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물 인터넷 IoT, 事物-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겨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지능 통신을 할 수 있는 사물 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
-
형설출판사 螢雪出版社, Hyungseul Publishing독자층의 변화에 발맞춰, ‘도서출판 형설’, ‘형설 라이프’, ‘홍진P&M’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해 출판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특히, 2008년에 유비쿼터스 교육 전문기업인 유비키즈에듀케이션(대표 김명규)과 공동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꿈꾸는 영어나라 홍진 EZI(English Zone Institute)』이라는 브랜드로 유아...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7-33(편집부),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상가 303-1(본사)
- 설립 :
- 1965년 5월
- 성격 :
- 출판사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장지익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컴퓨터프로그래밍과학과개요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교육을 통하여 21세기를 선도할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스템 프로그래밍 그리고 게임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며, 특히, 현장 중심의 실무교육을 실시하여 IT분야 멀티플레이어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컴퓨터프로그래밍과는 차세대 PC...
- 분류 :
- 대학교 > 공학계열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韓國建設技術硏究院도로교통량 조사 등 건설교통 분야의 다양한 기초분야 연구, 국가 수자원 분석·계획·개발·관리·정보화(GIS/RS) 정책 및 제도 개선, 건설 분야에 첨단 유비쿼터스ICTs(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와 위치정보 기반기술(GIS, RS, GPS, LBS 등) 적용, 건설정보 통합전산망 구축·운영을 위한 시스템...
- 설립 :
- 1983년 06월
- 소재지 :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
- 사이트 :
- https://www.kict.re.kr
-
국립경국대학교 國立慶國大學校과학연구소, 농업과학기술연구소, 환경연구소, 공업기술연구소, 해양바이오산업연구소, 비점오염연구센터, 청정에너지소재기술연구센터, 신뢰성 교육연구센터,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연구센터, 공공디자인센터, 의료바이오소재연구센터 등이 있다. 지원시설로는 생활관, 정보통신원, 어학원, 공동실험실습관, 고시원...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위치 :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U-city 프로젝트[개설] U-city 프로젝트는 부산광역시가 추진하는 핵심 프로젝트의 하나이며 ‘U’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에서 따온 말이다. 유비쿼터스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언제, 어디에나 있다’는 뜻의 영어로 여기서는 사용자가 컴퓨터, 휴대폰 등 단말기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손톱 시계+GPS 콘택트렌즈=주머니가 필요 없다것이 필요하다. 사실 인터페이스란 아주 간단하고 기본적인 개념이다. 보일러를 켜고 끄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들 역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에 유비쿼터스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모든 곳에 컴퓨터가 존재하고, 그 컴퓨터를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이 유비쿼터스의 기본 정신이다. 먼 옛날에는 시계가...
-
USN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u-HEMS, -基盤-管理-스마트 그린홈 건설을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를 절감하고 입주자에게 더욱 나은 거주 환경을 제공하려고 USN 기반 통합 검침, 실시간 에너지 사용랑과 유해 물질 측정, 세대별 사용량 모니터링 같은 서비스를 인터넷이나 모바일 단말...
-
울산공업고등학교 蔚山工業高等學校, Ulsan Technical High School을 운영하고 있다. 현황 2008년 3월 현재 로봇학과 9학급, 로봇응용과 6학급, 로봇전기과 6학급, 환경화학과 6학급, 건축설계과 6학급, 건설정보과 6학급, 유비쿼터스과 6학급 등 총 45학급에 1,67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교원은 134명이 재직하고 있다. 2008년 2월 제67회 졸업식까지 총 3만 4,128명의 졸업생을...
- 시대 :
- 현대
- 위치 :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3동 167-8
- 설립 :
- 1937년 3월 29일
- 성격 :
- 공립고등학교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
-
아이폰의 얼굴 고릴라 글라스요구되는 물성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미래의 첨단 제품과 혁신을 만들어낼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아이폰을 통해 일어나기 시작한 스마트폰 혁명이 미래의 유비쿼터스 생활 환경을 한 걸음 더 가깝게 만들었다면, 또 다른 생활의 혁신을 가져올 디지털 혁명 역시 화학 소재의 텃밭에서 가꿔지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