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병해충 종류와 방제법black-streaked dwarf virus 3) 발병 원인 및 환경 • 애멸구와 운계멸구 등 멸구류에 의해 전염된다. • 감염된 벼로부터 애멸구가 바이러스를 획득하여 월동 후 3∼4월 보리밭에서 서식하다가 옥수수를 흡즙하면 감염된다. • 월동 애멸구 성충에 의하여 산란된 난이 부화하여 이병주로부터 바이러스를 획득한 후 비래...
-
상수리잎말이나방가을형의 다른 두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여름형은 체구가 작다. 앞날개는 융기된 인편의 줄이 여러개 있으며, 황색 바탕에 황갈색 무늬를 나타내서 월동형은 인편의 융기 부분이 없고, 색깔과 반문이 개체에 따라 차이가 많다. 앞날개의 색깔은 불그스레한 크림색과 갈색 인편이 섞여 있고, 전연 중간에 삼각형의...
- 분류 :
- 나비목 > 잎말이나방과 > 참나무가시거품벌레속
- 크기 :
- 날개길이 14∼18㎜
- 학명 :
- Acleris affinatana (Snellen, 1833)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아무르, 시베리아
- 출현시기 :
- 5월, 6월, 7월, 8월, 9월
-
청도요 Solitary Snipe중앙아시아, 몽골 북부, 중국 동북부, 캄차카반도 산악지역에서 번식하고, 히말라야, 인도 북부, 미얀마, 아무르, 사할린, 한국, 일본,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나그네새이며, 매우 드문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크고 작은...
- 분류 :
- 도요과(Scolopacidae)
- 서식지 :
- 시베리아 남부 및 동남부, 중앙아시아, 몽골 북부, 중국 동북부, 캄차카반도 산악지역에서 번식하고, 히말라야, 인도 북부, 미얀마, 아무르, 사할린, 한국, 일본,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30cm
- 학명 :
- Gallinago solitaria Solitary Snipe
-
검은목두루미 천연기념물 제451호, Common Crane서식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의 콜리마천 유역에 번식하고, 남유럽, 아프리카 북동부, 인도 북부,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매우 드문 겨울철새로 찾아온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한다. 10월 하순에 도래하며, 3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하구, 논 등 습지에 서식한다. 흑두루미...
- 분류 :
- 두루미과(Gruidae)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451호
- 서식지 :
-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의 콜리마천 유역에 번식하고, 남유럽, 아프리카 북동부, 인도 북부,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114cm
- 학명 :
- Grus grus Common Crane
-
복숭아명나방몸은 도색(桃色) 바탕에 갈색 점이 산재해 있다. 알 알은 유백색(乳白色) 또는 담홍색의 납작한 타원형이며 직경이 0.6 mm 정도이다. 생태 활엽수형: 월동한 유충은 4월 하순경부터 활동하고 5월 하순경에 번데기가 되며 1화기 성충은 6월에 나타나 복숭아, 자두, 사과 등 과실에 산란하며 한 마리가 여러 개의 과실을...
- 분류 :
- 나비목 > 명나방과 > 때죽납작진딧물속
- 학명 :
-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ée, 1854)
- 출현시기 :
- 5월, 6월, 7월, 8월, 9월
-
밭종다리 Buff-bellied Pipit베리아에서 러시아 극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서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동남부, 한국, 일본, 미국 남부, 멕시코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흔히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10월 중순부터 도래해 월동하고 4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번식기에는 바위가 흩어져 있는 아고산대와 고산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저지대로...
- 분류 :
- 할미새과(Motacillidae)
- 원산지 :
- 아시아
- 서식지 :
- 바이칼호 동쪽의 동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극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서부에서 번식하고, 중국 동남부, 한국, 일본, 미국 남부, 멕시코에서 월동한다.
- 먹이 :
- 매미, 파리, 나비, 메뚜기 ,딱정벌레 등
- 크기 :
- L16cm
- 무게 :
- 약 16~30g
- 학명 :
- Anthus rubescens Buff-bellied Pipit
-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말굽형 무늬가 있고 가슴의 각 마디에는 자모가 6개씩 나 있으며, 배에도 마디마다 자모가 나 있다. 알 장경은 약 1.5 mm이며 긴 타원형의 황백색이다. 생태 월동 성충은 이른 봄부터 활동하는데 낮에는 기주식물의 잎을 갉아 먹고 밤에는 월동처에 숨는다. 5월이 되면 주야로 기주식물에서 생활한다. 월동 성충은...
- 분류 :
- 딱정벌레목 > 무당벌레과
- 서식지 :
- 가지, 감자, 토마토 등 가짓과 식물을 재배하는 밭
- 크기 :
- 약 6.6~8.2mm
- 학명 :
-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1857)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동북부), 시베리아 등
- 출현시기 :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
캐나다기러기 Cackling Goose서식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캐나다, 북미대륙에서 번식하고, 북미대륙 남부에서 월동한다. 유럽, 뉴질랜드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도시 주변의 호수에서 흔히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2아종(minima, leucopareia) 이상이 확인되었으며, 철원평야, 천수만, 순천만, 주남저수지 등지에 불규칙하게 찾아오는 겨울철새다...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캐나다, 북미대륙에서 번식하고, 북미대륙 남부에서 월동한다. 유럽, 뉴질랜드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도시 주변의 호수에서 흔히 서식한다.
- 크기 :
- L56~70cm
- 학명 :
- Branta hutchinsii Cackling Goose / Lesser Canada Goose
-
가창오리 태극오리개설 전 세계 집단의 약 95%가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겨울철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수만과 부남호, 금강 하구, 동림저수지, 고천암호, 금호호, 아산만 및 주남저수지 등지에서 관찰되며, 최근에는 약 40만 ~ 60만 개체 이상이 큰 무리를 이루어 겨울을 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맥주보리 생물적 요인에 의한 증상 병해충 및 기상재해다르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보리는 가을뿌림 재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봄뿌림에 비해 저온에 발생이 많은 바이러스성 병해가 가장 문제시 되었다. 한편 월동 후에는 고온에 의한 곰팡이 병해도 나타나게 되는데, 지구 온난화에 따른 잦은 이상 기상에 의해 문제시되지 않던 병해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제...
-
세가락갈매기 Black-legged Kittiwake서식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해안 절벽에서 번식하고, 북태평양, 북대서양, 북극해 주변의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드문 겨울철새이다. 항구, 해안에서 월동하기보다는 주로 동해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10월 하순에 도래해 4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또한 10월...
- 분류 :
- 갈매기과(Lar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해안 절벽에서 번식하고, 북태평양, 북대서양, 북극해 주변의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38~40cm
- 학명 :
- Rissa tridactyla Black-legged Kittiw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