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향유 향여(香茹), 香薷많이 복용하면 유산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의한다. 효능 주로 비뇨기·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감기, 건위, 곽란(건곽란), 구토, 기관지염, 두통, 두풍, 발열, 발한, 복통, 부종, 비뉵혈, 서증, 설사, 소변불통, 습담, 액취증, 오조, 오한발열, 위축신, 이뇨, 창종, 취한, 풍, 해열 소아질환: 경풍(경기...
- 학명 :
- Elsholtzia ciliat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야산, 들, 길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열매
- 생약명 :
- 향유(香薷)
- 키 :
- 30∼60cm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한해살이풀
- 채취기간 :
- 10월(열매 성숙기)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열매 4∼8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꽃향유·애기향유
-
흑노환 黑奴丸쓰며 열성병에 해열·해독 작용을 한다. 조돌묵은 일명 백초상(百草霜)이라고도 하며 아궁이에 있는 재인데 지혈에 특효가 있다. 양상진은 대들보 위에 있는 먼지인데 토사·곽란·지혈·소변불통에 쓴다. 소맥노는 밀밭에 있는 깜부기이다. 열성병으로 얼굴에 열독(熱毒)이 있어 발반(發斑)이 되었을 때에 쓴다. 참고문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옥잠화 옥비녀꽃, 玉簪花花(옥잠화), 根莖(근경)을 玉簪花根(옥잠화근), 葉(엽)을 玉簪葉(옥잠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玉簪花(옥잠화) ①약효 : 咽喉腫痛(인후종통), 小便不通(소변불통), 瘡毒(창독), 燒傷(소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2.5-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玉簪花根(옥잠화근) ①성분 : 根...
- 분류 :
- 백합목 > 백합과 > 비비추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Hosta plantaginea (Lam.) Asch.
- 개화기 :
- 9월, 8월, 7월
-
자리공 야호(夜呼)햇볕에 말린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농가진, 무좀, 변혈증, 복부팽만, 복중괴, 부종, 설사, 소변불통, 소염제, 수종, 습비, 심장병, 아토피성피부염, 옹종, 이질, 인후염·인후통, 전립선비대증, 창종, 폭징, 표저, 항문주위농양, 해열
- 학명 :
- Phytolacca esculent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인가 주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
- 생약명 :
- 상륙(商陸)
- 키 :
- 1m 정도
- 과 :
- 자리공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이듬해 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뿌리에 약간, 열매에 맹독이 있다.
- 1회 사용량 :
- 뿌리 4∼6g
- 주의사항 :
- 많이 쓰면 해롭다.
- 동속약초 :
- 미국자리공
-
인동 겨우살이덩굴, 忍冬괴저, 구토, 근골동통, 농혈리, 당뇨병, 대상포진, 대장염, 매독, 발열, 방광습열, 방광염, 배뇨통, 변혈증, 부종, 비열, 산욕열, 살갗이 튼 데, 설사, 소변불통, 소염제, 숙취, 습진, 신부전, 실음, 심번, 아구창, 악창, 암(위암), 연주창, 열광, 열독증, 열성하리, 열병, 외상소독, 요독증, 요통, 위궤양, 위열, 음부...
- 분류 :
- 반상록 덩굴성 활엽 관목
- 학명 :
- Lonicera japonic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잎·줄기·꽃
- 생약명 :
- 금은화(金銀花)
- 키 :
- 길이 5m 정도
- 과 :
- 인동과
- 채취기간 :
- 여름(잎), 가을∼이듬해 봄(줄기)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잎·줄기 10∼15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조개나물 백하고초(白夏枯草)것을 흰조개나물,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붉은좨나물이라 한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운동계·피부과·치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고혈압, 근골동통, 소변불통, 연주창, 옹종, 이뇨, 임파선염, 종독, 진정, 창종, 천식, 치질, 치창
- 학명 :
- Ajuga multiflor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의 양지바른 풀밭, 잔디밭
- 번식 :
- 분근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백하초(白夏草)
- 키 :
- 30cm 정도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5~6월(개화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 3~5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금창초·자난초·흰조개나물
-
꿀풀 동풍(東風)거담, 건위, 결기, 결핵, 고혈압, 구안와사, 나력(나력루), 녹내장, 늑막염, 담, 두진, 목적동통, 방광염, 백내장, 번조, 보간·청간, 산후발열, 삼눈, 소변불통, 소염제, 소화불량, 수종, 습비, 신장병, 안검연염, 안질, 열광, 월경불순, 유방염, 유종, 이뇨, 임파선염, 자궁내막염, 잔뇨, 적백리, 종독, 창종, 축농증...
