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통우표(170원권) 멍석·채반
    가을이 되면 고추나 호박은 멍석이나 채반에 널어 말리고 벼는 그네로 훑어서 알곡을 떨어낸 후 키로 검불이나 돌을 골라내고 지게를 이용하여 나락뒤주에 넣어 저장하여 조석으로 절구와 맷돌로 도정을 했다. 나무장군과 잿박은 거름을 줄 때 사용된 기구이다. 우리의 재래 농기구 우표와 함께 봄·여름·가을·겨울...
    발행일 :
    2001.1.20
    발행량 :
    30000000
    종수 :
    10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멍석·채반
    우표번호 :
    2134
    인면 :
    25×22
    천공 :
    13
    전지구성 :
    10×10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5도
    우표크기 :
    25×22
    디자이너 :
    이기석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보통우표(170원권) 써레
    가을이 되면 고추나 호박은 멍석이나 채반에 널어 말리고 벼는 그네로 훑어서 알곡을 떨어낸 후 키로 검불이나 돌을 골라내고 지게를 이용하여 나락뒤주에 넣어 저장하여 조석으로 절구와 맷돌로 도정을 했다. 나무장군과 잿박은 거름을 줄 때 사용된 기구이다. 우리의 재래 농기구 우표와 함께 봄·여름·가을·겨울...
    발행일 :
    2001.1.20
    발행량 :
    30000000
    종수 :
    10
    액면가격 :
    170원
    디자인 :
    써레
    우표번호 :
    2128
    인면 :
    25×22
    천공 :
    13
    전지구성 :
    10×10
    용지 :
    그라비어 원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어 5도
    우표크기 :
    25×22
    디자이너 :
    이기석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수원성 축성 200주년 기념 보물 제402호 팔달문
    정조대왕의 애절한 효심이 이끼처럼 서려있는 수원성(水原城)이 축성된지 20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수원성은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께서 당쟁에 휘말려 뒤주 속에서 비운의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효성심과 개혁 의지로 축조한 성으로 원래의 명칭은 `화성(華城)`이며, 1794년에 착공 2년여 만에 완공...
    발행일 :
    1996.10.10
    발행량 :
    3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400원
    디자인 :
    보물 제402호 팔달문
    우표번호 :
    1880
    인면 :
    32×22
    천공 :
    13
    전지구성 :
    5×2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5도색+요판 1도색
    디자이너 :
    원인재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보성 율어리 고택 寶城 栗於里 古宅
    남쪽에 아랫방 · 대청, 북쪽에 광이 배치되어 있다. 앞퇴와 우퇴에는 툇마루가 놓이며, 대청 · 광 등 모두 우물마루이다. 이 집의 특색은 별도로 세워진 뒤주[斗皮: 곳간채]로 중부지방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추수한 뒤에 벼를 저장하는 시설이다. 고상식은 같은데 하방 뺄목이 나오지 않으며 벽을 빈지보로 하지 않고...
    시대 :
    근대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동신 골맥이, 洞神
    神)·서낭신·국수신. ⑤ 수신(水神) 계통 : 수신·해신·용신·수령신(水靈神), ⑥ 왕신(王神) 계통 : 단군·태조대왕(이성계)신·공민왕신·단종대왕·세조대왕·뒤주대왕(사도세자)신 등, ⑦ 왕비 계통 : 송씨부인신(宋氏夫人神)·명성황후(明成皇后, 민중전), ⑧ 장군신 계통 : 임경업(林慶業)·남이(南怡)·최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나주 홍기창 가옥 羅州 洪起昌 家屋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부분의 전퇴는 우물마루를 설치하였다. 우퇴의 전열은 툇마루로, 후열은 4척(尺) 높이의 반침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예전에 뒤주로 쓰였다고 한다. 건물의 왼쪽에는 동바리마루 형태의 툇마루가 있는데 부엌방의 왼쪽부터 앞쪽까지를 ㄱ자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툇마루의 뒤쪽으로는...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사직공파 구택, 禮安李氏 司直公派 舊宅
    翼舍)에는 부엌과 고방(庫房)이 있고, 상방에서 모방으로 연결된 좌측의 익사에는 우익사(右翼舍)보다 작은 규모의 부엌과, 마루를 깐 고방, 곡식을 보관하는 뒤주를 차례로 두었다. ㅁ자형으로 된 몸채의 모든 부분이 3량가(三樑架)로 구성되어 있다. 남쪽으로 약 180여 미터 떨어진 곳에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이...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생활/주생활
  • 함정균가옥
    부분의 하부에는 머름대를 두르고 벽체 중간에는 띠방이 있다. 안방과 고방 뒤로 툇간(건물의 덧달아 낸 칸, 물림칸) 마루가 있으며, 마루의 양쪽 끝에는 뒤주와 판재로 만들어 벽장으로 사용하는 수장 공간이 있다. 행랑채는 방 2칸과 흙바닥의 헛간으로 평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방의 전면과 측면은 툇마루(방이나...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왕곡마을길 52
  • 보성 이종선 가옥 寶城 李鍾善 家屋
    수장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작은방의 전퇴 부분은 함실아궁이를 두었고 후퇴부분은 고방을 두었다. 작은방 옆에는 우퇴가 있으며 뒷모서리 퇴에는 두지(뒤주의 사투리)를 두었다. 정재 앞퇴는 봉당이며 그 앞에 대나무살로 된 간이살강의 배치가 흥미롭다. 안방으로 들어가는 상인방에는 가시나무를 걸어놓았는데 이...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강릉 추산고택 江陵 秋汕古宅
    마루의 벽은 흙벽 위 석회마감, 방들은 비닐장판, 벽지, 무늬목 합판천정 마감이다. 부엌에 이어서 판벽, 마루바닥으로 된 곳간이 2칸 있고, 곳간 반 칸은 뒤주로 만들었다. 문은 두짝 여닫이 판문이며, 이어서 판벽으로 된 마구간이 있다. 원래 이곳은 광이었으며, 마구간은 바깥을 향하여 한 칸 앞으로 내밀어...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 화성 융릉(장조·헌경황후)과 건릉(정조·효의황후)
    황후로 추존하였다. 융릉은 한 봉분 안에 황제와 황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1762년(영조 38) 장조(사도세자)가 아버지 영조의 명으로 뒤주에 갇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 묘를 조성하였고, 이후 무덤을 수은묘(垂恩墓)라 불렀다. 1776년 정조는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에게 장헌...
    위치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 (안녕동)
    문화재 지정 :
    [화성 융릉과 건릉] 사적 제206호(1970.05.26 지정)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 서울 사신당 무신도 및 현판 일괄
    가장 잘 반영하고 연대가 더 오래되었으며 보존상태가 더 양호한〈중국사신도(中國使臣圖)〉․〈삼불제석도(三佛帝釋圖)〉․〈최영장군도(崔塋將軍圖)〉․〈뒤주대왕도〉등 4점이다. 〈중국사신도(中國使臣圖)는 세로 71.3cm, 가로 68.5cm의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의자 위에 앉아있는 중국 사신 부부의 모습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뒤주
뒤주
뒤주
나락뒤주
상주 의암고택 뒤주
김제 장화리 쌀뒤주 정측면
장화리쌀뒤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