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르고냐가 Portuguese House of Burgundy, ブルゴーニュ王朝
    왕국이 완전히 인정받기 위해서는 교황의 승인을 거쳐야 했었다. 아폰수 1세의 어머니 쪽 혈통은 세메로 왕조에 해당되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아스투리아스레온 왕조의 산차와 연관되어 아스투리아스 왕국을 세운 펠라요의 후손이 된다.《알폰소 3세 연대기》에서는 펠라요의 선조가 서고트 왕국의 킨다수인트임을...
    도서 위키백과
  •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Zoe Karbonopsina
    레온은 조이를 다시 불러들였고 비밀리에 결혼식을 치렀다. 이로 인해 황제와 교회와의 사이는 급격히 벌어졌다. 교회의 입장은 네번의 결혼을 절대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황제는 로마의 교황 세르지오 3세와 협력관계를 맺고 자신의 사혼을 인정받았고 이를 근거로 자신의 사혼에 반대하던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도서 위키백과
  • 헤르베르투스 2세 Herbert II, Count of Vermandois, エルベール2..
    자신의 아들 외드에게 줄 것을 요구했지만 라울은 거절, 반대했다. 헤르베르트 2세는 감금된 샤를 3세를 위협하면서 라울에게 레온을 요구하였고, 레온 시내를 점령했지만 라울은 거절했다. 927년까지 레온 백작직을 놓고 그는 라울과 갈등하였다. 그는 감금당한 샤를 3세 생쁠을 위협하거나, 샤를 3세를 풀어주겠다며...
    도서 위키백과
  • 로마 황제 목록 List of Roman emperors, ローマ皇帝一覧
    수도원에 들어감 미하일 3세 – 테오필루스의 아들; 암살당함 바실레이오스 1세 - 미하일 3세의 궁정신하 출신; 사냥에서 사고로 죽다 레온 6세 – 바실리오스 1세 또는 미하일 3세의 아들일 수도 있음 알렉산드로스 – 바실리오스 1세의 아들; 조카의 섭정 콘스탄티노스 7세 – 레오 6세의 아들 로마노스 1세 레카페...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스테파노스 1세 Stephen I of Constantinople
    19세의 스테파노스를 대신하여 총대주교로 임명했다. 총대주교인 스테파노스는 콘스탄티누폴리스에 있는 성 사도 교회에 부속된 황실 영묘에서 레온 6세에 의한 미카엘 3세의 장례식에 참여했다. 스테파노스 총대주교와 관련된 중요한 사건은 없으며, 경건함으로 명성을 얻은 총대주교는 893년 5월 25세의 나이로 사망...
    도서 위키백과
  • 포르투갈 왕국 Kingdom of Portugal, ポルトガル王国
    세력으로 만들었다. 1139년 아폰수는 스스로 포르투갈의 국왕으로 칭하게 되고, 드디어 1143년 본디 포르투갈 백국의 상위 군주이자 사촌인 카스티야와 레온의 알폰소 7세에게 독립을 인정받고 국왕직을 승인받게 된다. 또한 1179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게 국왕임을 인정 받음으로 보르고냐 왕가(1143-1383)의...
    도서 위키백과
  • 아피온카라히사르 Afyonkarahisar, アフィヨンカラヒサール
    아피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높이는 1,021m, 인구는 173,100명(2010년 기준)이다. 740년 비잔틴 제국과 우마이야 칼리파국 간의 아크로이논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비잔틴 제국의 황제 레온 3세가 승리의 기념으로 도시 이름을 니코폴리스 (Nicopolis, 그리스어로 '승리의 도시' 라는 의미) 로 명명하였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John of Damascus, ダマスコのイオアン
    받았다. 그 당시인 8세기 초반에는, 성상숭배를 반대하는 성상파괴주의가 동로마 제국의 궁정에 받아들여졌다. 726년과 730년, 동로마 제국에서 황제 레온 3세는 콘스탄티누폴리스 총대주교 게르마노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성상파괴령을 내렸으며, 성상파괴논쟁이 매우 격화되게 된 상태였다. 요안니스는 성상옹호자...
    도서 위키백과
  • 마르 사바 Mar Saba, マル・サバ
    의인 성 사바스의 성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마르 사바는 때때로 산타 삽바 수도원으로 불린다. 마르 사바는 726년에 성화상의 숭상을 금지한 동로마 황제 레온 3세 이사우리아인의 칙령에 대하여 그에게 서신들을 보내어 성화상논쟁에서 핵심 역할을 했던 수사 다마스쿠스의 성 요안니스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요안니스...
    도서 위키백과
  •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Santiago de Compostela Cathedral, ..
    양식으로 완공했으며, 그럼에고 일부 바로크 양식의 흔적은 남아있다. 파사드의 정상 부분에는 성 야고보와, 그의 발 밑에서 아스투리아스의 알폰소 3세 그리고 레온의 으르도뇨 2세 등 기도를 하고 있는 두 왕에 대한 18세기에 제작된 조각상들이 있다. 중심부에는 신앙의 조각상이 있다. 퀸타나 광장을 올려다 보는...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5세 Constantine V, コンスタンティノス5世
    그의 성상 파괴 운동의 반대자들이 그를 경멸적으로 불렀던 이름이다. 이것은 그가 세례성사 때 제단에서 똥을 쌌다 해서 그렇게 전해진다. 콘스탄티노스는 레온 3세의 아들로 720년 두 살의 나이로 아버지와 공동황제로 임명되었다. 741년 아버지가 죽자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즉위하자마자 그는 자신의 매형이자...
    도서 위키백과
  • 베르타 Bertha (disambiguation)
    베르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베르타(Bertha)는 프랑크 왕국의 공주로 테오데리히 3세와 카롤링거 가 출신 클로틸드의 딸. 외삼촌인 레온 백작 마르틴과 결혼했다. 베르타(Bertha)는 레온 백작 하리베르트의 부인이며 메로빙거 왕조 출신 베르타의 며느리이자 베르타의 친정어머니이다. 베르타(Bertha) 별칭은 왕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