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현록 용회(用晦), 申顯祿합격하고, 다음 해 서울에 갔을 때 서양학자가 중국으로부터 들어와서 천주교세가 확장되자 이를 근심하여 배척하는데 앞장섰다. 1804년(순조 4) 금부도사(禁府都事)가 되었다가 다음 해 금오랑 동부도사(金吾郞東部都事)가 되고, 그 후 사포서직장(司圃署直長), 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를 거쳐 다음 해 덕산현감(德山...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52년(영조 28)
- 사망 :
- 1828년(순조 28)
- 경력 :
- 사포서직장, 돈영부주부, 덕산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학자
- 대표작 :
- 학사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고령(高靈)
-
저전 楮田전국의 저죽전(楮竹田)을 조사하게 하였으며, 영조 때의 『속대전』 호전 저전조에서는 한양(지금의 서울)에서 파견되는 경차관과 각지에 주재하고 있는 도사(都事)는 저전의 감찰에 힘쓰도록 하고, 그 재식에 근면하지 않을 때에는 처벌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크게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던 것으로, 정조 때에...
- 시대 :
- 조선
- 성격 :
- 토지, 밭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순천 송광사 응진당 順天 松廣寺 應眞堂밑 장혀의 묵서명 기록에 의하면, 응진당 초창은 1504년(연산군 10) 2월 13일 상량(上樑)이라 하였고, 이 불사에 참여한 이들은 주지(住持) 숭은(崇隱), 도사(都事) 운석(雲碩), 화주(化主) 영철(靈哲), 대목(大木) 각경(覺冏) · 상운(尙雲) · 설청(雪靑) · 철선(哲宣) · 경희(敬熙) · 정밀(精密) · 시응(時應...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박원도 중헌(仲憲), 朴元度言)이 되면서부터 지평 네 차례, 정언 세 차례를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남인에 의하여 곤경에 빠진 송시열(宋時烈)을 변호하다가 죄를 얻어 청주도사(淸州都事)로 좌천되고, 뒤에 황주판관(黃州判官)으로 옮겼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승진하여 지평·병조정랑·사헌부장령...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26년(인조 4)
- 사망 :
- 1690년(숙종 16)
- 경력 :
- 부령부사, 형조참의, 우부승지, 병조참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경신대출척, 기사환국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
송여승가 승답사(僧答辭), 送女僧歌구성 및 형식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와 필사본 『전가보장(傳家寶藏)』, 『가사집(歌詞集)』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趙秀三, 1762...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남철
- 창작/발표시기 :
- 1723년경
- 성격 :
- 연정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군산창 群山倉조운선 17척과 조군(漕軍) 816명이 배정되어 있었는데, 이후 조운선이 23척으로 늘었다가 19척으로 다시 줄어들었다. 1697년(숙종 23)부터는 전라도의 도사(都事)가 해운판관을 겸임하여 군산창의 업무를 관장하였다. 1779년(정조 3)에는 전라도 해운판관을 혁파하고, 군산포진의 첨절제사(僉節制使)가 군산창에서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중경지 中京誌孝婦)·열녀(烈女)·증보(增補), 권9에 부록, 권10에 문과(文科)·음사(蔭仕)·사마(司馬)·무과(武科)·무음(武蔭), 권11에 유수(留守)·경력(經歷)·도사(都事)·교수(敎授)·분교관(分敎官)·여릉참봉(麗陵參奉)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읍지는 1782년(정조 6)에 편찬된 ≪송도지≫를 저본으로 하여 작성되었기 때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이재(金履載)
- 창작/발표시기 :
- 1824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1권 6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경시관 京試官내용 감시관은 서울에서는 사헌부감찰이, 지방에서는 각 도의 도사(都事)가 맡게 되어 있었으나, 과장(科場)이 둘씩 설치되는 큰 도에는 경시관이 1인씩 파견되었는데,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좌도 및 평안도·함경도의 남도 과장을 감독하였다. 경시관은 원칙적으로 식년문과와 증광문과의 초시에만 위의 도에 파견...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 후기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부 府배속된 공노비)의 정원과 관둔전(官屯田) · 늠전(廩田) · 학전(學田) 등에서 우대되었다. 부에는 부윤 이외에도 종4품인 경력(經歷) 1인, 종5품인 도사(都事) 1인, 종6품인 교수(敎授) 1인이 더 파견되었으며, 대도호부 · 도호부에는 부사 이외에 교수 1인씩이 파견되었다. 부와 대도호부에는 유학생도(儒學生徒)가...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승가타령 僧歌打令, Seung-ga-ta-ryeong구성 및 형식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 『추재집(秋齋集)』에는 자신의 경험을 직접 기록...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남철
- 창작/발표시기 :
- 1723년경
- 성격 :
- 연정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재송여승가 여승재답사(女僧再答辭), 再送女僧歌구성 및 형식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와 필사본 『전가보장(傳家寶藏)』, 『가사집(歌詞集)』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趙秀三, 1762...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남철
- 창작/발표시기 :
- 1723년경
- 성격 :
- 연정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향시 鄕試생원진사시는 명종 때부터 제도를 바꾸었다. 각 도의 좌도와 남도에는 조정에서 파견하는 경시관(京試官)이나 평사(評事)가, 우도와 북도에는 각 도의 도사(都事)가 상시관(上試官)을 담당하게 하였다. 나머지 참시관(參試官) 2명은 관찰사가 문관 수령 중에서 선임하였다. 시기에 따라 좌도와 우도, 북도와 남도를 막론...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