도 하다. 정구는 그의 행동거지가 범상하지 않음을 보고 월성에 인물이 났다고 하였다. 1634년(인조 12) 거의 60의 나이에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77년(선조 10)
- 사망 :
- 1658년(효종 9)
- 경력 :
- 왕자사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문묘사향지, 역년통고, 서악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영일(迎日)
-
불일헌일고 拂日軒逸稿가 지은 것이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시 11수, 제문 4편, 부록에 만사 7수, 행록·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스승 정구(鄭逑)가 봉산(蓬山)으로 떠나려고 할 때 여러 친우들과 화답한 것인데, 자연 묘사가 매우 사실적이며 인생을 관조한 기품이 거듭 음미할만하다. 만사와...
- 시대 :
- 조선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월촌고 月村稿元堂舟中次新安使君金丈韻示同舟諸公)」은 친지들과 뱃놀이하면서 감회를 읊은 것으로, 세월이 덧없이 흐름을 서글퍼하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서에는 스승 정구(鄭逑)로부터 받은 편지 2편이 있다. 정구의 편지는 공부하는 차서(次序)를 말한 것과, 저자의 아버지 극홍(克弘)이 앓고 있는 병에 대한 처방을 알려주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노세후
- 창작/발표시기 :
- 1892년(고종 29)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노응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쌍벽당시집 雙碧堂詩集은 인생의 회한을 표현한 것이다. 기의 「강문일기(講問日記)」는 1601년(선조 34)부터 스승 손처눌(孫處訥)을 따라 각처의 강회를 돌면서 질의한 내용과 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 등을 만나 강문한 내용을 일기체로 적은 것이다. 녹의 「사우록(師友錄)」은 스승과 제자들의 명단을 적어놓은 것으로 정구·장현광...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원생
- 창작/발표시기 :
- 191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1책
- 간행/발행 :
- 이승화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
-
이요당유집 二樂堂遺集시를 모두 수록한 것이다. 그 밖에도 교훈성이 짙은 「자경시제자팔절(自警示諸子八絶)」과 현실에 비분강개하여 지은 「문성하맹이절(聞城下盟二絶)」, 스승 정구와 이천봉(李天封)·이윤우(李潤雨) 등을 대상으로 한 만시가 주종을 이룬다. 부록에는 정구와 장인 장봉한(張鳳翰)·장이유(張以兪) 등이 보낸 편지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중형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이규형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