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궁 김씨 Kim Gae-si, 金介屎
    역시 광해에게 충심을 다하며 온갖 악역을 도맡아 했다. 반대 세력인 소북파 숙청작업, 선조의 유일 적자인 영창대군 사망, 영창대군의 어머니인 인목왕후 서궁유폐에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 김개시는 권신 이이첨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권력을 휘둘렀다. 매관매직(賣官賣職)을 일삼는 등 그 해독이 커서 윤선도, 이회...
    도서 위키백과
  • 송갑조
    유모인 이씨를 깎듯이 대하였다 한다. 1617년(광해군 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다. 이때 인목대비 폐모론으로 북인에 의해 인목대비가 폐모되어 서궁(西宮)에 감금당했다. 그는 이 불의에 분노하였고, 같이 합격한 이영구(李榮久) 등의 만류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비밀리에 서궁을 방문, 서궁...
    도서 위키백과
  • 정명공주 Princess Jeongmyeong, 貞明公主
    무척 귀여워했으나 이복오빠 광해군이 즉위한 뒤 외할아버지 김제남과 동생 영창대군은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역모죄로 처형되었다. 이후 어머니 인목왕후가 서궁에 유폐되면서 정명공주도 함께 감금되었다. 인목왕후를 폄손하는 절목에 정명공주와 관련하여 "공주의 늠료(廩料)와 혼인은 옹주의 예에 따른다"고 규정했다...
    도서 위키백과
  • 수양령
    貢氏)이다. 연성수의 3남으로 기해(己亥) 1599년(선조 32) 7월 15일에 탄생하였다. 통직랑(通直郞) 수양령(樹陽令)에 봉작받고, 1617년(광해 9) 11월 25일 서궁 폐비 문제에 대한 상소를 논의할 때 여러 종실과 함께 의논드리길, "공론은 흔쾌히 따름으로써 종묘 사직을 안정시키소서." 하였다. 1618년(광해 10) 2월 6일...
    도서 위키백과
  • 계양령
    구씨(溫人 綾城具氏)이다. 연성수의 2남으로 신축(辛丑) 1601년(선조 34) 탄생하였다. 통직랑(通直郞) 계양령(桂陽令)에 봉작받고, 1617년(광해 9) 11월 25일 서궁 폐비 문제에 대한 상소를 논의할 때 여러 종실과 함께 의논드리길, "공론은 흔쾌히 따름으로써 종묘 사직을 안정시키소서." 하였다. 1618년(광해 10) 2...
    도서 위키백과
  • 조선시대 토지소유권 분쟁, 정명공주 이야기 하의삼도 주민들의 300여 년에 걸친 항거
    정명공주에 대한 섬 주민들의 불편한 심기가 그렇게 표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명공주는 어린 시절 광해군의 폭정으로 인해 어머니 인목왕후와 함께 서궁(西宮)에 유폐된 폐서인이었다. 혼인은 고사하고 목숨까지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또 인목왕후는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뒤를 이어 선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되어...
  • 이이첨 李爾瞻, 李爾瞻
    진릉군, 영창대군 등을 폐서인해 죽임과 동시에 소북파를 숙청하였고, 1617년(광해군 9) 정인홍 등과 함께 인목대비의 폐모론을 주장하여 이듬해 대비를 폐서인화하여 서궁(西宮)에 유폐하고, 선조의 국구 김제남을 사사시켰다. 그는 임진왜란 때의 공로로 선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광해군 때의 정치활동으로는 정운...
    도서 위키백과
  • 인현왕후 Queen Inhyeon, 仁顕王后
    숙종은 폐비(민씨)를 신원하는 자는 역률로 다스린다는 명을 내려 왕비를 교체할 마음이 없음을 선포했다. 하지만 4월 9일, 숙종은 마음을 바꾸어 민씨를 서궁으로 이전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렸고, 4월 12일 서궁으로 입거한 그녀에게 왕비 복위령이 내려졌다. 동시에 왕비였던 장씨는 국모가 둘일 수 없다는 이유로...
    도서 위키백과
  • 영가군
    人 德水長氏)이다. 연성수의 장남으로 기해(己亥) 1599년(선조 32)에 탄생하였다. 초수(初授) 영가부수(永嘉副守)에 제수되었다. 1617년(광해 9) 11월 25일 서궁 폐비 문제에 대한 상소를 논의할 때 여러 종실과 함께 의논드리길, "공론은 흔쾌히 따름으로써 종묘 사직을 안정시키소서." 하였다. 1618년(광해 10) 2...
    도서 위키백과
  • 윤간 (1561년)
    사사로운 보복행위, 와서 별제 당시 창고의 무명 73동 40필을 잃어버린 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1618년 대북당의 주도로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 및 서궁(西宮, 덕수궁)에 유폐하는 폐비 논의가 나오자 그는 판관(判官)으로 논의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이서와 함께 인목대비 폐비를 반대했다는 밀고를 받고 관직...
    도서 위키백과
  • 광성군
    任大原)의 딸) 풍천 임씨이다. 갑진(甲辰) 1604년(선조 37) 한성 정동에서 탄생하였다. 초수 광성부령(廣城副令)에 제수되었다. 1617년(광해 9) 11월 25일 서궁 폐비 문제에 대한 상소를 논의할 때 여러 종실과 함께 의논드리길, "공론은 흔쾌히 따름으로써 종묘 사직을 안정시키소서." 하였다. 1618년(광해 10) 2월 6일...
    도서 위키백과
  • 이보희 Lee Bo-hee, 李甫姬
    오케이 광자매》 등이 있다. 1979년 MBC 일일연속사극 《안국동 아씨》 1981년 MBC 아침드라마 《포옹》 1982년 MBC 대하드라마 《여인열전 - 서궁마마》 1994년 SBS 아침연속극 《성냥갑 속의 여자》 ... 지영 역 1995년 KBS2 대하드라마 《서궁》 ... 인목왕후 역 1996년 KBS1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 ... 선빈 안씨...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서궁일록
서궁일록
서궁일록
서궁일록
서궁일록
인목대비가 갇혀 지내던 서궁(지금의 덕수궁) 석어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