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신문학원 서울신문학원, 朝鮮新聞學院
    개설 곽복산(郭福山)이 중심이 되어 1947년 2월 18일 군정청 학무국(學務局)으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아 이 해 4월부터 신문기자 양성을 위한 수업을 시작했다. 조선신문학원은 곽복산이 운영하였으나 연희대학교 총장 백낙준(白樂濬), 새한민보 사장 설의식(薛義植)을 비롯하여 여러 대학의 교수들과 현역 중진 언론인들...
    시대 :
    근대
    설립 :
    1947년 2월 18일
    성격 :
    교육기관, 사설교육기관
    유형 :
    단체
    해체 :
    1969년 10월 11일
    설립자 :
    곽복산(郭福山)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신문 옴부즈맨 press ombudsman
    대신해 정부나 기업, 사회단체 등 공공조직의 활동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행정감찰제도였다. 그 형식과 기능을 살펴보면, 각 신문사의 외부에 존재하면서 모든 신문에 대한 불만사항을 다루는 스웨덴형이 있고, 각 신문사 내부에 존재하면서 각각의 신문사에 대한 불만사항을 다루는 미국형의 2가지 유형이 있다. 스웨덴...
  • 국제신문 민보, 國際新聞
    발행인 이봉구(李鳳求), 주필 송지영(宋志英), 편집국장 정국은(鄭國殷)으로 개편하였다. 판형은 블랭킷판 2면, 15단으로 시작하였으며, 광복 후 다른 신문에 앞서서 신문의 현대화를 추구하여 새로운 면모를 갖추었다. 정계의 뒷소식을 취재하여 보도하고, 재치 있는 시사평론으로 독자가 흥미를 가지도록 기사의 취재...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봉구
    창작/발표시기 :
    1948년 7월 21일(창간), 1949년 3월 6일(폐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이봉구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소장/전승 :
    국회도서관
  • 자유신문 自由新聞
    내용 정인익(鄭寅翼)이 창간하였다. 사장은 정인익, 발행인 · 편집인 겸 주필은 정진석(鄭鎭石)이 맡았다. 후에 신익희(申翼熙)가 사장에 취임하였다. 이 시기의 신문들은 대부분 공산주의자들의 ‘진보적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경향에 치우쳤는데, 이 신문도 좌익계열과 동조하여 신탁통치를 찬성하였다. 이러한 논조...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중앙신문 中央新聞
    내용 좌익계 신문의 하나로, 1945년 11월 1일 김형수(金亨洙) 등이 일본인 소유의 『조선상공신문(朝鮮商工新聞)』의 사옥과 시설을 구입하여 창간하였다. 편집인 겸 발행인은 김형수, 편집국장은 이상호(李相昊)이었다. 발행소는 서울 중구 을지로 2가 199였으며, 구독료는 1개월에 9원이었다. 처음에는 『국민신보...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형수
    창작/발표시기 :
    1945년 11월 1일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김형수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서울일일신문 ─日日新聞
    내용 1949년 1월 22일 양우정(梁又正)이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서 창간한 『연합신문(聯合新聞)』이 그 전신이다. 대판 2면제의 석간 신문으로 발행되던 『연합신문』은 친 정부계열의 신문을 자처하고, 이승만(李承晩)대통령에 대한 절대지지를 천명하였다. 6·25사변으로 잠시 휴간하였다가 1951년 임시수도 부산...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창문, 천관우
    창작/발표시기 :
    1960년 7월 11일(창간), 1962년 1월 1일(폐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이관구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한국경제신문 韓國經濟新聞, The Korea Economic Daily
    연혁 및 변천 1964년 10월 12일 <일간경제신문>으로 창간했다. 언론사로서는 드물게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삼성, LG, SK 등 국내 194개 기업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창간 이후 1965년 10월 12일 <현대경제일보>로 제호를 바꾸었고, 1980년 11월 26일 지금의 <한국경제신문...
    설립 :
    1964년 10월 12일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3
    사이트 :
    http://www.hankyung.co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대동신문 大東新聞
    김옥근(金玉斤), 편집국장 최원식(崔瑗植) 등의 진용으로 출발하였다. 그 뒤 사장 이선근(李瑄根), 편집국장 강영수(姜永壽)로 바뀌었다. 창간 당시 좌파 신문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가운데 공산당과 그 동조자들에게 공격을 가하던 극우지(極右紙)로서, 1946년 1월 7일 극단적인 반좌익과 신탁통치반대의 논조로 좌파...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종형
    창작/발표시기 :
    1945년 11월 25일(창간)
    성격 :
    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이종형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경향신문폐간사건 京鄕新聞廢刊事件
    경향신문은 당시 자유당 정권을 가장 강하게 비판한 신문이었다. 자유당 정권은 미군정이 남로당계 좌익신문을 통제하기 위해 제정한 군정법령 제88호를 적용시켜 1959년 4월 30일 경향신문을 폐간시켰다. 자유당 정권이 폐간의 이유로 들었던 것은 다음 5가지였다. 첫째 1959년 1월 11일 사설 〈정부와 여당의 지리멸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대한독립신문 大韓獨立新聞
    같은 해 6월 5일 만주 간도 용정촌(龍井村)에서 대한국민회장(大韓國民會長) 구춘선(具春先)과 이익찬(李翼燦)·윤준희(尹駿熙)·방원성(方遠成) 등이 주간 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영국인 마틴(Martin)이 경영하는 제창병원(濟昌病院)의 지하실에서 비밀리에 등사판으로 만들었다. 등사판으로 만든 신문이어서 조판이...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구춘선, 이익찬 외
    창작/발표시기 :
    1919년 6월 5일(창간)
    성격 :
    신문, 교민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구춘선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소장/전승 :
    국회도서관
  • 조선신문 朝鮮新聞
    개설 1936년 2월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에서 창간되어 1936년 9월 4일 폐간된 재일조선인 신문이다.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의 책임비서였던 김학의(金鶴儀, 이명 김천해), 이운수(李雲洙), 박태을(朴台乙) 등이 재일조선인 노동자의 문화 향상과 사회적·계급적·민족적 자각을 환기할 것을 목적으로 창간했다. 내용 재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창작/발표시기 :
    1935년(창간준비호), 1936년(창간), 1936년 9월 4일(폐간)
    성격 :
    신문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약 4,000부(월1회 발행)
    간행/발행 :
    박태을, 이운수, 김학의(김천해)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독립신문의 평가
    〈독립신문〉의 비판정신은 한국언론의 전통으로 계승되었고, 과감한 한글전용과 띄어쓰기를 단행하여 국어운동사에도 획기적인 업적을 이루었다. 이 신문에 영향을 받아 1896년부터 〈매일신문〉·〈제국신문〉·〈황성신문〉 등의 여러 민간신문들이 창간되어 국민계몽과 개화, 그리고 구국운동의 선도자 역할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4건

신문
신문
신문
신문
신문
신문
독립신문 창간호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함양 남계서원 중 내삼문 후면
논산 노강서원 내삼문 정면
서울 육상궁 외삼문 정면
영천 숭렬당 중 외삼문
청송 진보향교 내삼문
안성 덕봉서원 내삼문
강화 강화향교 외삼문
삼척향교 내삼문 정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