- 학명 :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풀밭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열매·씨
- 생약명 :
- 하고초(夏枯草)
- 키 :
- 20~30cm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5~7월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맵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열매 5~1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두메꿀풀·붉은꿀풀·흰꿀풀
-
지모 知母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효능 주로 비뇨기·호흡기·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기능회복, 강화, 갱년기장애, 거담, 노이로제, 담, 당뇨병, 방광결석, 방광염, 번열, 상기, 설사, 소갈증, 소변불통, 신경쇠약, 신경통, 신기허약, 애역, 야뇨증, 이뇨, 진통, 취한, 해수, 해열, 호흡곤란, 황달
- 학명 :
- Anemarrhena asphodeloides
- 분포지역 :
- 중부 이북
- 자생지역 :
- 산과 들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뿌리줄기
- 생약명 :
- 지모(知母)
- 키 :
- 60~90cm
- 과 :
- 백합과(지모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9월~이듬해 3월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뿌리줄기 3~5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좀개미취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風寒(풍한)에 의한 咳嗽(해수), 喘息(천식), 虛勞(허로)에 의한 咳嗽(해수)로 膿血(농혈)을 吐(토)하는 증상, 喉痺(후비), 小便不通(소변불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도 사용한다. 특징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 꽃색 :
- 자주색
- 학명 :
- Aster maackii Regel
- 개화기 :
- 8월, 9월, 10월
-
분꽃 수분두(水粉頭), 粉꽃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부인과·피부과·운동계·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감창, 개창, 건선, 골절, 관절염, 기미·주근깨(주근깨), 대하증, 독창, 분자, 붕루, 선창, 소변불통, 소화불량, 수종 , 식체(감자), 어혈, 월경불순, 유종, 종독, 주독, 창종, 토혈, 풍, 해열, 행혈, 황달
- 학명 :
- Mirabilis jalap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집 근처, 정원, 화단 등에 식재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덩이뿌리
- 생약명 :
- 자말리근(紫茉莉根)
- 키 :
- 60~100cm
- 과 :
- 분꽃과
- 생활사 :
- 한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덩이뿌리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수양버들 양류조(楊柳條), 垂楊버들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감기, 갑상선질환(갑상선염), 거담, 고혈압, 골절증, 농가진, 동통, 두진, 류머티즘, 멀미, 불감증, 불임증, 생남약, 소변불통, 수렴제, 습진, 신경통, 신근경색, 옹종, 유방염, 이뇨, 자궁내막염, 자궁외임신, 적백리, 종기, 종독, 좌섬, 중독, 진통, 창종, 척추질환(추간판헤르니아...
- 분류 :
-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교목
- 학명 :
- Salix babylonic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길가, 하천변, 인가 부근
- 번식 :
- 꺾꽂이
- 약효 부위 :
- 잎·잔가지(연한 끝줄기 15cm 정도)
- 생약명 :
- 고려수양(高麗垂楊)
- 키 :
- 10m 정도
- 과 :
- 버드나뭇과
- 채취기간 :
- 5~9월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잎·잔가지 8~15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냇버들
-
알방동사니 Small-flowered umbrella sedge, <일>タマガヤツリ莎草(이형사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行氣(행기), 活血(활혈), 通淋(통림), 利小便(이소변)의 효능이 있다. 熱淋(열림), 小便不通(소변불통), 타박상, 토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신선한 것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燒存性(소존성)으로 하여 가루 내어 복용...
- 분류 :
- 사초목 > 사초과 > 방동사니속
- 꽃색 :
- 갈색
- 학명 :
- Cyperus difformis L.
- 개화기 :
- 9월, 8월,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